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sticide Usage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초

농약사용 지표설정을 위한 수도용 농약사용량 조사분석 (Survey on Pesticide Usage in Paddy Rice for the Establishment of Pesticide Use Indicator)

  • 권오경;홍수명;최달순;성기석;임양빈;강충길;송병훈;오병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5-39
    • /
    • 2000
  • 국내 농업환경 중 농약지표 설정을 위해 16개 지대 29지역 100농가를 대상으로 수도 재배용 농약 실제 사용량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농약별 실제 사용량에 따른 잔류 경향을 알아보고자, 조사농가에서 재배된 벼의 현미 및 볏짚 중 농약잔류량을 분석하였다. 수도재배시 용도별 농약 실제 사용량은 살충제 43%, 제초제 29%, 살균제 27%를 나타냈으며, 살충제 중 주요 사용농약은 carbofuran, BPMC, cartap 등이었다. 제초제는 혼합제인 molinate+pyrazosulfuran-ethyl과 butachlor, 살균제의 경우 IBP와 혼합제 isoprothiolan+tricyclazole이 우선적으로 사용되었다. 제형별 농약사용량은 입제농약 위주의 사용경향을 나타냈으며 GR>DP>WP>EC>FG>SP 순이었다. 수도재배 단위면적당(a.i./ha) 농약사용량은 7.13 kg이었으며, 전국 총 사용량을 추산한 결과 8,387 M/T로 추정되었다. 용도별 농약 실제 사용량과 출하량과의 일치도는 살충제 84.3%, 제초제 77.8%, 살균제 94.7%로 나타났고 총 실물량 일치도는 97%이었다. 농약 실제 사용량에 따른 농약잔류성은 살균, 살충제로서 사용 빈도가 높은 농약인 BPMC와 IBP가 $57.7{\sim}94.9%$의 높은 검출빈도를 나타냈으며, 이들 농약의 잔류수준은 허용기준 미만이었다.

  • PDF

경북지역 농약사용 및 식물보호기사 자격증 활용실태 (Current Pesticide Usage by Kyeongbuk Farmers and Applicability of Plant Protection Certificate)

  • 이영근
    • 식물병연구
    • /
    • 제12권2호
    • /
    • pp.103-107
    • /
    • 2006
  • 현 농약관리법 개선을 위하여, 농민들의 농약사용실태와 식물보호분야에 종사하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식물 보호기사 자격증 활용실태와 농약판매업 등록 기준에 대한 문제점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농민들이 농약판매점이 추천해주는 농약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농약 오남용이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식물보호분야에 종사하는 실무자들의 대부분이 자신들은 물론 농약판매상들에게도 식물보호기사 자격증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하였다. 따라서 식물보호 전공지식을 갖춘 사람들이 농약판매업에 종사하도록, 농약판매업등록기준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Exploring the Impact of Pesticide Usage on Crop Condition: A Causal Analysis of Agricultural Factors

  • Mee Qi Siow;Yang Sok Kim;Mi Jin Noh;Mu Moung Cho Han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10호
    • /
    • pp.29-37
    • /
    • 2023
  • Human lifestyle is affected by the agricultural development in the last 12,000 years ago.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e is one of the reasons that global population surged. To ensure sufficient food production for supporting human life, pesticides as a more effective and economical tools, are extensively used to enhance the yield quality and boost crop produc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affect crop production and whether the factors of pesticide usage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crop production using the dataset from Kaggle that provides information based on crops harvested by various farmers. Logistic regression is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factors and crop production. However, the logistic regression is unable to deal with predictors that are related to each other and identifying the greatest impact factor. Therefore, causal discovery is applied to address the above limitations. The result of causal discovery showed that crop condition is greatly impacted by the estimated insects count, where estimated insects count is affected by the factors of pesticide usage. This study enhances our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of pesticide usage on crop production and contributes to the progress of agricultural practices.

농약사용 지표개발을 위한 과수용 농약사용량 조사분석 (Survey on Pesticide Usage in Fruit Crops for the Development of Pesticide Use Indicator)

  • 권오경;홍수명;최달순;박찬원;송병훈;류갑희;오병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40-44
    • /
    • 2001
  • 농약사용과 관련하여 환경영향 감소를 위한 농약사용 지표 개발에 활용하고자 사과, 배 등 6종 과수를 대상으로 재배면적별 22지역 70농가를 선정하여 국내 과수재배 환경 중 농약의 사용량을 조사 분석하였다. 과수재배시 용도별 농약 사용경향은 살균제>살충제>제초제 순이었으며 사과의 경우 전체 사용량 중 살균제가 72%로서 해충방제가 우선인 벼재배와는 달리 병해방제 위주의 농약사용을 나타냈다. 살균제 중주요 사용농약은 Mancozeb, Propineb, Thiophanate-methyl이었으며 살충제의 경우 Propagite, Omethoate가 우선적으로 사용되었다. 제형별 농약사용량은 수화제 농약 위주의 사용경향을 나타냈으며 WP>EC>SL>SC>SP>WG 순이었다. 과수별 단위면적당(a.i./ha) 농약사용량은 감귤 48.6 kg, 사과 27.1 kg, 배 18.6 kg, 감 17.5 kg, 복숭아 11.3 kg, 포도 9.2 kg으로서, 이를 미국의 농약사용량과 비교한 결과 사과는 한국의 사용량이 더 많은 살포용량 경향을 나타냈으나 감귤, 배, 복숭아의 경우 미국의 농약사용량이 더 많았다. 농약 사용량의 조사분석은 농약위해성 경감을 위한 단위면적당 농약 사용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그 목적이므로, 향후 전반적인 농업환경을 반영시킨 전체 작물별 농약 사용량 조사와 함께 작물별 농약 사용량을 경감시킬 수 있는 요인분석이 요망된다.

  • PDF

국내 과수류의 농약사용 실태조사 (Survey of Pesticide Usage on Fruits in Korea)

  • 임양빈;김경선;경기성;김남숙;하헌영;이희동;오경석;김정원;류갑희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58-263
    • /
    • 2003
  • 국내 과수용 농약에 대한 농가사용실태를 파악하여 농산물의 안전성과 농약관리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국내 주요 과수류인 사과, 감률, 포도, 복숭아, 배, 감 등 6종의 과수를 대상으로 재배면적별 35지역 150농가를 선정하여 국내 과수재배 환경중 농약의 사용량을 조사 분석하였다. 과수용 농약의 년간 살포 회수는 배가 15.2회로 가장 많았고, 감은 7회로 가장 적었다. 단위면적당 농약사용량은 감률 39.5, 사과 22.1, 배 21.5, 복숭아 11.9, 감 10.8, 포도 6.7 a.i. kg/ha이었으며, 사과, 감률, 포도, 감의 사용량은 1999년도 사용량 다 약간 감소하였다. 주요 사용농약은 살균제는 mancozeb, propineb, dithianon 등, 살충제는 fenitrothion, chlorpyrifos, methidathion 등이었다. 조사대상 과수 6종에 사용된 농약의 총 주성분량을 계산한 결과는 2,834.7 M/T으로 2002년도 원예용 농약 출하량 대비 18.3%를 차지하였다. 또한, 국내 과수별 단위면적당 농 약사용량을 2001년도 미국의 농약사용량과 비교한 결과 사과는 22.la.i. kg/ha로 한국이 많았으나 감률 등 나머지 작물에서는 미국의 사용량이 많은 편이었다. 본 시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농약의 위해성 감소, 농업환경 보존 및 농약관리를 위해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sophageal Cancer, Gastric Cancer and the use of Pesticides in the Southwestern of Turkey

  • Yildirim, Mustafa;Kaya, Vildan;Yildiz, Mustafa;Demirpence, Ozlem;Gunduz, Seyda;Dilli, Utku Done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6호
    • /
    • pp.2821-2823
    • /
    • 2014
  • Background: Esophageal and gastric cancer generally have a poor prognosis and may share common risk factors.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 pesticide usage may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many cancer types. In this study, the relation between amount of pesticides used in agriculture and esophageal and gastric cancer incidence was researched. Materials and Methods: Findings from the data bank of the Ministry of Health Provincial Health Directorate Cancer Records Center between the years of 1998-2010 were used. All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gastric and esophageal cancer histopathologically were included. Data for annual pesticide usage were obtained from Provincial Agriculture Directorate for the same time perio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earman test. Results: One thousand eight hundred and ninety-six patients were involved in the study, 1,233 males (65%) and 663 females (35%), 230 with esophageal cancer (12.1%) and 1,666 with gastric cancer (87.9%).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was apparent between pesticide amount used and esophageal cancer (p: 0.87). Conclusions: In our study,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pesticide usage and esophageal or gastric cancer. However, the time between pesticide usage and cancer development was not known, qualifying the comparison.

강원도 고랭지 농업인의 농약 노출 및 SF-12를 이용한 건강수준 측정 (Pesticide exposure of alpine agricultural workers in Gangwon-do and the measurement of their health status measured by SF-12)

  • 송재석;박웅섭;서종철;곽연희;김상아;김병섭;최홍순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87-291
    • /
    • 2005
  • 농업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농약사용은 증가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농약사용으로 인한 건강영향에 대한 관심도 증가시켰다. 그러나 농약의 사용과 노출된 근로자의 주관적인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 없는 형편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농약 노출과 주관적인 건강상태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고자, 집단의 건강상태를 알기 쉽고 농촌지역의 노인인구를 대상으로 쉽게 설문을 할 수 있는 SF-12를 이용하여 농약과 건강상태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은 농약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강원도 일부지역 고랭지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고랭지 농업인이 일반 농업인보다 전체 노출지수나 살충제 노출지수, 제초제 노출지수, 급성 중독 증상 지수 모두 높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단면적 연구이고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이 통제가 안 되어 있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나 농약과 건강수준, 특히 만성적인 건강 장해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여 농약의 과다사용을 방지하고 농약사용에 대한 보건학적 주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할 수 있으며 향후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농약사용 지표개발을 위한 과채류 농약사용실태 조사분석 (Survey on pesticide usage for the development of pesticide use indicator in fruit vegetables)

  • 오경석;임양빈;오홍규;이병무;경기성;김남숙;김백연;김정원;류갑희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6-73
    • /
    • 2003
  • 농약사용과 관련하여 농산물의 안전성 확보 및 환경영향 감소를 위한 농약사용 지표 개발에 활용하고자 고추, 딸기, 수박, 오이, 참외, 토마토 등을 대상으로 재배면적별 30지역 200농가를 선정하여 국내과 채류 재배 환경 중 농약의 사용량을 조사 분석하였다. 과채류 재배시 용도별 농약 사용량은 살균제 > 살충제 > 제초제 순으로 많았으며, 살균제의 사용이 약 $70\sim80%$를 차지하였다. 살균제의 주요 사용농약은 mancozeb, thiophanate-methyl, propineb 이었으며, 살충제는 imidacloprid, milbemectin, methomyl 등이 많이 사용되었다. 농약제형별 농약사용량은 수화제, 유제 중심으로 사용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한편 단위면적당 농약 사용량은 고추 노지재배 (13.2 a.i.kg/ha), 오이 노지재배 (12.4 a.i.kg/ha), 참외 노지재배 (11.2 a.i.kg/ha) 등에서 많은 농약을 사용하였으나, 수박 시설하우스재배 (1.2 a.i.kg/ha), 참외 시설하우스재배 (2.2 a.i.kg/ha), 딸기 노지재배 (2.8 a.i.kg/ha) 등에서는 매우 작은 양의 농약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농약사용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농약에 대한 위해성을 경감하고, 농업환경의 보존을 반영시키는 정책개발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과채류, 과수류 및 벼 재배지역에서 농약사용 실태 (Survey of Pesticide use in Fruit Vegetables, Fruits, and Rice Cultivation Areas in Korea)

  • 하헌영;나동수;신욱철;임건재;박재읍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95-400
    • /
    • 2012
  • 농약의 오남용을 방지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일환으로 농약 등록 후에 농가에서의 사용되는 농약사용실태 및 작물별 단위면적당 농약사용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작물별 주산단지별, 재배면적을 감안하여 390농가를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농약안전사용 준수사항은 과채류, 과수류, 벼 재배농가 모두가 대체적으로 잘 지키고 있었다. 작물별 단위면적당 농약사용량은 주성분 기준으로 노지고추 11.6 kg/ha, 시설고추 2.0 kg/ha, 딸기 2.3 kg/ha, 수박 2.2 kg/ha, 오이 4.8 kg/ha, 참외 1.5 kg/ha, 토마토 2.1 kg/ha, 사과 12.5 kg/ha, 배 12.5 kg/ha, 복숭아 7.7 kg/ha, 포도 4.5 kg/ha, 감귤 40 kg/ha, 단감 5.4 kg/ha이었으며, 벼는 3.46 kg/ha이었다. 고추, 딸기, 오이, 참외, 토마토, 사과, 배, 포도, 감귤, 단감, 벼는 4년 전에 비해 농약사용량이 감소하였으나 수박, 복숭아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골프장의 농약 사용실태 및 잔류량 조사 (Status of Usage and Residue of Pesticide at Golf Courses in Kangwon-do)

  • 우승순;방명렬;윤경애;박정희;김영진;박상균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3-20
    • /
    • 1997
  • 1992년부터 1996년 까지 5년간 강원도에서 운영중인 18홀 이상 3개 골프장에 대하여 농약 사용실태와 농약 잔류량 등을 조사하였다 농약 잔류량은 3개 골프장의 토양, 잔디, 유출수등 총 186개 시료에 대하여 유기염소제 4종과 유기인제 12종을 GC-ECD와 GC-NPD를 이용해 분석 하였다. 각 골프장의 연 평균 농약 사용량은 1,635.6kg 이었고, 단위 면적당 농약 사용량은 그린 33g/$\textrm{m}^2$, 페어웨이 3g/$\textrm{m}^2$ 였다. 골프장 잔디에 사용 할 수 없는 미고시 농약은 186개 시료중 24개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검출율은 12.9% 였다. 토양에서 검출된 농약의 평균 잔류농도는 캡탄 0.208ppm, 퓨다코닐 0.031ppm 이었다. 미고시 농약의 연도별 검출율은 92년 이래 매년 감소추세에 있으며 96년에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현행 미고시 농약 위주의 조사 방법은 고시농약중 많이 사용하는 농약을 검사 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하며, 유출수에 대한 허용기준도 설정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