• 제목/요약/키워드: Petiole length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5초

뽕나무 유전자원의 과실적 특성 및 오디생산용 우량계통 선발 (Fruit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Varieties for the Production of Fruit)

  • 김현복;성규병;홍인표;남학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6-11
    • /
    • 2004
  • 뽕나무 오디는 기능성 식품소재 및 농가의 소득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과실로서 뽕나무 묘목에 대한 일반인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 오디생산을 위한 뽕 품종은 등록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유전자원으로 보존 중인 뽕나무의 결실 오디를 계통별로 채취하여 과실적 특성을 조사하고 우수한 계통을 선발함으로써, 오디 생산용 뽕 품종의 육종 효율을 높이고 품종의 조기농가보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코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태전조생' 등 숙기가 이른 계통은 5월 27일부터 수확이 가능하였으며, '휘카스' 등 수확시기가 늦은 만생종 계통은 6월 10일경부터 수확하여 6월 21일까지 오디를 수확하였다. 2. 계통에 따라 1∼6회 수확할 수 있으며, 수확 가능 기간도 2주∼3주 계통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일뽕', '목상', '장소상', '수성뽕' 등의 오디는 2주 정도 수확이 가능한 반면, '사천금', '덕천상'의 오디는 3주 동안 수확이 가능하였다. 3. 그루당 10kg 이상 수확 가능한 계통으로서 2002년에는 '수성뽕', '휘카스', 청노상', '목상', 절곡조생(충북)' 5계통을 선발하였으며, 2003년도에는 '수성뽕', '자산', '화조십문자', '청노상', '죽천조생 ', '수원노상', 강선', '절곡조생(충북)' 8계통을 선발하였다.

개간지(開墾地) 피복작물(被覆作物)로서의 "칡"증산(增産)을 위(爲)한 기초연구(基礎硏究) (Study on the High Yield of Kudzu (Pueraria thunbergiana Benthan) as Covering Crops of Reclaimed Soil)

  • 조재성;김영래;김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2권1호
    • /
    • pp.143-149
    • /
    • 1975
  • 칡의 육종(育種)을 위(爲)한 기초청보(基礎情報)를 얻고져 충남(忠南)을 위주(爲主)로 4개지역(個地域)에서 42개(個)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을 달리하는 개체를 선발(選拔)하여 그 특성(特性)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하고 형질상호간(形質相互間)의 관계(關係)를 구(求)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칡의 잎은 형태별(形態別)로 편원형(扁圓形), 마름모형(形), 천열각형(淺裂刻形) 및 심열각형(深裂刻形)으로 분류(分類)되었으며 엽면적(葉面積)은 30cm에서 220cm까지 분포(分布)되었고 분포(分布)의 형태(形態)로 보아 5계단(階段)로 분류(分類)된다. (2) 엽병장(葉柄長)은 5~45cm 사이에 분포(分布)되어 있었는데 잎의 열각(裂刻)과는 관계(關係)가 없었고 절간장(節間長)과는 오히려 -0.1759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나 엽면적(葉面積)과는 고도(高度)의 유의상관(有意相關)을 나타내었다. (3) 절간장(節間長)은 13cm에서 37cm사이의 분포(分布)를 보이고 있었던 바 절간장(節間長)은 잎의 열각(裂刻)이나 엽면적(葉面積)과는 유의상관(有意相關)을 보이지 않았으며 경태(莖太)와는 보통정도(普通程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다. (4) 경태(莖太)는 3.0~3.5mm가 가장 높은 출현빈도(出顯頻度)를 보였는데 경태(莖太)는 잎의 열각(裂刻)과는 유의상관(有意相關)이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나 엽면적(葉面積)과는 5% 수준(水準)에서 유의상관(有意相關)을 보이고 있다.

  • PDF

인삼의 임간재배가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ivation under Forest on thc Growth and Quality of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 남기열;손석룡;배효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권1호
    • /
    • pp.16-30
    • /
    • 1980
  • In order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ginseng, a cultural experiment was carried out under different types of natural forest condition. Seedlings were transplanted with three spacing (70,90 and plants per 1.62m2) under the broad leaved, needle and mixed forest.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1 Growth of aerial part of ginseng plant. 1) Vegetative growth under forest condition of very poor as compared with ordinary cultiv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in number of leaf and teasel. 2) Stem diameter and stem length under the different forest types were a little difference. However petiole length and number of leafet showed an increasing trend in broad leaved forest as compared with other forest types. 3) The withering date of aerial part of ginseng plant in the needle forest was later than of others. 2. Fresh weight of ginseng root per plant was decreasing in the order of broad leaved forest, needle and mixed forest, needle and sized forest respectively. However the root weight was much smaller than that of ordinary cultivated one. 3. No big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growth of both aerial and root among the planting density 4. Nitrogen content in ginseng root under forest was lower, but calcium content In root was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one. 5. Fat and fiber content of ginseng root under forest showed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one. 6. The saponin content of ginseng root grown under forest condition was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ginseng root. According to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m of saponin, only difference from ordinary cultivated ginseng root was that ginsenoside Re showed higher peak than ginsenoside Rg1.

  • PDF

예취빈도의 전환이 White Clover의 수량 및 형태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Yield and Morphology of White Clover in Response to Infrequent, Frequent Defoliation and Their Alternations)

  • 강진호;박진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21-227
    • /
    • 1995
  • 초지에서 white clover의 존속과 우점 모두가 문제시 되고 있다. 본시험은 white clover의 방목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예취적기의 장?단(1주, 4주)과 이들의 교호가 white clover의 예취수량 및 형태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간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pot 시험으로 실시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예취적기 4적에 비하여 1적에서는 예취수량 및 주당엽면적과 엽수, 엽병장, 주당포복경장이 감소되나 g당포복경장과 Specific Leaf Area는 증가되었다. 2. 예취적기 1적와 4적를 교호할 경우 예취수량은 1적 또는 4적로 계속예취한 것의 중간정도이었으나 초기에 4적로 예취한 것에서 높은 수량을 보였다. 3. 예취적기를 교호할 경우 잎과 관련한 형질은 예취적기의 장단에 따라 변하였으나 포복경과 관련된 형질은 교호전 예취적기의 영향이 비교적 장기간 지속되었다. 4. 예취적기를 교호할 경우 예취수량은 주당 엽면적, 엽수 및 포복경장과 정의 상관을. SLA와 g당포복경장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 PDF

인삼 품종과 육성계통의 작물학적 특성 변이 (Variations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Cultivars and Breeding Lines in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

  • 방경환;서아연;김영창;조익현;김장욱;김동휘;차선우;조용구;김홍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1-237
    • /
    • 2012
  •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Korean ginseng cultivars and breeding lines (Panax ginseng C. A. Mey.) and to identify the variations that can be utilized in ginseng breeding programs.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was used to clarify the genetic relationships among Korean ginseng cultivars and breeding lines and to classify them into distinct genetic groups. Angle of petiole and number of fibrous root showed a wide variation from $15.0{\sim}67.8^{\circ}$ and 0~5, respectively. The average plant length was 54.2cm with a range of 37.9~64.8cm and the average stem diameter was 5.6mm with a range of 4.0~7.5mm. The average stem length was 31.9cm with a range of 21.8~37.9cm and the average root weight was 38.1 g with a range of 23.0~52.0 g. The 24 Korean ginseng cultivars and breeding line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based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using the complete linkage cluster analysis. The I, II, III and IV groups included the 60.8%, 7.4%, 13.1% and 8.7% of the cultivars and breeding lines, respectively. The breeding lines in group I could be characterized as the group with the highest growth characters and yield components, such as plant length, stem diameter and root weight. The root weight, the yield component, had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tem diameter, plant length and stem length.

국내자생 오미자과(科) 3수종의 잎 형태, 엽록소 함량 및 목부해부학적 특성 (Morphology and Chlorophyll Contents of Leaf and Woo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ree Schisandraceae Species in Korea)

  • 김세현;이갑연;백을선;한진규;강문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1-37
    • /
    • 2010
  • 우리나라에 천연분포하는 흑오미자 4종류(자웅동주 제주 #41, #6, 숫그루, 암그루), 오미자 및 남오미자의 잎의 형태적 특성과 엽록소 함량 변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미자과의 잎 형질, 기공 및 목부 해부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수종 간 많은 차이가 있었으며, 흑오미자 4종류 내에서도 암그루, 숫그루 및 자웅동주 개체 간 많은 차이를 보였다. 잎의 길이는 남오미자가 가장 크고 다음이 오미자, 흑오미자 순이었으며, 흑오미자 4종류에서는 암그루가 가장 크고 자웅동주 개체가 중간이었다. 엽병길이는 흑오미자가 오미자와 남오미자에 비해 2배 이상 길었다. 기공길이에서는 흑오미자가 $92.5{\sim}105.9\;{\mu}m$, 오미자가 $79.9\;{\mu}m$, 남오미자가 $76.2\;{\mu}m$ 로 흑오미자의 기공길이가 길었으며, 기공 폭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여 흑오미자의 기공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공밀도는 오미자나 남오미자에 비해 낮았다. 도관요소 및 목부섬유의 크기도 기공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흑오미자 4종류 내에서도 자웅동주와 암그루, 숫그루 간 차이를 보였다. 엽록소 함량조사 결과 종 간 및 개체 간 변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흑오미자와 남오미자의 SPAD-501 값은 각각 $38.8{\pm}6.7$, $39.5{\pm}8.2$로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오미자는 SPAD-501 값이 $29.2{\pm}6.2$로 다른 두 수종에 비하여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지속적인 야간 저온에 의한 수박 품종별 식물체 생장 및 과실 비대 양상 (Plant growth and fruit enlargement among different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cultivars in continuous chilling night temperature conditions)

  • 이옥진;이희주;위승환;김태복;김상규;채원병
    • 환경생물
    • /
    • 제39권4호
    • /
    • pp.486-494
    • /
    • 2021
  • 수박은 저온에 민감한 작물로 10℃ 이하에서는 생육이 지연되거나 억제된다. 농가에서는 소득 향상을 위해 정식시기를 앞당기고 있으나 촉성재배 작형에서 안정적으로 수박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가온 혹은 보온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비용 및 노동력의 부담이 크다. 이에 따라 저온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재배기술과 촉성재배용 수박 품종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본 연구는 재배기간 중 지속적인 야간 저온에 의한 수박의 생장 및 과실 비대 양상 변화를 조사하여 내냉성 수박 품종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지속적인 야간 저온과 적온 환경에서 내냉성을 보일 것이라 예측되는 품종과 저온에 감수성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는 품종을 재배하고 생육을 비교하였다. 정식 후 생육 초기에는 내냉성을 보일 것으로 예측하였던 품종이 저온 조건에서 덩굴 길이의 감소율이 작았으며, 생체중과 건물중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교배기와 생육 후기에는 내냉성 품종 중 하나에서 감수성 품종보다 덩굴 길이, 엽장, 엽폭, 엽병길이의 생장이 억제되어 자원 간에도 생육단계에 따라 생장반응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과장, 과폭, 과중 또한 내냉성 품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생육량이 낮았으며 착과율도 감수성 품종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이는 품종의 육성목표와 선발기준이 정식 후 생육초기의 내냉성에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다양한 저온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품종을 개발하기 위해 유묘기부터 과실 비대기까지의 생육단계에 따른 내냉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고추냉이 잎 수경재배시 차광정도가 광합성 특성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ading on Photosynthetic Response and Growth Characteristics in Hydroponics for Wasabi Leaf Production)

  • 이주현;나상자르갈;최기영;이용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13
    • /
    • 2008
  • 본 연구는 고추냉이 수경재배시 유리온실내 무차광, 10, 30, 70% 차광률이 고추냉이 생육 및 광합성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광도가 증가할수록 엽록소 형광특성 ETR은 함께 증가하였으며, 무차광, 10%, 30%차광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70%차광 처리구는 다른 처리구에 비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Yield와 qP는 광도 증가와 함께 감소하였으며, 70% 차광 처리구에서 감소폭이 컸다. 광합성과 기공전도도는 10%차광에서 가장 높았으며, 증산율은 무차광 처리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고추냉이 엽면적과 생장량은 10%차광에서 가장 높았으며, 엽수는 무차광에서 가장 많고 차광률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엽장, 엽폭은 무차광, 10-30% 차광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엽병장은 무차광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뿌리의 생장은 70% 차광을 제외하고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70% 차광에서 고추냉이 잎과 뿌리의 생장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고추냉이를 11월에 정식하여 순환식 담액수경 방식으로 5개월간 재배한 결과 시설내의 차광률은 엽중, 엽병중, 엽면적과 광합성 특성 등을 고려할 때 10% 차광($700{\mu}molm^{-2}s^{-1}$)이 잎 생산에 적합하였다.

질소 시비농도가 잎들깨의 생육, 생리장해 발현 및 무기원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Growth, Deficiency Symptom and Tissue Nutrient Contents of Leaf Perilla (Perilla frutesens) as Influenced by Nitrogen Concentrations in the Fertigation Solution)

  • 최종명;박종윤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5-371
    • /
    • 2007
  • 본 연구는 질소의 시비농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잎들깨를 관비재배 하면서 질소의 시비수준이 생장과 결핍증상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생육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는 식물체 및 토양의 한계농도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질소 무시비구에서 지상부 식물생육의 심한 억제 현상과 노엽의 엽신 전체가 황화된 후 점차 괴사하는 결핍증상이 나타났다. 질소 시비농도가 높아질수록 정식 75일 후의 생체중과 건물중이 무거워졌고, 엽병 추출액의 $NO_3-N$ 농도와 토양 $NO_3-N$ 농도가 높아졌으나, 20mM 시비구에서는 질소과잉증상이 나타났다. $10{\sim}15mM$ 시비구에서 가장 바람직한 생장을 보였으며, 이때의 질소 함량은 건물중 기준으로 $0.9{\sim}1.25%$, 엽병추출액 및 1:2 추출법으로 분석한 토양의 $NO_3-N$ 농도가 각각 $800{\sim}3,300mg{\cdot}kg^{-1}$$28.7{\sim}47.3mg{\cdot}L^{-1}$ 범위에 포함되었다.

부자(附子)와 초오(草烏)의 내외부형태(內外部形態)와 패턴분석연구 (A study on morphological and pattern analysis in two kinds of Aconiti Radix)

  • 강준혁;최고야;김홍준;주영승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23-38
    • /
    • 2006
  • The taxonomic list of specific features in external and internal shape and the pattern analysis of Aconitum carmichalei $D_{EBX}$ as the original plant of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and Aconitum cliiare Dc as the original plant of Aconiti Ciliare Tuber are as follows. 1. Aconitum carmichalei $D_{EBX}$ has tri-palmately parted leaves, petiole in lower leaves, and its ovary has short hair. Whereas Aconitum cliare Dc has $3{\sim}4$ parted leaves, long petiole, and its ovary has not hair. 2. Aconitum carmichalei $D_{EBX}$ has cylinder shape is relatively small in length and diameter, is greyish brown blacky brown in outer surface, greyish $white{\sim}dark$ gray in section. 3. According to the collection place, there is a remarkable difference in the physical shape of herbal states.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e(medicated in Korea) is more transparent blacky brown color than Aconiti Lateralis Fadix Preparata(medicated in Chian). Also Black Aconi Radix(墨附片) has exodermis and White Aconi Radix(白附片) has not. 4.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entirely correspond to in internal shape described in the literatures, Only it is possible to discriminate between black Aconi Radix(墨附片) and White Aconi Radix(白附片) by the existence of cork layer. The classification between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and Aconiti Ciliare Tuber makes entirely Tuber makes entirely remarkable difference in the physical shape of cambium layer Namely, in shape of cambium layer the kinds of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la has horn-like shape and the kinds of Aconiti Ciliare Tuber has circle-like shape. 5. In the peak of examination substance in comparison to Rt of the index material diterpene alkaloid mesaconitine, aconitine, hypaconitine chromatogram Aconiti Ciliare Tuber is higher than in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This explain that the component changes after the process of medicine. 6. In the Content of mesaconitine, aconitine and hypaconitime Aconiti Ciliare Tuber is higher than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7. In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aconitine, hypaconitine and mesaconitine each appears in Rf 0.46, 0.54, 0.32. But except Aconiti Ciliare Tuber the band does not appear. For the future, such results will be used as the basic source of additional research, and a far-reaching comparative study is needed to distinguish between many kinds of same genus-degree of relatedn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