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Mobility Product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4초

퍼스널 모빌리티 제품용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이용한 방향지시등 제작을 위한 디자인과 기술에 관한 융복합 연구 (A Convergent Study on the Design and Technology for the Production of Turn Signals for Personal Mobility Devices Using Gyroscope Sensors)

  • 강희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373-379
    • /
    • 2016
  • 국내에서 주 5일제 근무가 시행되어 많은 사람들이 주말을 즐기기 위해 취미활동이나 레저활동 혹은 캠핑 등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또한 최근 출퇴근을 위한 퍼스널 모빌리티 제품도 샤오미를 통한 가격 인하 제품의 출시로 직장인들에게 많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레저활동이나 혹은 퍼스널 모빌리티 제품 사용에 있어서의 안전을 위한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이용한 방향지시등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재 레저활동이나 퍼스널 모빌리티 제품의 안전을 위한 방향지시등의 제작 사례와 문제점등을 알아 보고 그것을 보완할 수 있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방향지시등 개발을 개발하였다. 그모양은 원형의 링으로 LED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방향을 후측방에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퍼스널모빌리티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있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Vest for the Safety of Personal Mobility Device Users

  • Han, Sungjun;Kim, Younghoon;Park, Haebin;Choi, Woosung;Park, Eunju;Lim, Hankyu
    • 한국정보기술학회 영문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85-97
    • /
    • 2020
  • As a solution to the rapid urbanization problem, interest in and use of personal mobility devices such as bicycles and electric kickboards are increasing, and accidents are also rising every year. In this study, a smart vest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and promote safe driving of personal mobility users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Unlike the existing products on the market that indicate directions using buttons, the smart vest designed and implemented in this study indicates the moving direction by shaking a bracelet and displays the direction by LEDs on the vest. Therefore, this product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to be safer and differentiated from other existing products.

야구 다리보호대 디자인을 위한 착용실태 및 착용감, 운동기능성, 3D 형태분석 (Analysis of Wearing Propensities, Wearing Comfort, Mobility of Movement, and 3D Shape for Advanced Baseball Leg Guards Design)

  • 이효정;엄란이;이예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63-76
    • /
    • 2015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gauge the buying and wearing propensities of wearers of leg guards made for baseball catchers, as well as product characteristics of preferred leg guards. Data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to obtain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advanced leg guard design. Degree of compression, horizontal distance, cross section view and outline 3D sketch were also analyzed from the 3D data of leg guards; in addition, mobility and kinematic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a wearing test. The survey indicated that imported products dominate the current retail market because they are appreciated by customers in terms of fit, price, brand, and protection. Representative complaints of products were discomfort, pressure, and the heavy-weight of the leg guards in general attributed to overall structure and 3D shape. When the pressure was lower on the front area of knee, it feels better to wear and the average knee angular velocity during the up and down motion increased, which suggests a better design from a kinematic point of view. The knee is the primary part of the body responsible for any movement of the lower limbs; consequently, the degree of compression and support stability of the leg guards near the knee area are important factor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leg guards. The results of our study indicate significant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in product design and the development of baseball leg guards along with an ergonomic design that considers the mobility of the knee, skin deformations is necessary to improve performance. The process followed in this study will be applicable to studies on othe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sports.

개인형 이동장치의 안전 주요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Major Safety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Personal Mobility)

  • 강승식;강성경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202-217
    • /
    • 2022
  • 연구목적: 최근 개인형 이동장치(PM : Personal Mobility) 이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사고 또한 매년 폭발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PM 이용에 대한 안전 요구가 강화되고 있으나 여전히 안전한 환경을 위한 법/제도, 인프라, 관리체계 등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M 관련 선행연구 검토를 토대로 주요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종합적으로 모색하고, 델파이조사를 통해 개선방안의 중요성에 따른 우선순위를 제시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크게 문헌연구와 전문가 설문조사(델파이조사)로 구성된다. 기존의 선행연구와 개선사례(지방자치단체, 정부부처, 업체 등)를 검토하여 문제점,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키워드를 기반으로 문제점/개선사항 분류표를 작성한다. 분류 내용을 토대로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우선순위 개선방안을 도출한다. 연구결과: PM 관련 문제점은 인적요인과 관련하여 '교통법규 미준수, 지식 부족, 조작 미숙, 안전의식 부재'가, 물리적요인과 관련하여 '기기 특성, 도로-주행 가능 공간, 도로시설물, 주차시설'이, 관리적요인으로 '관리/감독, 제품관리, 이용자관리, 교육/훈련'이, 그 외 이 모든 요인들과 관련한 법률적요인을 '법률 부재/미흡, 혼선/중복, 실효성 저하' 측면으로 나눠볼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한 개선과제로 'PM 교육·홍보, 주차·반납, 도로개선, PM 등록·관리, 보험, 안전기준, 통행기준, PM 기기안전, PM 부대시설, 단속/관리, 전담조직, 서비스제공업체, 관리체계, 이와 관련한 법/제도 개선'의 14개 핵심 부문에 대해 42개 세부과제를 도출하였다. 세부 과제에 대한 중요도 평가결과 비용, 시간, 효과, 시급성, 실현가능성 평가항목에 대해 평균이 종합적으로 높은 과제는 '단속/계도활동 강화, 교육홍보/캠페인, 무단방치 PM관리, 통행규정 명확화'로 나타났다. 결론: PM 시장은 공유 서비스를 기반으로 점차 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산업 활성화와 더불어 PM 이용의 안전환경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PM 관련 주요 문제점, 개선방안을 종합적인 관점에서 모색하고 우선적으로 필요한 개선대책의 순위를 알아본데 있어 그 의미가 있으며 향후 정책수립 자료의 기초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 향후에는 실질적인 정책 적용을 위해 개선 핵심 분야별로 심층적인 자료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