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Sensitive Information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2초

온라인 상에 공개된 부분 익명화된 빅데이터의 프라이버시 침해 가능성 분석 (Analysis of Privacy Violation Possibility of Partially Anonymized Big Data)

  • 정강수;박석;최대선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665-679
    • /
    • 2018
  • 정보통신의 발전, 특히 무선인터넷 기술과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가 증가하면서, 온라인 빅데이터 개인정보 문제 즉, 개인 민감정보의 온라인 노출과 이로 인한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우려 역시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포털 서비스를 중심으로 국내 인터넷 환경에 공개된 온라인 빅데이터의 개인정보 침해 현황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프라이버시 침해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팀은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컨텐츠 중 약 5천만건의 사용자 게시글을 수집하여 개인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개인 정보를 기반으로 각 사용자의 ID가 부분 익명화 되었음에도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신상 정보가 노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분 익명화된 ID를 사용하여 서비스간 개인 정보의 연결 가능성과 개인 신상 정보 노출 수준을 반영한 위험도 측정 척도를 제안하였다.

암호화 데이터베이스에서 영역 질의를 위한 기술 (Technique of Range Query in Encrypted Database)

  • 김천식;김형중;홍유식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5권3호
    • /
    • pp.22-30
    • /
    • 2008
  • 최근 들어 개인 정보 보호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많은 국가에서 개인정보 보호에 관련한 법규를 새로이 제정하고 있으며 이제 개인 신상에 관련된 데이터를 보호하는 것은 단순한 기업 이미지 관리 차원이 아닌 법적인 의무가 되었다. 대부분의 기업의 세일즈 데이터베이스에는 예외 없이 고객의 이름, 주소, 신용카드번호와 같은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개인 정보는 개인 신상에 관한 민감한 정보이고, 또한 기업의 전략적인 자산이며, 따라서 기업은 개인 정보를 사전 예방차원에서 안정적으로, 그리고 포괄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모든 노력을 다해야 한다. 그러나 만일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의 패스워드 보안이 뚫린다면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서 데이터베이스 암호화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암호화의 결과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에 문제가 될 수 있고 또한, 암호화로 인하여 기존의 SQL 언어에서의 영역(range) 질의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질의하기 위한 방법을 본 논문에서 제안하였다.

망분리 환경에서 민감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한 기술적 방안 (The Technological Method for Safe Processing of Sensitive Information in Network Separation Environments)

  • 이주승;김일한;김현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25-137
    • /
    • 2023
  • 공공기관을 필두로 민감정보를 취급하는 기업들은 사이버 공격 예방을 위하여 업무망과 인터넷망을 분리 구축하고, 강한 접근통제를 바탕으로 중요 데이터를 보호하고 있다. 그렇기에 업무망과 인터넷망이 연결되는 접점을 수반하는 시스템은 관리적, 기술적으로 안전한 보안환경 구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기관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모바일 장치의 경우 기기를 통제하기 위한 MDM(Mobile Device Management) 솔루션이 그 예라 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모바일 장치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의 민감정보를 인터넷망에서 취급하여 동작하므로 운영 시 각별한 보안대책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인터넷망에서 반드시 운영되어야 하는 시스템에서의 민감정보 데이터 처리를 내부망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망연동 솔루션을 기반으로 한 MDM 솔루션을 중심으로 기능 설계 및 구축하였다.

중소형 의료기관의 개인정보 보안실태 및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Medical Institutions)

  • 신민지;이창무;조성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23-132
    • /
    • 2019
  • 급격한 IT 기술의 발달 및 환경의 변화로 새로운 보안 위협이 나타나고 있다. 공격자들은 상대적으로 사이버 범죄 공격의 예방과 방어에 미흡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환자의 민감한 개인정보 유출 공격을 시도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2016년부터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ISMS 인증을 의무화하여 의료보안을 강화하고 있지만, 광범위한 보안체계 및 인증은 중소형 의료기관이 수행하기에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소형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관리적, 물리적, 사이버 영역으로 구분하여 의료기관의 개인정보 보안실태 파악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중소형 의료기관의 개선방안으로 의료보안 전문인력 투입, 의료보안 교육 및 보안 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 재난·재해에 대비할 수 있는 보호 대책 마련, 중소형 기관에 적합하지 않은 의료정보관리 규정 폐지 및 축소, 정부 차원에서 경제적 지원 및 관리·감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 상황에서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속성기반 접근 제어 프로토콜 (Access Control Protocol for Privacy Guarantee of Patient in Emergency Environment)

  • 정윤수;한군희;이상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279-284
    • /
    • 2014
  • 최근 m-헬스케어는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환자의 정보가 제 3자에게 쉽게 노출되어 악용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m-헬스케어의 응급상황 환경에서 환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프라이버시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속성 기반의 환자 접근 제어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 프로토콜은 환자의 민감한 정보를 제 3자에게 노출시키지 않도록 환자의 민감한 정보를 개인 건강 정보에 포함하여 병원관계자와 환자가 생성한 랜덤수로 해쉬한 서명키로 암호화한다. 또한 제 3자로부터 환자 정보가 불법적으로 악용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환자와 병원관계자 사이의 동기화를 유지함으로써 개인 건강 정보의 유출을 예방한다.

온라인 맞춤형 광고 활성화를 위한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법적 고찰: '개인 정보'의 개념을 중심으로 (A Legal Review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for Invigorating Online Targeted Advertising: Focusing on the Concept of Personal Information)

  • 조재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492-49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시대에 주목을 받고 있는 온라인 맞춤형 광고를 활성화시킬 목적으로 기존 연구들에서 분명하게 규명되지 않았던 '개인 정보'와 '행태정보'의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해 '개인 정보'에 대한 법적 개념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개인정보보호법' 및 동법 시행령에 근거하여 마련된 '개인 정보 침해 요인 평가 지침'과 '개인 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을 선정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개인 정보'란, (1)살아 있는 개인(단체, 법인, 사물 등은 해당되지 않음)에 관한 모든 종류의 정보로서, (2)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정보(식별자)이며 개인을 알아보기 어려운 것은 해당되지 않으며, (3)해당 정보 자체로는 개인을 알아볼 수 없어도 다른 정보와 쉽게 결합(결합 대상 정보의 입수 가능성, 결합 가능성이 있어야 함)하여 알아볼 수 있는 정보(속성자)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개인 정보에는 기본정보, 고유식별정보, 민감정보, 기타 개인정보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향후의 연구 방향으로서 기술 발달에 따른 '개인 정보' 개념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온라인 맞춤형 광고 개인 정보 보호 가이드라인'의 실효성에 대한 연구, 이용자는 물론 사업자의 시각에서 본 개인 정보 보호의 법리에 대한 연구 및 개인 정보와 행태 정보의 명확한 구분을 전제로 한 온라인 맞춤형 광고 연구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개인 건강 라이프로그 서비스에서 보안 참조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curity Reference Model in Personal Health Lifelog Services)

  • 이명규;황희정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109-115
    • /
    • 2016
  • 라이프로그는 개인차원에서 일상생활을 오랫동안 기억하거나 공유하기위한 단순한 기록목적으로 시작되었지만 최근 다양한 기업들이 각각의 전문성을 활용한 분석방법을 도입함으로써 개인의 삶의 질이 향상되는 새로운 라이프로 그 비즈니스가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중요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개인 건강 라이프로그 서비스는 데이터의 보안에 관련된 사용자 입장에서는 피할 수 없는 중요한 도전을 제기하고 있다. 개인 건강 라이프로그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사용자 개인정보 침해가 발생하고 사용자의 민감한 의료정보가 유출되는 문제가 증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 건강 라이프로그 서비스를 위한 보안 참조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된 보안 참조모델은 건강 라이프로그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개인 정보 보호 방안에 명확한 지침을 제시하여 관련 분야의 산업 활성화 및 신 시장 개척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영지식 증명을 활용한 복원 기능을 가진 검증 가능한 클라우드 기반의 개인 건강기록 (Verifiable Could-Based Personal Health Record with Recovery Functionality Using Zero-Knowledge Proof)

  • 김훈기;김종현;이동훈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0권6호
    • /
    • pp.999-1012
    • /
    • 2020
  • 최근 개인 건강기록의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개인 건강기록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암호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개인 건강기록은 암호화되어 클라우드에 외부 위탁되어 관리되고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개인 건강기록의 무결성을 검증하는데 제한적이며, 사용시 필수적으로 복호화가 필요하기 때문에 데이터 가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edactable 서명기법과 영지식증명을 사용하여 검증 가능한 클라우드 기반의 개인 건강기록 관리기법을 제안한다. 검증 가능한 클라우드 기반의 개인 건강기록 관리기법은 Redactable 서명기법을 사용함으로써 민감한 정보를 삭제하여 사생활(privacy)을 보존하면서 원본문서의 무결성 검증이 가능하며, 영지식 증명을 사용함으로써 원본문서의 삭제된 부분 외에는 삭제 및 수정되지 않았음을 검증 할 수 있다. 또한 Redact Recovery Authority를 통해 필요한 경우에만 삭제된 부분을 복원할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기존의 관리기법보다 데이터의 가용성이 증가하도록 설계하였다. 그리고 제안한 기법을 활용한 검증 가능한 클라우드 기반의 개인 건강기록 관리모델을 제안하고, 제안한 기법을 구현함으로써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컴퓨터(VDT : Visual Display Terminal) 노동의 지각반응과 인간화에 관한 연구 -(주)H통신 직원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Perceived Reaction & Humanization of VDT(Visual Display Terminal) Labor)

  • 장경채;박근수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6권
    • /
    • pp.227-266
    • /
    • 2001
  • These days the use of personal computer has become generalized at factory, office, house, etc and this fact indicates that visual display terminal work became popular in every field of our society. The use of computer improves work efficiency, productivity & qualify but in addition, it also generated the physical and mental diseases or defects so called VDT syndrome to worke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computer-work-related anti-physical, anti-psychogenic symptoms & side effects through the data drawn from workers who use computers on their works, and to find out methods of improvement & humanization of computer works. The follows are the results of questions about personal sensibility of VDT syndrome. 1. Female workers are more sensitive to the side effects of computer labor than males. 2. Workers aged twenties feel more severe symptoms of VDT syndrome than thirties or fourties, but there are no level of significance. 3. Middle managements workers are the most sensitive group to VDT syndrome, on the other hand tow managements are less sensitive than operators. 4. The result of questions indicates that a phone conductress show more severe VDT syndrome symptoms than business affairs or an engineer workers, with level of significance. 5. The longer computer work engagement period, the more evident VDT syndrome symptoms appear. For instance, workers who have more than 2 year engagement period complain more severe symptoms, compared workers who have less than 2 year engagement period. 6. Long computer working time per day also increases VDT syndrome severity specially people who have more than 2 hours in working time in a day have much less severe symptoms, compared people whose daily working time exceeds 2 hours. 7. Specific body part which shows VDT syndrome symptoms is shoulder, wrist, neck, finger, eye, waist, arm in the order of severity. 8. Sensibility of VDT syndrome symptoms have effect on degree of vocational satisfaction.

  • PDF

버킷인덱스와 블룸필터를 이용한 범위형 의료정보 암호화기법 (A Mechanism of Medical Data Encryption Method Using Bucket Index and Bloom filter with the range property.)

  • 김창규;김정태;유천영;김지홍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71-381
    • /
    • 2011
  • 최근 데이터베이스내의 개인정보의 유출이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다. 개인의 민감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데이터 암호화이다. 그러나 데이터를 암호화하면 질의어 처리가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데이터베이스를 보호하고 질의어 처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많은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연구에 대한 방법을 분석하고,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내의 범위특성을 가진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버킷 방식과 블룸필터 방식을 이용한 복합적인 방법을 제안하였다. 버킷방식만을 적용한 경우에 비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버킷방식과 블룸필터방식을 융합하여 적용한 경우에는 버킷의 개수를 늘일 수 있고, 이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의 분포 노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검색속도를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