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s with disabilities

검색결과 335건 처리시간 0.028초

정신장애인의 평생계획수립을 위한 경험 (Experiences of Permanency Planning Establishment by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 심경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303-316
    • /
    • 2012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평생계획수립을 위한 주관적인 경험을 깊이있게 알아보기 위해서 질적연구방법으로 접근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독립취업 후 6개월이상 직업을 유지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12명을 대상으로 평생계획수립을 위한 주관적 경험을 심층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1월 11일부터 2011년 2월 10일까지 조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이 진술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최종적으로 38개의 구성된 의미가 도출되었다. 이들 구성된 의미들을 유사한 내용으로 묶고 분류한 결과 17개의 주제와 7개의 주제묶음으로 범주화되었다. 평생계획수립을 위한 경험으로 나타난 7개의 주제묶음은 안정적인 직업유지, 자기자신의 역량계발, 사회적 지지, 건강관리, 미래대비를 위한 인식갖기, 희망적인 사고, 다양한 사회활동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중노년기 지체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사회경제적 지위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소비지출구조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Consumption Expenditure Condition of Elderly Persons with and without Physical Disabilities by Social Economic Statu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 김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136-14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50세 이상의 중노년기 지체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소비지출구조를 파악하고 사회경제적 지위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소비지출구조를 비교분석하여 장애로 인한 격차를 줄일 수 있는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자료분석은 SPSS 19.0을 사용하여 T-test, ANOVA, 교차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소득과 학력 및 총생활비 지출금액에서 지체장애인이 비장애인에 비해 낮게 나타나 장애로 인한 상대적 빈곤상태에 처해있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지체장애인의 경우 비장애인에 비하여 사회활동 및 친교활동 등이 포함된 기타소비지출 항목과 경제적 안전망이 될 수 있는 사회보장 부담금, 피복신발, 외식 등의 지출보다는 생계유지에 필요한 가정식비와 주거관리비에서의 지출구성비가 높게 나타났다.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과 지방자치단체 유사조례 간의 연계성과 자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spondence and the Autonomy between the Act on the Guarantee of Rights of and Support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Similar Ordinances of the Local Governments)

  • 전지혜;이세희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2호
    • /
    • pp.367-402
    • /
    • 2018
  •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과 이를 모법으로 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유사 조례간 연계성(일치성) 및 자치성(차별성)을 분석하였다. 2017년 10월 기준으로 조회된 전국 63개의 지자체 조례와 발달장애인법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모법의 조항별 내용을 기준으로 조례와의 일치성을 분석하였고 자치성은 조례의 내용적 측면에서 모법과 다른 사례가 있는지 행정적 측면에서 이행 의지를 보다 강조한 사례가 있는지 내용분석으로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모법의 조례 반영률은 조항별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복지지원을 강조하는 측면에서 일치율이 높았고 발달장애인의 권리 보장은 조례상 반영률이 낮았다. 이는 발달장애인을 보호적 관점에서 보는 법적 제도적 특징을 보이는 증거로 볼 수 있다. 향후에는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의사결정에 대한 존중이나 권리보장에 관한 내용이 조례에 적극적으로 포함될 수 있도록 하는 정책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조례 반영률이 0%인 조항도 있었는데, 해당 지역에서 타법에 의해 보장될 수도 있기에 지역 내 관련 제도의 부재를 의미하지는 않으나 제도적 사각지대의 가능성이 있다. 향후에는 발달장애인 관련 지역 내 여타 법제도와의 상보성에 관한 검토가 이루어져 제도적 사각지대에 발달장애인이 놓이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의 자치성이 내용적 측면 및 실질적 이행을 돕는 행정적 측면에서 검토되었다. 단체장의 책무를 강조하거나 실태조사를 강조하거나 복지위원회 운영을 명시하거나 모법상에 없는 내용을 추가적으로 조례에서 담아내고 있기도 했다. 향후 조례제정을 고려하는 지자체는 이와 같은 사례를 참고하여 지방자치의 특성을 살린 지역 밀착적인 실현가능한 조례를 제정할 필요가 있다.

Design of Public Transportation Route Guidance System for Wheelchair Users Utilizing Public Data of Seoul City

  • Geumbi, Lee;Humberto, Villalta;Seunghyun, Kim;Kisu, Kim;Jaehyeong, Go;Yongjoo, Jun;Kwang Sik,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1호
    • /
    • pp.97-112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test a new way of public transportation route guidance syste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cluding wheelchair users. The guidance system is smartphone app-based, using, routes that involve disabled-friendly facilities in the vicinity can be searched. A database that contains publicly available data on low-floor bus services, location and extent of disabled-friendly facilities, and suitable subways and stations, was developed for this purpose. The app uses the database to access and query the required information. A pilot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guidance system. It was found that the system was able to convey information about the disabled-friendly routes and related guidance information even inside subway stations, effectively.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was compared with route guidance services that do not explicitly use data on disabled-friendly services. A notable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travel time estimated by this program and other guidance services. The difference was around 4 to 15 minutes. This is significant saving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f they use the app and service. The study thus shows that exclusive use of disabled-friendly data in route guidance will bring more benefit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Effects of Making Horcitultural Products and Selling Activities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 Seol, Ga Ae;Yun, Suk Young;Choi, Byung Ji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79-287
    • /
    • 2019
  • This study carried out a horticultural program for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to determine suitability of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and to actually apply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program was carried out in 16 sessions from April 12 to June 7, 2018 with nine people with a strong will to participate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at a health center for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The tools used were the Horticultural Activity Performance Assessment (psychological behavior) and Purdue Pegboard Test that examines functions of hands and arms. The subjects sold the products they made during class time and obtained the profits. After the program, the scores increased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00) in the psychological behavior area of the Horticultural Activity Performance Assessment. Hand and arm movement also showed continuous improvement along the program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00), as well as finger dexterity also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18). The net profit was 314,000 KRW (subtracting cost of goods 314,000 KRW from total sales 628,000 KRW). The profit was shared equally among the nine subjects, each receiving 34,900 KRW. Therefore this study proved horticultural activity class is suitable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proved by the positive effects. We also expect that the subjects will be able to make more profits if they learn more skills, since they are interested the process of making such profits.

The Effects of Psychomotorik in the Forest on the Sensory and Visual Percep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You, Jin-Hee;Shin, Won-Sop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21-33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sensory and visual percep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conducting psychomotorik (psychomotor activity) in the forest and indoor treatment rooms. Accordingly, this study divided 18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living in the facilit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located in Seoul into thre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psychomotorik in the forest,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ing in psychomotorik in the treatment room, and the control group without any treatment at all. The program was conducted for 32 weeks, 4 hours a month. The results showed that psychomotorik promoted the sensory and visua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sychomotorik in the forest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ouch and activity level, form constancy and eye-hand coordination. Psychomotorik in the treatment roo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figure-ground with reduced motion. This suggests that psychomotorik in the forest as well as indoors is a positive factor for sensory adaptation reaction and visua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ECD 10개국의 장애인 고용률의 변화에 대한 연구 : 패널수정 표준오차(PCSE) 분석의 활용 (A Study on the Change of Employment Rat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10 OECD Countries using PCSE analysis)

  • 이수경;이선우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1호
    • /
    • pp.5-21
    • /
    • 2017
  • 본 연구는 OECD 국가의 장애인 고용정책이 장애인 고용률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장애인의무고용제 또는 차별금지제도를 실행하고 있는 OECD 10 개국이며, 2000년부터 2011년까지 12개년 시계열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이러한 시계열 횡단자료(time-series cross-sectional data)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패널수정 표준오차(PCSE) 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통제변수 중에는 실업률, 장애인 출현율 및 장애급여(현금)지출비율이 장애인 고용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고용정책요인 중에서는 차별금지제도 적용범위와 직업재활제도의 전달체계 유형이 장애인 고용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차별금지제도 적용범위가 넓을수록 장애인 고용률이 높고, 장애인 특화 기관을 운영하는 국가가 일반 기관을 운영하는 국가보다 장애인 고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적용범위가 넓은 일반적 차별금지제도를 도입하고 장애인의 고용에 대한 욕구와 서비스에 전문성을 갖는 장애인 특화형 전달체계가 장애인 고용률 향상에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장애인 증오범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교정과 복지의 융복합적 접근 (A Study on the Disability Hate Crime: Convergent Approach of Correction and Welfare)

  • 신숙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467-474
    • /
    • 2019
  • 최근 우리나라 뿐 아니라 많은 국가들에서 장애인을 포함한 특정 집단에 대한 혐오감이 범죄로 이어지는 사건이 늘어나면서 증오범죄(hate crime)가 새로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관련 사전 연구는 물론, 관련 기관의 국내외 통계 보고서 및 범죄사건 신문 자료들을 검토하여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증오범죄의 개념 및 국내외 현황을 알아보고,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태도에 대한 고찰 및 장애인 대상 증오범죄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범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몇 가지 복지적 관점에서의 제언을 하였다.

Inclusive Crisis Communication During COVID-19: Lessons Learned from the Experienc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Makassar, Indonesia

  • Sudirman Karnay;Rahmatul Furqan;Rahman Saeni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11권3호
    • /
    • pp.201-233
    • /
    • 2023
  • Persons with disabilities (PwD) are believed to be a group that had a greater risk during the pandemic. While PwD are vulnerable to the spread of COVID-19 due to their high dependence on physical contact, a series of policies restricting public movement during the pandemic had the potential to place PwD in increasingly marginalized situations. This situation reinforces the urgency of crisis communication as one of the critical parts of the COVID-19 response to ensure that all levels and groups of society can accept and understand the flow of information.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wD age 17-50 in the city of Makassar, Indonesia.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risis communication during the pandemic should involve participatory communication, which focuses on collaboration with empowerment. The PwD communities need to be actively engaged during the communication process of a pandemic crisis to ensure that inclusiveness is always taken into account. During the distribution of information, the relevant health officers or the government at the regional level need to carry out more frequent socialization and special services for Pw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disabilities.

정신장애인의 긍정적 인지와 정서, 사회적 관계, 대처가 회복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 구조 탐색 (Structural Exploration of the Effects of Positive Cognition and Emotions, Social Relationship, and Coping on the Sense of Recovery of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 박선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4호
    • /
    • pp.175-203
    • /
    • 2008
  • 정신장애인의 회복은 정신건강상태, 긍정적 인지와 정서, 친한 사람의 수와 그 관계의 질 등 개인적, 사회적 자원을 활용하여 대처하는 중 형성되고, 이는 주관적 경험뿐 아니라 장기적 조사에 의해 지지된다. 회복을 촉진하기 위해 이 요인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밝혀 사회복지실천 방법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460명의 지역사회 거주 정신장애인들의 낙관성, 정신건강상태, 정서, 사회적 관계의 양과 질, 대처가 어떠한 관계를 통해 회복에 영향을 주는지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이론모형의 경로파악 결과 낙관성과 정서가 사회적 관계, 대처, 회복에 영향력을 행사한 한편, 정서는 대처에, 정신건강상태와 사회적 관계는 회복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둘째, 낙관성과 긍정적 정서는 회복에 직접 효과를 보이고, 양적, 질적 사회관계는 회복에 간접효과만 보였다. 낙관성보다는 긍정적 정서가 양적, 질적 사회관계에 직접 및 간접효과를 보이고, 회복에 더 큰 효과를 나타냈다. 끝으로, 낙관성과 회복, 양적관계와 회복, 질적 관계와 회복 각각의 관계에서는 대처가, 긍정적 정서와 대처 간에는 질적, 양적 관계가, 그리고 양적관계와 대처 간에는 질적 관계가 부분적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 인지와 정서, 사회적 관계의 상이한 기제, 이들 자원과 대처, 회복의 관계에 대해 논의하고 사회복지실천 및 연구를 위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