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tal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31초

생육이 강한 대형 백색계 심비디움 'White Princess' 육성 (A New Cultivar Cymbidium 'White Princess' with White Color and Vigorous Growth)

  • 김미선;조해룡;이혜경;임진희;최성렬;김영진
    • 화훼연구
    • /
    • 제16권4호
    • /
    • pp.295-298
    • /
    • 2008
  • 'White Princess'(화이트프린세스) 품종은 원예연구소에서 2005년도에 육성한 심비디움 품종이다. 이 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1995년도에 화색이 연한 자주색 계열의 심비디움 수집 유전자원 Cym. '2113'을 모본으로 착화성이 우수하고 꽃송이가 큰 연분홍색의 'Lucky Rainbow Randevious'를 부본으로 교배를 실시하였다. 1996년부터 1999년까지 실생계통 90개체를 양성하면서 엽형, 화색 및 화형이 우수한 개체를 선발하여 2000~2004년에 1,2차 특성검정과 품평회 결과 생육 및 개화특성이 우수한 '원교 F1-14' 계통을 최종 선발하였다. 생육이 강건하고 화색이 선명하고 화형이 둥글고 꽃 폭이 약 8cm 정도로 크며 개화시기가 12월에서 1월경이었다.

시클라멘의 몇 가지 형질의 유전 (Inheritance of Several Qualitative Characters in Cyclamen persicum)

  • 송천영;오대근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88-194
    • /
    • 2010
  • 시클라멘의 꽃 및 꽃눈의 색, 잎의 모양과 무늬 등의 질적 형질에 대한 유전 분석을 위하여 이들의 특성이 다른 계통을 교잡한 후, $F_1$, $F_2$ 및 여교잡 세대에서 분리비를 조사하였다. 화색은 $F_1$이 양친의 중간색을 나타냈고, $F_2$는 자방친 화색: 중간 색($F_1$과 동일): 화분친 화색이 1: 2 : 1로 분리되어 한 쌍의 대립유전자가 불완전우성으로 유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꽃눈 색은 흰색 ${\times}$ 빨간색 계통의 조합에서 $F_1$이 빨간색으로 나타났고, $F_2$에서 빨간색 3: 흰색 1로 분리되어 한 쌍의 대립유전자가 우성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모인 꽃잎 형태는 흐트러진 꽃잎 형태에 대하여 완전우성으로 유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잎 형질에 있어서는 넓은 은색 무늬 잎이 선형 무늬 잎에 대하여, 그리고 피침형 잎 끝이 타원형 잎 끝에 대하여 각각 우성으로 작용하는 한 쌍의 대립유전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시클라멘의 질적형질의 발현에는 한 쌍의 대립 유전자가 작용하며 꽃의 색은 불완전우성으로, 꽃눈의 색, 잎의 형태 및 무늬는 완전우성으로 유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백색 스탠다드 장미 'White Day' 육성 (Breeding of Standard Rose Cultivar, 'White Day' with White Petal)

  • 김성태;김원희;이은경;이수영;허건양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23-626
    • /
    • 2010
  • 1998년도에 백색의 스탠다드 'Athena' 품종을 모본으로 수량이 많은 백색 스탠다드 'Tineke' 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1999년에 95개체의 실생을 획득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2000년부터 2002년까지 3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실시한 후 최종 선발 된 '원교 D1-19'를 'White Day'로 명명하였다. 'White Day'의 화색은 백색으로 RHS 칼라챠트번호 149D이며 화형은 반고심형의 화형이며 향기는 'Tineke'에 비하여 많았다. 꽃잎수는 93.5개로써 'Tineke'의 69.8개보다 많았으며 화폭은 14.3 cm로 'Tineke'보다 약간 컸다. 평방미터당 년간 절화수량은 106.3본으로 'Tineke'보다 적었으며 절화장은 68.4 cm 절화경경은 5.2 mm로 'Tineke'와 비슷한 절화형태를 보였다. 또한 절화수명은 13.4일로 'Tineke'보다 약간 길었으며, 기호도 평가에서도 'Tineke'보다 우수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Morphological characters, Total phenolic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Genetic Resources

  • Awraris Derbie Assefa;Young Jee Kim;Ae-Jin Hwang;Bich-Saem Kim;Jae-Eun Lee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4-94
    • /
    • 2020
  • Safflower, a draught and salt tolerant oil seed crop of Compositae family, has been cultivated around the world mainly as source of edible oils and dyes, where India, the USA, Mexico, Australia, and Ethiopia contributing about 85% of the production altogether. In this study we have characterized some selecte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safflower plant and determined the the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seeds of 237 genetic resources. All the seed coats were white colored while the petals had red, yellow and white pigments. The yellow was the predominant petal color being recorded in 182 accessions followed by red occurring in 49 accessions. The petal color of 47 of the accessions changed with development while the 190 accession showed no change of color. The leaves are ovate to obovate, mostly with dentate (21 moderate and 205 weak) and few smooth (11) margins. The plant length, leaf length, and leaf width were ranged between 65.7 and 160.8 cm, 14.3 and 37.0 cm, and 3.3 and 12.1 cm, respectively. The TPC was determined using Folin-Ciocalteu metho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evaluated using gas chromatography. The TPC content ranged from 23.71 to 132.72 µgGAE/mg dried extract (DE). The seeds of safflower genetic resources accounted an average crude fat content of 26.25% (14.84 to 41.70%). The total fatty acid is mainly comprised of 71.72% linoleic acid (18:2) and 20.08% oleic acid (18:1) on average, the remaining palmitic acid (16:0), stearic acid (18:0) and linolenic acid (18:3) contributing 5.84, 2.23 and 0.15 %, respectively.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safflower seeds has shown great variability, where oleic and linoleic acid have a wide range of variation, from 9.23 to 83.35% and from 10.46 to 82.62%, respectively

  • PDF

Influence of floral-derived natural pigments on the growth, coloration, and biochemical profiles of golden trevally (Gnathanodon Speciosus Forskal, 1775)

  • Trang Le Thi Tran;Dung Van Tran;Manh Van Ngo;Thanh Thi Hoang;Hau Thi Luong;Thanh Trung Da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7권9호
    • /
    • pp.622-633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various plant-derived carotenoid extracts on growth parameters and skin coloration of golden trevally (Gnathanodon speciosus). Five groups of fish were fed diets containing carotenoid sources from the petal extracts of the leopard tree (Caesalpinia ferrea), wild sunflower (Tithonia diversifolia), marigold (Tagetes erecta), yellow bells (Tecoma stans), Wedelia chinensis (Wedelia chinensis), along with a control group, each diet had a carotenoid concentration of 0.25 g/kg feed. The diets were based on the same fundamental ingredients and administered for 56 days.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wth parameters among the different diets, with wild sunflower and marigold petal extracts proving most effective in enhancing the skin coloration of golden trevally. High yellow (CIE b*), ranging from 17.2 to 18.8, were observed (Minolta CR-400), compared to only 12.2 ± 0.34 in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the carotenoid content in the tissue of the various groups differed significantly (p < 0.05), with the highest level of carotenoids (71.2 ± 2.9 ㎍/g tissue) detected in the fish skin of the dietary marigold flower group (UV-visible spectrophotometry). It is suggested that the petals of wild sunflowers and marigolds can efficiently improve body pigmentation and growth performance in golden trevally, indicating that these plant-derived carotenoids may have potential applications in aquaculture.

일경다화성(一莖多花性) 백합(百合) 절화(切花)의 개화(開花)와 수명연장(壽命延長)을 위(爲)한 보존용액(保存溶液)의 효과(效果) (Effect of Preservative Solutions on Flowering and Vase Life of Multiflowered Cut Lily (Lilium longiflorum Thunb.))

  • 이종석;김영래;구자형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249-256
    • /
    • 1983
  • 1경(莖) 4화(花)의 백합절화(百合切花)에 있어서 각(各) 화(花)의 개화양상(開花樣相)과 절화보존용액(切花保存溶液)의 효과(效果)를 조사(調査)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제(第)1화(花)는 절화보존(切花保存) 후(後) 1~2일(日), 2화(花)는 3~4일(日), 3화(花)는 5~6일(日)이면 개화(開花)하여, 1, 2, 3화(花)가 동시관상(同時觀賞)이 가능(可能)하였으나, 제(第)4화(花)는 1, 2화(花)의 수명(壽命)이 끝날 무렵인 8~9일(日)이 지나서야 개화(開花)하였다. 보존용액(保存溶液)들 간(間)에서 각(各) 화(花)의 개화시기차이(開花時期差異)는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 한줄기에 있어서 각(各) 화(花)의 수명(壽命)은 제(第)1화(花)에서 4화(花)로 갈수록 수명(壽命)이 짧았고 보존용액(保存溶液)의 수명연장효과(壽命延長效果)는 4화(花)에서 1화(花)로 갈수록 크게 나타났다. 3. 절화(切花)한 다음 수일(數日) 후(後)에 개화(開花)하게 되는 제(第)3화(花) 및 4화(花)는 sucrose와 $AgNO_3$ 또는 HQ가 혼합(混合)된 용액(溶液)에 보존(保存)하였을 때 제(第)1, 2화(花)와 같은 정도의 화장(花長)과 수명(壽命)을 유지(維持)할 수 있었다. 4. 보존용액(保存溶液)에 sucrose와 $AgNO_3$, HQ가 모두 혼합(混合)될 때 화장(花長), 흡수량(吸收量), 생체중(生體中), 절화수명연장등(切花壽命延長生等)에 좋은 효과(效果)를 보였으며 sucrose만의 처리(處理)는 절화수명연장(切花壽命延長)에는 다소(多少) 효과적(效果的)이었으나 흡수량(吸水量)은 증류수(蒸留水)에 비(比)하여 감소(減少)되었고 생체중(生體重)과 화장(花長)의 증가(增加)에도 별 효과(效果)가 없었다.

  • PDF

인위배수성(人爲倍數性) 임목(林木)에 관(關)한 연구(硏究) XIII -Colchitetraploid인 자주무궁화와 단심무궁화의 몇 형태학적(形態學的) 및 생리학적(生理學的) 특성(特性)- (Studies on Artificial Polyploid Forest Trees XIII -Some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lchitetraploid Hibiscus syriacus L.-)

  • 이석구;김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3-86
    • /
    • 1976
  • 무궁화의 종자(種字)에 colchicine처리(處理)를 실시(實施)하여 얻어진 18년생(年生)의 무궁화중 자주무궁화 2본(本)(선발4개체(選拔4個體)자주무궁화(1), 선발4개체(選拔4個體)자주무궁화(2))와 단심무궁화 1본(本)(선발4개체(選拔4個體)단심무궁화)을 선발(選拔)하고 그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선발4개체(選拔4個體)자주무궁화(1) 선발4개체(選拔4個體)자주무궁화(2) 및 선발4개체(選拔4個體)단심무궁화는 체세포염색체수(體細胞染色體數)가 2n=160개(個)이고 비교무궁화는 2n=80개(個)로써 선발4개체(選拔4個體)자주무궁화(1) 선발4개체(選拔4個體)자주무궁화(2) 및 선발4개체(選拔4個體)단심무궁화는 4배체(倍體)무궁화였다. 2. Diploid의 단심무궁화, 자주무궁화와 tetraploid의 단심무궁화, 자주무궁화의 엽(葉)의 과산화동위효소(過酸化同位酵素)가 고활성(高活性) band는 cathode측(側)에 편중(偏重)되고 있고 f band와 v band는 이들 무궁화의 기본(基本) band이며 그리고 효소변이(酵素變異)는 배수성(倍數性)과는 무관(無關)하다. 3. 선발4개체(選拔4個體)자주무궁화(1)의 꽃은 비교(比較)자주무궁화에 비(比)하여 크고 농자색이있다. 선발4개체(選拔4個體)자주무궁화(2)는 꽃의 크기가 비교자주무궁화에 비(比)하여 증대(增大)되지 않았으나 색(色)이 농자색이었으며 꽃잎 기부(基部)에 있는 적단심(赤丹心)이 꽃잎길이의 $\frac{2}{3}$까지 확대되어 있었다. 그리고 선발4개체(選拔4個體)단심무궁화의 꽃의 크기는 비교(比較)단심무궁화에 비(比)하여 크기가 증대(增大)되고 꽃잎의 기부(基部)에 있는 적색조맥(赤色條脈)이 꽃잎길이의 $\frac{2}{3}$까지 뻗어 있었다. 4. 선발4개체(選拔4個體)자주무궁화(1), 선발4개체(選拔4個體)자주무궁화(2) 및 선발4개체(選拔4個體)단심무궁화에서 잎의 두께 공변세포(孔邊細胞), 화분경(花粉徑), 섬유장(纖維長) 및 섬유폭(纖維幅)은 모두 비교(比較)무궁화에 비(比)하여 증대(增大)되었다. 5. 삽목활착율(揷木活着率)은 선발4개체(選拔4個體)자주무궁화(1)이 80%, 선발4개체(選拔4個體)단심무궁화가 36%이었으며 삽목묘(揷木苗)의 생장상황(生長狀況)은 2년생(年生)에서 선발4개체(選拔4個體)자주무궁화(1) 및 선발4개체(選拔4個體)단심무궁화 모두 비교(比較)무궁화보다 뒤떨어졌다.

  • PDF

백두산의 미기록 식물: 수림란(난초과) (First record of Androcorys pusillus (Orchidaceae) from Mt. Baekdu)

  • 이정심;김수남;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7-29
    • /
    • 2013
  • 수림란 Androcorys pusillus (Ohwi & Fukuy.) Masam.은 그동안 일본과 대만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난초과 식물로 백두산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수림란은 꽃받침의 가장자리에 거치가 있고, 꽃잎이 중앙 꽃받침처럼 넓으며, 포가 큰 특징을 가져 근연종과 뚜렷이 구별된다.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Red Rose Petals

  • Kim, Hyun-K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3호
    • /
    • pp.139-148
    • /
    • 2020
  • Red rose petals are usually disposed but they are an abundant source of phenolics and traditionally used as food supplement and as herbal medicine. Of the Various phenolics, they are known to have anticance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ed rose ethanolic extracts (GRP) on lipopolysaccharide (LPS)-activated RAW 264.7 cell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pretreatment of GRP (500㎍/mL) significantly reduced NO production by suppressing iNOS protein expression in LPS-stimulated cells. Anti-inflammatory effects by red rose petals were observed in the following. Red rose petals inhibited the translocation of NF-κB from the cytosol to the nucleus via the suppression of IκB-α phosphorylation and also inhibited LPS-stimulated NF-κB transcriptional activ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ed rose petals exert anti-inflammatory actions and help to elucidate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potential therapeutic values of red rose petals. Therefore, red rose petals could be regarded as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inflammatory agents.

한국산 원지속(Polygala) 약용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n Korean Medicinal Plants of Genus Polygala)

  • 오병운;노재섭;이경순;김재길
    • 생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16-322
    • /
    • 1996
  • Three medicinal species of the genus Polygala were examined by comparative morphology, anatomy and TLC analysis.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species, and distinctly divided into two groups in this study. Group I is composed of P. japonica, P. sibirica and Group II P. tenuifolia. Consider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wo groups by the differences of leaf shape, adnated part of petal, flower colour, fruit shape etc., Group II may have been independently evolved from the common ancestor by having one raw of palisadelike chlorenchyma under the stem epidermis through the different pathway.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taxa of Group II appear to be more advanced than those of Group I.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