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tasites japonicum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114초

머위(Petasites japonicum) 추출물의 항알레르기 효과 (Anti-allergic Effects of Petasites japonicum)

  • 최옥범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82-385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민간에서 옻나무에 의 한 알레르기반응 및 기관지천식의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머위(Petasites japonicum)추출물의 항알레르기 효과를 RBL-2H3 세포로부터 hexosaminidase의 방풀 억제 정도를 측정하는 enzyme assay를 이용하여 검색하였다. 실험결과에 대한 오차범위가 낮은 추추출 300 $\mu\textrm{g}$/mL 농도의 수준에서 methanol 추출물은 83.33%, ethylacetate 추출물은 69.75%, 열수 추출물은 50.62%의 저해효과를 나타냈으며, 대조구로 사용한 quercetin은 같은 농도에서 85.80%의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정제된 quercetin의 hexosaminidase의 방출 억제 활성을 비교해 볼 때 머위 추출물이 조추출물 상태인 점을 고려한다면 상당한 항알레르기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어 새로운 항알레르기성 신기능 물질로의 이용방안을 탐색하는 기초자료가 되리라 사교된다.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Bakkenolide D in Petasites japonicus and Farfugium japonicum by HPLC/UV

  • Quilantang, Norman G.;Lee, Ki Ho;Lee, Dong Gu;Lee, Ju Sung;Cho, EunJu;Kim, Hyun Young;Lee, Sanghy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3권4호
    • /
    • pp.270-273
    • /
    • 2017
  • A quantitative analysis of bakkenolide D in the different parts of Petasites japonicus and Farfugium japonicum was performed by HPLC. A gradient HPLC elution system with a mobile phase consisting of water: acetonitrile solution (20:80 to 0:100 for 45 min) was followed and an INNO $C_{18}$ column was used for the chromatographic separation. The injection volume, flow rate, and UV detection were $10{\mu}L$, 1 mL/min, and 290 nm, respectively. Results show that both species showed the highest amount of bakkenolide D in the roots being 107.203 and 166.103 mg/g for P. japonicas and F. japonicum, respectively. Content analysis on the different parts of both plants displayed remarkably lower values which ranged from 0.403 - 4.419 and 7.252 - 32.614 mg/g for P. japonicas and F. japonicum,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the roots of both plants are rich in bakkenolide D showing a promising use in the development of nutraceuticals and industrial application of the compound.

머위로부터 분리한 apoptosis 조절물질 (An Apoptosis Regulator isolated from Petasites japonicum)

  • 이충환;정명철;이호재;고영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448-453
    • /
    • 2000
  • 천연물로부터 U937 세포주를 사용한 caspase-3 유도저해물질을 탐색한 결과 머위(Petasites japonicum)를 선발하였다. 머위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HPLC 등을 사용하여 저해물질을 분리하였으며, UV, EIMS, 1H-NMR, $^{13}C-NMR$, HMBC등의 기기분석을 실시한 결과 [3-(3,4-dihydroxyphenyl)-2-oxopropyl] ester로 동정되었다. 이 물질은 $IC_{50}\;8\;{\mu}g/ml$의 농도로 U937 세포주의 etoposide에 의한 caspase 3 유도를 저해하였으며, DNA fragmentation도 저해하였다. 또한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