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sticide contamination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7초

Pesticides with Reduced Risk Characteristics

  • Racke, Kenneth D.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2003년도 추계국제학술대회
    • /
    • pp.127-128
    • /
    • 2003
  • During the past decade a reduced risk pesticide registration program has been in operation in the United States (Racke, 1992). The general principle of the reduced risk pesticide registration program in the U.S. is to give registration priority and accelerated approval to products with the most favorable characteristics as compared to currently available alternatives (EPA, 1997). The overall objective is to accelerate the introduction of these types of products so that marketplace choices rather than increased regulatory restrictions can lead to replacement of older products and technologies with newer ones. Under the program, pesticides classified as “reduced risk” products must meet several or all of the following criteria as compared with currently available alternatives: $\textbullet$ Reduced risks to human health $\textbullet$ Reduced risks to non-target organisms (e.g., fish, birds) $\textbullet$ Reduced potential for contamination of environmental resources (water, air, soil) $\textbullet$ Broadened adoption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 PDF

작물생산과 농업공해 및 그 대책 (Agriculture Pollution and its Countermeasures with Special Consideration of Pesticides)

  • Li, Gwo-Che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40-360
    • /
    • 1982
  • Because of the continuing rapid increase in pesticide usage in Taiwan, much attention has been focus on pesticide contamination of food and effect of pesticides on human and environmental health. The Plant Protection Center (PPC) conducts safety evaluation of pesticides usee! in Taiwan. The pesticides are classified into different groups based on their acute toxicities. Pesticides which are classified into extremely toxic group are not allow to used on short term crops or the continuously harvest crops. The acute toxicity of pesticides to the beneficial insects are also studied, special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two predators of rice brown planthopper. 60% of cultivated land in Taiwan are paddy field; therefore, acute fish toxicity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a pesticide was applied for registration to be used in the paddy. Fish toxicities were evaluated by the dangerous rating value which is the amount of pesticide residue in the field water over the TLM value. Mutagenicity of pesticides was continuously evaluated by using Arne's microbial testing method. Island wide survey of residual levels of pesticides of known pollutants such as chlorinated hydrocarbon . insecticides, mercurial compounds in soil, water and biological samples were carried out constantly. The potential of a new1y Imported esticides to pollute the environment were studied by using model ecosystem. Ecological magnification (EM) of a chemical was calculated from model ecosystem. A chemical was considered as a pollutant when its EM value over 5000. In order to ensure the levels of pesticides residue of the crop within the safety limit. The 'tolerance' of pesticides on different crop groupings were established base on 1) acceptable daily intake value of individual pesticides, 2) average daily consumption of each crop groupings by Chinese person, 3) Actual residues of pesticides. on different crops obtained from supervised trials. Total about 79 pesticides for which the tolerances have been established on different crop groupings. Because the intensive agricultural system was adopted in Taiwan. The phytotoxicity of pesticides to the non-target crops was therefore become one of the important factor in the safety evaluation of pesticide usage. These will include 1) direct injury, 2) injury caused by pesticide polluted irrigation water, 3) injury caused by the pesticide polluted soil, 4) reduction of growth caused by the effect of pesticide on the soil microorganisms. This paper will reviewed all the aspects mentioned in the previous .paragraphs. Most the works have done in Taiwan by the PPC.y the PPC.

  • PDF

농약살포 농민의 농약노출로 인한 건강피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lth Effects of Pesticide Exposure among Farmers)

  • 이경무;민선영;정문호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5권2호
    • /
    • pp.245-263
    • /
    • 2000
  • 본 연구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농약살포를 대부분 담당하는 남성 농민들에 대하여, 농부증을 포함한 만성증상과 농약살포시의 이상증상경험, 이상증상 경험시 살포한 농약, 농약살포시의 안전수칙 준수, 보호구의 착용실태, 가족 중 농약으로 인한 사고경험을 조사하고, 농약노출과 연관된 변수들간의 연관성, 급성중독경험 및 만성증상과 관련된 요인을 고찰하였다. 만성증상으로는 '몸이 나른하고 힘이 없다', '허리가 아프다'. '밤중에 소변을 보기 위해 깬다' 등의 증상이 많았으며, 농약살포 시의 임상증상 경험율은 '피부발진/가려움증', '어지러움/두통'의 경우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조사 대상자의 7.1%가 가족중 농약으로 인한 사고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중 농약살포시 중독, 안전사고 및 자살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농약살포 시의 준수사항 중, '뿌린 후 목욕을 한다'와 '뿌린 후 바로 옷을 갈아입는다' 등의 경우가 준수율이 높았으나, '보호구를 잘 세탁해서 보관한다', '뿌린 후 용변을 볼 경우 손을 씻는다', '한낮에는 뿌리지 않는다' 등의 경우는 낮은 준수율을 보였다. 농약살포시 보호구는 '물에 타서 살포할 경우', '입제를 살포할 경우'에 비해 보호구를 더 잘 착용하였으며, 착용율은 모자, 장화, 마스크, 장갑, 방제복 하의의 순이었다. 농약살포시 이상증상경험과 관련된 요인은 농약살포시 준수사항 준수, 살포시간, 과수재배, 경작면적, 연간 농약살포일 등이었으며, 농민의 만성증상과 관련된 관련된 요인은 농약살포시 이상증상 경험, 경작면적, 농사경력, 농약살포시 준수사항 준수, 전업여부, 농약에 대한 노출 등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농약살포시 준수사항의 준수율과 보호구 착용율을 높이며 농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체제적인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농약에 대한 노출이 농민의 만성증상의 한 원인이라는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우나, 원인적 연관성일 가능성을 배재할 수는 없을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농약노출을 정확히 산출하고, 좀더 명확한 건강영향의 생물학적 지표(biological marker)를 측정하여 이들의 연관성을 고찰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토양 column을 이용한 토성 및 자갈함량별 농약 이동특성 (Mobility of pesticides in different soil textures and gravel contents under soil column)

  • 이상민;김성수;박동식;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30-337
    • /
    • 2005
  • 토성(미사질식양토, 태백; 사양토, 횡성; 양토, 춘천) 및 자갈 함량(0%, 20%, 40%, 60%)에 따라 7종 (carbendazim, carbofuran, chlorpyrifos, cypermethrin, dimethomorph, diniconazole, endosulfan)의 농약을 토양 컬럼에 처리한 후 증류수로 담수상태를 유지하며 수거한 용탈수와 용탈수 수거 후 채취한 토양 중 농약 잔류량을 파악하여 수계 및 토양으로의 농약 이동특성을 평가하였다. 토성 별 용탈수 중 농약은 수용해도가 가장 높은 carbofuran이 세 토양 모두에서 총 검출량의 87% 이상 초기 $2{\sim}4$ L 채취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토양중 carbendazim과 carbofuran을 제외한 5종의 농약 검출량은 미사질식양토 > 양토 > 사양토 순이었다. 컬럼의 상, 중 및 하단의 토양 중 농약 검출량은 carbofuran을 제외한 6종의 농약이 clay 함량이 유사한 미사질식양토 및 양토의 컬럼 상단에서 $50{\sim}92%$ 수준으로 검출되는 경향을 보여 수계로의 농약 이동성 및 토양잔류성은 각 농약의 수용해도와 토양 중 clay 함량에 의존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자갈함량에 따른 농약의 잔류경향은 토성별 실험과 유사한 결과를 얻었으며, 이동특성 또한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자갈함량이 증가할수록 용탈수의 이동 속도 증가와 함께 시간당 농약의 이동량도 증가하였다.

국내 유기상추의 생산환경 조사분석 (Assessment of Pre-Harvest Environmental Factors in Domestic Production of Organic Lettuce)

  • 남궁민;김범석;허성진;최용범;허장현;박덕환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8-94
    • /
    • 2014
  • 현재까지 신선 농산물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화학적 및 생물적 위해요인에 대한 연구는 주로 수확 후 또는 판매 농산물에 국한되었다. 그러나 최근 위해요인의 오염원 및 전염경로로 수확 전 생산환경 시료들이 주목되면서 생산환경 시료에 대한 위해요인 조사분석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 관개수 및 퇴비 등의 수확 전 생산환경 시료와 수확 후 관리시료 들에 대한 화학적(잔류농약, 중금속) 및 생물적(호기성 미생물, 대장균군, 식품 위해미생물) 위해요인을 조사분석하였다. 조사시료수는 각각 화학적 위해요인 43 시료 그리고 생물적 위해요인 83 시료를 분석하였다. 유개재배지 시료 중에는 토양시료 1점에서 dimethomorph만이 미량으로 검출되었으나 관행재배지 살포농약의 오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관행재배지 시료에서는 시료간 동일검출 항목을 제외한 총 20 종류의 잔류농약이 검출되었다. 또한 중금속의 검출은 유기 및 관행재배지 각 시료에서 나타났으나, 모두 우려기준 이하로 조사되었다. 한편 호기성 미생물은 7 log CFU/g으로 조사되었으며, 대장균군은 이보다 매우 낮은 농도를 보여주었다. 특히 5종의 식품 위해미생물 중에서는 Bacillus cereus만이 검출되었으나, 신선편의 식품의 검출한계보다 낮은 농도로 조사되었다.

인삼의 GAP (우수농산물인증) 관련요소 분석 (Analysis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in Panax ginseng C.A. Mayer)

  • 유용만;오세찬;성봉재;김현호;윤영남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20-226
    • /
    • 2007
  • 우리나라 인삼의 대표적 재배지인 금산군에서 GAP인삼 생산을 희망하는 10농가를 선발하여, GAP인삼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농약 및 중금속의 잔류 그리고 미생물 등의 위해요소가 오염되었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검토 대상은 경작되고 있는 인삼을 비롯하여 인삼밭의 토양, 수질 등 3종류로 하였다. 토양에서의 농약잔류를 검사한 결과, 인삼농가 및 일반농가 토양에서 자주 사용되는 Carbendazim등 81개의 농약을 선발하여 분석하였으나, 인삼에 등록된 농약별 최대잔류허용수준을 초과하지 않고 모두 적합판정의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인삼재배 토양에 중금속의 오염우려가 되는 비소 등8종류의 조사 하였으나 기준치 보다 적게나와 전부 적합 판정을 받았다. 한편 관개수 및 농약희석 살포 등으로 사용되는 수질을 조사한 결과도 조사된 10농가가 모두 안전하였다. 참여농가 밭에서 직접 채취한 인삼에서 24종의 농약을 분석한 결과도 적합 판정으로 나타났다. 조사농가 수삼에 존재하는 위해성 미생물 검사에서 Pantoea spp등 2종의 Gram 음성균과 1종의 그람양성균(Staphylococcus sciuri)이 동정되었으며, 일반세균 수는 $1.5{\times}10^3$ cfu/ml 로 다른 농산물보다 적은 수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이번 조사한 금산 지역에서는 GAP 인산재배 생산에 적합한 토양, 수질을 보였으며, 기존 생산한 인삼에서도 GAP 농산물 생산 기준에 적합하였다.

Good agricultural practices 모델 개발을 위한 양파 및 생산 환경에서의 위해요소 조사 (Investigation of Hazards from Onions and Their Cultivation Areas to Establish a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Model)

  • 최영동;이채원;김정숙;정덕화;심원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85-79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azards from onions and their cultivation areas. A total of 32 samples were collected from onion farms and tested for biological (sanitary indicators, and pathogenic bacteria and fungi) and chemical (heavy metals and pesticide residues) hazards.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s were detected at a level of 0.2-7.1 log CFU/g (or mL) in the soil and agricultural water, 1.6-3.6 log CFU/g on surface of the onion, 0.0-6.0 log CFU/hand (or $cm^2$) on the workers' hands, clothes, and gloves, and 4.7 log $CFU/cm^2$ on the onion bags. Fungi were detected at a level of 0.0-5.0 log CFU/g (or mL, hand, or 100 $cm^2$) in all the samples. Staphylococcus aureus was detected at a level of 1.2 log CFU/hand on the workers' hands, the detection level of Bacillus cereus was up to 4.8 log CFU/g in the soil. However, Escherichia coli (and in particular strain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Although heavy metals were detected in the environment (in soil and agricultural water) and pesticide residues were detected in onion, the levels were lower than the regulation limits.

정밀분석용 용매 및 SPE의 Nonylphenols 오염평가 및 제거 (Investigation of Nonylphenols Contamination in Solvents and Solid-phase Extraction Cartridge, and its Removal Protocols)

  • 박종민;최근형;김정임;홍수명;권오경;임건재;김진효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2-27
    • /
    • 2011
  • 계면활성제인 4-alkylphenol polyethoxylate는 한국 등 여러 국가에서 매우 광범위하계 사용되어 왔으나 이들 화합물 및 분해산물이 최근 내분비계에 장애를 일으키는 환경호르몬 물질로 분류됨에 따라 농약 등의 첨가물로 사용가능한 nonylphenols(NPs)에 대한 잔류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극미량 정밀 잔류분석기술이 필요한 nonylphenols에 대하여 분석용매 몇 정제용 카트리지 선정에 필요한 전처리기술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HPLC등급의 용매이라 할지라도 $Et_2O$의 경우 100배 농축 용매에서 NPs가 검출되어 시료 분석 시 방해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이의 제거를 위해 $CaH_2$를 사용한 증류 후 사용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시료정제용 카트리지는 silica gel 및 Florisil 제품군, 그리고 glass ware과 plastic ware로 나누어 카트리지 내 nonylphenols 잔류량을 분석한 결과 silica gel 제품군 glass ware 제품이 전처리 정제용으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내분비계장애추정농약의 밭토양 중 용탈 특성 (Leaching Characteristics of the Endocrine Disruptor-suspected Pesticides in Upland Soil)

  • 노현호;이재윤;이광헌;박효경;경기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68-177
    • /
    • 2013
  • 내분비계장애추정농약의 밭토양 중 용탈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토양칼럼(내경 5 cm, 높이 35 cm)을 이용하여 alachlor 등 13종 농약의 용탈시험을 수행하였다. 토양 A를 충전한 칼럼에 2001년부터 청주지역의 6-8월까지 10년간 평균 일일강수량인 12.6 mL를 매일 용탈시켜 3일 간격으로 모으는 방법으로 3주간 용탈시켰을 때 용탈수에서 metribuzin이 극미량 검출된 것을 제외하고 모든 시험농약은 용탈되지 않았다. 그러나 토양 A와 B를 충전한 칼럼에 2 L의 증류수를 연속 5회 용탈시키는 방법으로 시험하였을 때 수용해도가 낮고 토양 흡착성이 큰 cypermethrin, endosulfan, fenvalerate, parathion, trifluralin은 토양 종류에 관계없이 용탈수에서 검출되지 않았고 주로 토층 0-5 cm 부위에 분포하여 시험농약의 물에 대한 용해도와 토양에 대한 흡착특성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Carbaryl과 methomyl이 다른 농약에 비해 용탈율이 높았으나 토층이 자연상태의 농경지와 다른 토양 충전 칼럼에서는 처리 농약의 대부분이 용탈된 반면 실제포장과 유사한 조건의 lysimeter 실험에서는 극미량의 농약이 용탈되었다는 선행연구의 연구결과 등을 고려하면 지하수 오염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우리나라 농산물중의 잔류농약과 안전성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and Its Countermeasures for Safety)

  • 송병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1-132
    • /
    • 1992
  • 농산물은 모든 인간이 섭취해야하는 식품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생산공급과 안전성을 확보하는 일은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안정적인 생산공급을 위해서는 천재지변을 제외하면 병해충의 방제가 가장 중요한 과제이며 농약은 병해충 방제에 가장 확실하고 최종적인 수단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병해충 방제에 사용된 농약이 농산물 중에 잔류되어 우리에게 피해를 줄 수도 있으므로 이에 대해 대책마련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 나라는 농산물 중 농약의 잔류허용기준 (MRL)을 선정하여 고시하고 이를 법적으로 규제하고 있으며 또한 농산물의 생산단계에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농약의 안전사용기준을 설정하여 이를 준수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한편 신규 농약의 등록 시에는 안전성에 관련된 모든 자료를 면밀히 검토하여 안전성이 확보된 농약만을 고시하고 있으며 사용중인 농약이라고 위해성이 문제 될 때는 단계적인 시험조사와 자료검토를 통하여 규제의 범위를 결정하고 있다. 최근에 조사한 국내 생산 농산물 중의 농약잔류량은 MRL을 초과하는 것이 없으며 이들을 식품으로 했을 때의 농약 섭취량도 개개의 농약은 물론 잔류농약 전체를 합하여도 ADI에 휠씬 못미치고 있어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금후에도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 공급하기 위해서 생산자인 농민이 농약안전사용기준을 철저히 준수하여 농약을 사용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농약잔류량의 체계적인 조사연구가 계속 확대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