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exposure

검색결과 642건 처리시간 0.035초

무인항공기의 사생활 침해에 대한 법적 대응 : 미국 정책.입법안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ringement of privacy of unmanned aircraft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legislation and US policy)

  • 김선이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5-161
    • /
    • 2014
  • 무인항공기는 조종사를 탑승하지 않고 지정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한 비행체로서 독립된 체계 또는 우주 지상체계들과 연동시켜 운영 하는 기체이다. 이 같은 무인항공기의 경제발전의 가능성으로 인하여 정부는 무인항공기가 세계 항공기 시장에서 우리나라가 항공 선진국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 중이다. 무인항공기는 항공산업 발전의 블루오션이지만 이에 따르는 법적 분쟁 요소도 만만치 않다. 소형으로 제작된 무인항공기는 고성능 카메라 및 센서에 기록되는 이착륙 및 운항노선 주변의 기록들을 피찰영자의 동의 없이 마음 것 촬영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사생활 침해에 대한 우려가 있다. 또한 무인항공기가 민간상용화 된다면 무분별한 사용으로 사생활 침해 발생이 예상된다. 무인항공기로 인해 국민이 원치 않는 사생활 노출이 발생한다면 무인항공기 운영자들에게 손해배상책임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무인항공기산업 발전을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이다. 현재 무인항공기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에서도 무인항공기 사생활 침해 관련 정책은 개발 중이며, 효율적인 대책 마련을 준비하고 있다. 무인항공기에 관련한 법이 시행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무인항공기 사생활 침해에 따른 모든 법적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미국과 같이 무인항공기 사생활 보호를 도모하기 위해 무인항공기 사생활보호법(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시행 중인 법이 많기 때문에 새로운 법안을 제시하는 것은 법적 안정성을 해할 수 있지만 국민들의 안전한 삶을 위해서 법을 제정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일이다. 개인정보보호법이 시행 중이지만 무인항공기 관련 사생활 침해가 발생했을 때 무인항공기의 특수성에 대한 개인정보보호법을 적용하기기 녹록치 않을 것이기 때문에 미국 입법안과 개인정보보호법을 참고하여 무인항공기의 사생활 침해를 대비한 사생활보호법(안)을 제시하였다.

농작업자의 Kresoxim-methyl과 fenthion에 대한 호흡노출량 측정을 위한 IOM 채집기의 효율성 평가 (Evaluation for Application of IOM Sampler for Agricultural Farmer's Inhalation Exposure to Kresoxim-methyl and Fenthion)

  • 이지호;김은혜;이종화;신용호;;최훈;문준관;이혜리;김정한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30-240
    • /
    • 2015
  • 본 연구는 농작업자의 호흡노출 측정에 사용되어오던 고체흡착제 외에 최근에 사용되는 유리섬유여과지가 장착된 IOM 채집기에 대해서, 고체 제제인 kresoxim-methyl 입상수화제와 액상 제제인 fenthion 유제를 이용하여 포집효율과 파과율을 측정하여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LC-MS/MS 기기상 최소검출량은 12.5 pg, 분석법상 검출한계는 5.0 ng/mL이었고, 각 노출 시료의 matrix matched standard의 직선성은 $R^2$ 값이 0.999 이상이었다. 사용된 유리섬유여과지와 고체흡착제에서의 두 가지 농약의 회수율은 유리섬유여과지는 kresoxim-methyl 102-109%, fenthion 97-104%, XAD-2 resin 고체흡착제는 각각 94-98%, 93-100%이었다. 포집효율은 IOM 채집기(유리섬유여과지 장착)와 고체흡착제(XAD-2 resin)를 연결한 후 개인용 공기펌프에 연결하여 측정하였다. 고체 및 액상 2가지 제제를 표준배율로 희석하여 IOM 채집기에 분무하여 포집효율을 본 결과 두 제제 모두 유리섬유여과지에 포집되었고 고체흡착제로 통과되지 않았다. 파과시험은 IOM 채집기의 유리섬유여과지에 농약 표준 용액을 가하고 고체흡착제를 연결한 후 개인용 공기펌프에 연결하여 측정하였다. 파과시험 결과, kresoxim-methyl은 87-101%, fenthion은 96-105%가 첫번째 유리섬유여과지에 흡착/보유되어 있었고 두 번째 유리섬유여과지나 고체흡착제로 파과되지 않았다. 따라서 유리섬유여과지가 장착된 IOM 채집기는 고체 제제나 액상 제제나 상관없이 포집효율과 흡착/보유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검증되어 농약 호흡노출 연구에 적극 활용될 것으로 판단한다.

동(銅) 취투(取投) 작업장(作業場) 공기중(空氣中) 동(銅) 농도(濃度)와 생물학적폭로지수(生物學的暴露指數) (A Study on Concentration of the Airbrone Copper and Biological Exposure Index in the Workplaces Manipulating the Copper)

  • 정재열;김정만;김두희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8-90
    • /
    • 1993
  • 구리 분진에 과다 폭로되는 작업자를 조기 발견하고 생물학적 폭로지수를 제시하고자, 폭로군으로 야금 작업장에서 62명의 담성 작업자를 선정하였다. 구리에 폭로되는 작업자의 개인폭로농도를 평가하기 위해 개인, 공기 시표표집방법을 이용했다. 폭로군에서 생물학적 폭로는 원자흡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혈액과 요중의 구리농도로 평가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직업적으로 구리에 폭로된 기왕력이 없는 성인 남성 70명을 선정하였다. 폭로군의 혈액에서 구리의 평균 농도는 $49.44{\pm}8.90{\mu}g/dl$이었고, 요에서 구리의 평균농도는 $39.99{\pm}11.04{\mu}g/l$이었다. 공기중 구리의 평균농도는 $0.48{\pm}0.31mg/m^3$이었다. 대조군의 혈액에서 구리의 평균농도는$42.93{\pm}5.84{\mu}g/dl$이었고, 요에서 구리의 평균농도는$33.02{\pm}13.38{\mu}g/dl$이었다. 폭로군과 대조군의 혈중 및 요중 구리의 평균농도사이에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양군에서 연령과 혈중 구리 농도 및 요중 구리의 농도 사이에는 모두 상관관계가 없었다. 폭로군의 혈중 구리와 요중 구리의 농도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었고(r=0.62), 대조군의 혈중 구리농도와 요중 구리의 농도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었다(r=0.39). 근속연수에 따른 혈중 및 요중 구리의 평균농도사이에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근속연수와 혈중 및 요중 구리농도사이에는 모두 상관관계가 없었다. 작업공정에 다른 공기중 구리평균농도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혈중 및 요중 구려평균농도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공기중 구리의 개인폭로농도와 혈중 구리농도 및 요중 구리농도 사이에는 모두 상관관계가 있었다(혈중 구리, r=0.54 요중 구리, r=0.37).

  • PDF

국내 전철 및 가전제품을 대상으로 한 전자장 수준 실태조사 (A survey on the EMF Levels of Study and Electric Appliances in Korea)

  • 장성기;조용성;이석조;유승화;정경미;임준호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1-81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analyze, and describe the MF exposure levels from subways in Korea and to measure and evaluate the MF levels generated from electric appliances used at general homes. The target subway lines were Seoul Metropolitan Line 1 to Line 8, Bundang Line, Incheon Line, Daegu Line, Gwangju Line, and Busan Line 1 and Line 2. We measured at each station in those subway lines and, all the train types (pantograph-equipped, motor-equipped, and common), and platform types(facing and isolating) were investigated by the distance(80, 200, 400 cm) from the train on 19 targeted subway lines using 3 magnetic field measuring devices (EMDEXII, Enertech Co.) during the survey from January till October, 2004. On the other hand, the levels of the 60Hz magnetic fields generated from 14 items of home electric appliances such as electric blankets, hair dryers, electric razors, etc. were measured at 10 general homes using 5 EMDEXII meters with a sampling interval of 1.5 second by the distance(surface, 30, 50, 100, 300cm ) from the target electric appliances. The survey results in the whole subway lines exam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Seoul Metropolitan Line 4 using AC(alternating current) power source showed the highest mean value of $2.85{\mu}T$, followed by Seoul Metropolitan Line 1 running between Seoul and Incheon using AC($2.78{\mu}T$), Seoul Metropolitan Line 1 between Seoul and Uijongbu using AC($2.73{\mu}T$), Bundang Line using AC($1.79{\mu}T$), Seoul Metropolitan Line 1 connected from Yongsan using AC($1.67{\mu}T$), Seoul Metropolitan Line 1 between Seoul and Suwon using AC($0.79{\mu}T$), and so on. In general,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in the subway systems in Korea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using AC($2.14{\pm}0.91{\mu}T$) than when using DC($0.29{\pm}0.44{\mu}T$) power source. Among the home electric appliances examined, microwave ovens showed the highest mean value of $7.69{\mu}T$, followed by hair dryers($6.47{\mu}T$), vacuum cleaners($5.27{\mu}T$), televisions ($2.26{\mu}T$), electric blankets($1.38{\mu}T$), personal computers ($0.81{\mu}T$), and so on. Two items of electric appliances showed the excess value of $0.2{\mu}T$ at the distance of 30cm in the MF exposure level; electric razors $1.58{\pm}2.13{\mu}T$ and vacuum cleaners $0.48{\pm}0.44{\mu}T$. As a whole, this study showed a tendency that the shift of the MF levels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distance from the electric appliances was lower than those of the results surveyed in UK and USA. As a result,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meaningful data for the future study in exposure assessment of magnetic fields and for the establishment of guidelines for subways and electric appliances in Korea. More detailed and large scaled exposure assessment studies should be performed continuously to get the various and useful information on health risk assessment of MFs in Korea.

일부 조선업 근로자들의 bisphenol A 노출실태와 생물학적 지표 (The Exposure Status and Biomarkers of Bisphenol A in Shipyard Workers)

  • 김청식;박준호;차봉석;박종구;김헌;장성훈;고상백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6권2호
    • /
    • pp.93-100
    • /
    • 2003
  • 용접공은 용접과정에서 용접 흄, 중금속 및 bisphenol-A에 노출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직무노출 메트릭스에 근거하여 근로자들의 내분비 교란물질의 노출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생물학적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뇨중 대사산물 농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대사효소의 유전적 다형성 분포를 조사하였으며 이들 유전자가 뇨중 대사산물 배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경상남도에 있는 모 조선업체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총 84명으로 용접공 47명과 대조군 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름, 연령, 보호구 착용 여부, 흡연습관, 음주여부 등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시료채취는 건강검진이 진행되는 오후에 하였으며 뇨중 BPA는 뇨중 크레아티닌으로 보정하여 측정하였다. 대사효소의 유전자 다형성은 혈액의 백혈구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제한 효소 절단 단편 다형성(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법으로 검사하였다. 흄 중 BPA의 농도는 최대값 229.9 ng/mg, 최소값 5.7 ng/mg, 평균 61.9 ng/mg 이었다. 흄 총 중량과 흄중 BPA 양 간에 상관계수는 0.516으로 양적 선형관계를 보여주었다. 뇨중 BPA 농도는 대조군보다 용접공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CYP1A1, CYP2E1, UGT1A6등의 유전자 다형성에 따라 뇨중 BPA 농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뇨중 BPA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노출등급만이 유의한 변수였다. 용접 흄에 노출된 후 뇨중 BPA농도에 영향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노출등급이었으며, 대사효소의 유전적 다형성은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휴대용 가스렌지 연소에 의한 공기오염물질의 발생량 및 실내환경의 필요 환기량 (Source Emission Rate on Air Pollutants from Portable Gas Range and Optimal Ventilation Rate in Indoor Environment)

  • 임성국;김영희;양원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2-97
    • /
    • 2007
  • A series of source tests were conducted to characterize emissions of nitrogen oxide(NOx, NO, $NO_2$), carbon mon oxide(CO), carbon dioxide$(CO_2)$ and total VOCs from portable combustion devices in steady-state using well-mixed chamber. Since use of portable gas range is widespread in houses and restaurants in Korea, it is important to characterize the emission of air pollutants and suggest optimum ventilation rate. Ranges of emission rates of air pollutants from portable gas ranges were $NO \;0.551\sim0.939mg/hr,\;NO_2\;0.354\sim1.080mg/hr,\;NO_x\;1.207\sim1.631mg/hr,\;CO\;1.389\sim4.21mg/hr,\;CO_2\;2426.823\sim2973.495mg/hr$, and VOCs $0\sim0.119mg/h$. Mean of personal exposure and indoor environment level of $NO_2$ by combustion of portable gas range were 74.7 ppb and 65.4 ppb, respectively, suggesting persons using portable gas range in houses and restaurants might be highly exposed. Required ventilation rate to control the air pollutants emitted from portable gas range was maximumly $3.131m^3/hr$ on the basis of $NO_2$ indoor air quality standard.

국방정보보호를 위한 군(軍) SNS 보호프로파일(PP) 개발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Military SNS Protection Profile for National defense)

  • 유덕훈;김승주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1-52
    • /
    • 2013
  •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인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이하 SNS : Social Network Service)는 다양한 정보의 빠른 전달과 함께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의사소통을 강화하고 친밀감을 형성해 조직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SNS의 사회적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군에서도 SNS를 통해 자발적 참여와 신뢰관계 구축을 바탕으로 군내 외 유대감 강화에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국방 SNS 도입시 개인정보의 노출이나 프라이버시 침해, 군사자료의 유출 등과 같은 역기능은 군에 치명적인 요인이 될 수 있어 이에 대한 보안대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방 SNS 도입을 위해 SNS 기능별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구조를 분석하여 국방 SNS에 필요한 보안기능요구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석재가공 공정에서 발생되는 분진과 석영의 입자크기별 농도 특성 (Particle Size-Related Dust and Quartz Concentration of Stone Grinding Operations)

  • 김성환;배혜정;정종현;피영규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62-470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quartz concentrations in airborne respirable dust and particle size-related quartz concentrations. Methods: Respirable dust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a 10 mm Dorr-Oliver nylon cyclone equipped with a 37 mm, $5{\mu}m$ pore size PVC filter. Dust samples were collected with a Marple's personal cascade impactor from stone grinding operations in five stone-related business located in the Gyeongsangbuk-do area. Results: The geometric mean of quartz concentration in the respirable dust was $0.170mg/m^3$, and the rate of exceeding the Korean Occupational Exposure Limit(KOEL) was 93.3%. The quartz concentration by particle size shows that it was the highest($0.115mg/m^3$) in stage 5($3.50-6.00{\mu}m$), which corresponds with the size of respirable particle. The smaller the particle sizes were, the higher quartz the content became. The mass fractions of inhalable, thoracic, and respirable dust were 72.1%, 36.0%, and 14.4%. Conclusions: The rate of the quartz concentration in respirable dust from stone grinding operations exceeding the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 Threshold Limit Values was 100%, which means proper work environmental management is required through regular working environmental measurements. Given that the stone grinding operations had a higher small size dust concentrations, there is a need to reduce respirable dust, such as through wet operation and local exhaust ventilation.

Seroprevalence of Antibody to Hepatitis A Virus in North-West Jeonbuk Province

  • Shin, Yong Sub;Kim, Yoo Hyun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02-107
    • /
    • 2013
  • Hepatitis A (HA) is an acute infectious disease of the liver caused by the Hepatitis A virus (HAV). In acute HA, the presence of anti-HAV IgM is detectable and about 3 weeks after exposure, its titre increases over 4 to 6 weeks. Anti-HAV IgG is detectable within a few days of the onset of symptoms. IgG antibodies continue to last for years after infection and provide lifelong immunity to the hos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eroprevalence of anti-HAV antibodies in Jeonbuk province, South Korea. A total of 591 (male 322, female 269) serum samples were collected in July 2011 to June 2012. We tested the antibodies of anti-HAV IgG and IgM using a Modular E170 (Roche Diagnostics, Germany), and analysed the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levels by HITACH 7600-100 (HITACH, Japan). The overall seroprevalence of anti-HAV IgG was 84.6% (500/591), and the rate of females (85.9%) was higher than males (83.5%). According to the decade of age, seroprevalence of anti-HAV IgG were as follows; 68.8% (11/16) in the under 10 years old category, 100% (19/19) in the 10~19 category, 96% (48/50) in the 20~29 category, 83.6% (56/67) in the 30~39 category, 84.3% (123/146) in the 40~49 category, 83.3% (135/162) in the 50~59 category, 83.1% (54/65) in the 60~69 category, 78.1% (32/41) in the 70~79 category, and 88% (22/25) in the over 80 category. Total seroprevalence of anti-HAV IgM was 3.4% (20/591), and according to gender, the seroprevalence of male (3.1%) was very similar to that of female (3.7%). Through this study, we know that the seroprevalence of anti-HAV antibody in north-west Jeonbuk province, South Korea, was high. Only children under the age of 10 remain susceptible to HAV infection. Vaccination against HAV is not needed at the present time for the people of Jeonbuk province, South Korea, but a vaccination should be recommended and the improvement in sanitary conditions and personal hygiene should be highlighted.

  • PDF

비산단지역 주민 피부 알레르기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llergen Skin Test Prevalence in the Residents of a Non-Industrial Area)

  • 안승철;김대선;유화연;권영민;주덕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98-406
    • /
    • 2012
  • Objectiv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its effect on human health in large-scale industrial complex regions, monitoring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ince 2003. The main purpose of this Gangneung study is to produce background data which can be compared with several large-scale industrial complex regions such as Ulsan, Sihwa, Banwol, Gwangyang, Yeosu, Pohang and Cheongju Daesan industrial complexes. Methods: In this Gangneung study, 1,007 local residents were recruited and the framework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and monitor health effects associated with low-level but long-term exposure to environmental pollutants. A survey was performed based on personal questionnaires, medical check-ups, and allergy skin prick tests for twelve common allergens. The authors reviewed the prevalence rate of skin allergens in Gangneung compared with in large-scale industrial area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Results: The diagnosis prevalence and medical treatment prevalence of asthma were lower than in industrial complex regions, but allergic rhinitis was higher. The allergy skin test prevalence was 26.0% and the most common allergens were dust mites (D. pteronysinus 16.7% and D. farinae 16.3%). Conclusions: The positive findings of the skin prick test were similar with large-scale industrial complex regions in Korea.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find the cause of the regional differences in skin prick preval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