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Policy

검색결과 1,235건 처리시간 0.027초

Development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Model using a Mobile Agent

  • Bae, Seong-Hee;Kim, Jae-Joo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6권2호
    • /
    • pp.185-196
    • /
    • 2010
  • This paper proposes a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model that allows a user to regulate his or her own personal information and privacy protection policies to receive services provided by a service provider without having to reveal personal information in a way that the user is opposed to. When the user needs to receive a service that requires personal information, the user will only reveal personal information that they find acceptable and for uses that they agree with. Users receive desired services from the service provider only when there is agreement between the user's and the service provider's security policies. Moreover, the proposed model utilizes a mobile agent that is transmitted from the user's personal space, providing the user with complete control over their privacy protection. In addition, the mobile agent is itself a self-destructing program that eliminates the possibility of personal information being leaked. The mobile agent described in this paper allows users to truly control access to their personal information.

The Effects of Student's Stress and Personal Relationship on Smart Phone Addiction

  • Kang, Gil-H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147-153
    • /
    • 2015
  • This Study is to test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university student's stress, personal relationships and psychological anxiety, and then suggest some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basing on the analytical resul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urvey targeting on 416 university students was conducted. The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sychological anxiety moderates the relation between the stress, personal relationship and smart phone addiction. This study suggested some implications basing on this analytical results.

주민참여와 보건정책 - 보건교육 및 행태론의 새로운 접근 - (Community Involvement and Health Policy - New Approach to Health Education and Behavioral Science -)

  • 김대희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4-44
    • /
    • 1991
  • Since it was found out that the degree of medical contribution to health was timid. the direction of health policy studies has been focused on the personal health behavior. Participation in health has been closely related to the behavior. Those who have insisted on the new direction believe that the health policy laying stress on low cost and personal responsibility can avoid the pathology of medical policy and medical crisis. Participation in health has been very important method of changing health behaviors. It is certainly important to change bad health behaviors. But there is no deliberation of social structure here. Most health behaviors are the adaptation to social structure. The attempt to change the established adaptation behaviors without considering social structure is difficult to succeed. It is little meaningful to say the importance of the health behavior to those who have no choice but to be ill due to the poor environment and health risks. What can guarantee the real direction of community participation at least is the consciousness and behaviors of people's right.

  • PDF

IoT 환경에서 GDPR에 부합하는 개인정보수집 동의 절차 (GDPR Compliant Consent Procedure for Personal Information Collection in the IoT Environment)

  • 이구연;방준일;차경진;김화종
    •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29-136
    • /
    • 2019
  • 센서 등 많은 IoT 디바이스들은 화면출력 및 입력장치 등이 결여된 경우가 많아 개인정보보호법이나 GDPR 등에서 요구하는 개인정보수집 동의 절차를 만족시키기 어려워, 해당 비즈니스 분야 발전에 법적인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법적인 요건을 만족하는 IoT 시스템에서의 개인정보수집 동의 절차를 설계한다. 설계된 방식에서는 먼저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암호화된 상태로 수집되며, 이후 데이터 수집 서버와 사용자 에이전트 사이에 개인정보 수집을 기반으로 연관을 맺음으로서 암호화된 내용을 복호화 한다. 이러한 연관 동의 과정에서 사용자 에이전트는 데이터 수집 서버의 개인정보수집 약관 등을 이해하고 복호화키를 제공한다. IoT 시스템에서의 이러한 방식의 개인정보수집 동의 절차는 GDPR 등의 법령에서 정하는 투명성, 자율성 등의 요건을 만족함으로서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IoT 비지니스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딥러닝을 활용한 개인정보 처리방침 분석 기법 연구 (Privacy Policy Analysis Techniques Using Deep Learning)

  • 조용현;차영균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0권2호
    • /
    • pp.305-312
    • /
    • 2020
  • 개인정보보호법에서는 정보 주체의 권리보장을 위해 개인정보보호 정책문서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공개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공정거래위원회에서는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약관으로 보고 약관규제법에 따라 불공정약관심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정보 주체는 개인정보 처리방침이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워 읽지 않는 경향이 있다.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내용을 간단하고 읽기 쉽게 한다면 온라인 거래에 참여할 확률이 증가하여 기업의 매출 증가에 기여하고, 사업자와 정보주체간의 정보 비대칭성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딥러닝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정보주체로 하여금 가독성 높은 단순화된 개인정보처리 방침을 구현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한다.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국내 258개 기업의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데이터셋으로 구축하고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신 노동당 정부까지 영국의복지 다원주의의 역동성: 노인을 위한 개인적 사회 서비스 정책을 중심으로 (The Dynamics of British Welfare Pluralism from Post World War II until the New Labour Government: Personal Social Service Policy for the Elderly)

  • 박승민
    • 한국노년학
    • /
    • 제39권3호
    • /
    • pp.429-449
    • /
    • 2019
  • 본 논문의 목적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신 노동당 정부까지 영국의 노인을 위한 개인적 사회 서비스 정책의 복지 다원주의의 역동성을 밝히고, 그것의 정책적 함의를 논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45년부터 2010년까지 보수당, 노동당, 신 노동당 정부 및 의회 보고서, 의회 회의록, 전당대회 원고, 법률, 국립기록보존관의 비밀 해제 문서, 각종 연구 기관의 보고서를 내용분석 한 결과, 노인을 위한 개인적 사회 서비스 정책의 복지 다원주의의 역동성에서 국가는 NHS에서와 달리, 해당 시기 내내 민간 영역의 보조 역할에만 머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구조에서 민간 영역의 역할이 국가의 역할 보다 지나치게 강화되었을 때 영국 노인들이 겪었던 부작용은 문재인 정부의 노인을 위한 커뮤니티케어 복지 다원주의 구조 형성에 유의미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해주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프라이버시 보호 정책언어 및 프라이버시 보호 모듈 구현 (Implementation of Privacy Protection Policy Language and Module For Social Network Services)

  • 김지혜;이형효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53-63
    • /
    • 2011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현실 세계의 인간관계를 바탕으로 온라인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비스로 서비스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프라이버시 보호, 즉 개인정보 소유자의 권리 보호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졌다. 본 논문은 개인정보 소유자의 자기정보 통제권을 보장하면서 소셜 네트워크 간 데이터 공유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언어를 제시하고 이 정책을 기반으로 하는 프라이버시 보호 모듈을 설계 및 구현한다.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정책언어는 개인정보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속성을 기반으로 접근여부를 결정하는 속성기반 접근통제모델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논문에서 제시된 정책 언어와 개발 모듈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간 안전한 데이터 공유 외에도 개인정보에 대한 자기정보 통제권이 필요한 다른 응용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노출된 개인정보의 삭제 요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moval Request of Exposed Personal Information)

  • 정보름;장병욱;김인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7-42
    • /
    • 2015
  • 검색엔진 서비스는 필요한 정보를 찾아 볼 수 있는 장점을 지녔지만 한편으로는 이용자의 원하지 않은 개인정보까지 검색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많은 이용자들은 검색상에 자신의 개인정보가 노출되어 있는지 인식조차 못하고 있으며, 인식을 하고 있더라도 개인정보 삭제 신청을 어떻게 하는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2015년 국정감사에서는 공무원들의 개인정보 오남용 및 공공기관 개인정보 구글 검색 노출이 지적되었다. 이것은 정부차원에서도 개인정보 검색 노출 문제를 중요히 바라보고 있는 상황이며, 앞으로도 검색으로 인한 개인정보 노출이 개선되어야 함을 지적하고 있다. 본 연구는 검색포털 사이트를 중심으로 개인정보 노출의 실태와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노출된 개인정보 삭제에 관한 검색엔진 서비스 제공자 측면과 이용자 측면의 해결책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