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Policy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4초

비중요 정보처리시스템으로 한정된 국내 금융권 클라우드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제안: 영미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Cloud Computing for Financial Sector limited to Processing System of Non-Critical Information: Policy Suggestion based on US and UK's approach)

  • 도혜지;김인석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9-51
    • /
    • 2017
  • 2016년 10월 금융당국은 금융권 내 클라우드 도입 활성화를 위해 전자금융감독규정의 망분리 조항을 개정하였다. 하지만 비중요 정보처리시스템의 데이터만 처리할 수 있도록 규제함으로써 정밀한 고객데이터 분석과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권에서는 이번 개정에 큰 변화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도입은 비용절감 및 업무혁신에 기여하는 바가 크며, 변화하는 정보통신기술 환경에 필수적인 요건이다. 따라서 보안과 신뢰성의 원칙을 고수하며 클라우드 도입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한 금융기관의 안정적 구현을 위한 정책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금융권 내 클라우드 도입 관련 제도의 한계와 변경 필요성을 검토하고, 영미의 사례분석을 통해 정책적 대안을 제시한다.

NFC 서비스 보안 위협 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A Study on Analysis and Countermeasure of Security threat in NFC)

  • 김형욱;김형주;강정호;전문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183-191
    • /
    • 2016
  • 최근들어 스마트폰에서 NFC 기능을 지원함에 따라 스마트폰을 정보의 송 수신을 위한 매개체로 활용하여 결제, 의료, 개인인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융 복합된 형태의 서비스로 NFC 서비스가 전개되고 있다. 또한 기존 서비스에 NFC 기술이 융합됨에 따라 기존 서비스 구조에서 찾아볼 수 없던 신규 사업자가 기존 서비스에서 취급되던 개인정보를 취급하거나 기존 사업자가 NFC 사업자로 전환됨에 따라 기존에 취급하던 개인정보 이외의 다양한 개인정보를 취급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적 배경 및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NFC서비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보안위협 분석 및 대응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모바일 가상화 기술과 ARM의 Trustzone을 사용한 효율적인 보안 방법 (Efficient Security Method Using Mobile Virtualization Technology And Trustzone of ARM)

  • 최휘민;장창복;김주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299-308
    • /
    • 2014
  • 최근, 스마트폰의 사용자 수는 스마트폰 성능 향상 및 다양한 서비스 제공으로 인해 매우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클라우드 서비스, 게임, 뱅킹 서비스, 모바일 서비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한다. 오늘날의 모바일 보안 솔루션은 악성코드를 검출하거나 모바일 장치를 관리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에 인증서, 법인 문서, 개인의 신용 카드 번호와 같은 보안에 민감한 정보에 대해 서비스 해킹 및 누설을 방지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모바일 보안 기술은 피해가 발생한 사례가 있었던 만큼 최근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모바일 가상화, ARM Trustzone, Globalplatform과 같은 다양한 모바일 장치의 보안 기술이 연구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 유출 및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보안 정책 및 액세스 제어, 암호/키 관리, 세이프 스토리지 등의 모바일 가상화 기술과 ARM의 Trustzone의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산업경영환경에서 지속적 APT 공격에 대한 대응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ountermeasures against APT Attacks in Industrial Management Environment)

  • 홍성혁
    • 산업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25-31
    • /
    • 2018
  • APT공격은 특정 목표를 두고, 지속적으로 공격하는 신종 해킹기법으로 해커가 다양한 보안위협을 악용해 특정 기업이나 조직의 네트워크에 지속해서 공격하는 것을 APT 공격이라고 한다. 특정 조직 내부 직원의 PC를 장악한 후, 내부 서버나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개인정보 유출 사고나 중요자료 유출과 같이 기업이나 기관 내 중요 자산 탈취에 성공할 때까지 공격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APT 공격은 한순간에 공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수년에 거쳐 이루어지므로 해킹 감지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지속적인 APT 공격에 대해 고찰하고, 대응방안을 제시하여 각 조직에 근무하는 경영진부터 일반 직원까지 보안 필요성을 인식하고 교육하고 보안 관리체계를 구축을 목표로 한다. 또한, 보안 업데이트, 최신 백신을 설치하여 악성코드 침투를 예방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기업이나 조직은 항상 해킹당할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어 조직 내에 근무하는 사람들은 악성 코드가 침투할 수 있는 취약점을 설명하고, APT공격에 대응할 수 있는 환경을 제시한다.

GDPR에 기반한 블록체인 프라이버시 강화 방안 (A GDPR based Approach to Enhancing Blockchain Privacy)

  • 한세진;김순태;박수용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3-38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유럽연합의 개인정보 보호 규제인 GDPR을 준수하는 새로운 블록체인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블록체인 거래에 포함된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을 권한에 따라 차등적으로 통제하여 불법적인 개인정보 처리를 방지하는 한편, 보유기간이 경과된 또는 임의의 합법적 삭제 요청을 받은 개인정보에 대하여 접근을 영구히 차단하여 잊혀질 권리을 보장한다. 제안 모델의 핵심 메카니즘은, 개인정보를 접근정책에 따라 속성기반암호화한 후 이를 조회자의 속성(소속, 직무 등)을 반영한 일회용 토큰으로 복호화하는 것이다. 주목할 점은, 기존 기술이 제3의 신뢰기관을 필요로 하였다면 제안 모델은 신뢰기관 없이 블록체인에서 선발된 다수의 노드들로 하여금 그 기능을 대체하도록 하여 신뢰기관 리스크를 개선하였고, 아울러 속성 갱신에 따른 키 관리 효율성을 극대화하고자 복호키를 일회용 토큰으로 생성하였다는 점이다. 우리는 제안 모델을 허가형 블록체인인 패브릭의 체인코드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하고, 보안성을 분석함으로써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산업기술 보호 관리실태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l Condition and the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Protec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 정태황;장항배
    • 시큐리티연구
    • /
    • 제24호
    • /
    • pp.147-170
    • /
    • 2010
  • 본 연구는 산업기술 보호를 위한 관리적 발전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공공기관, 대기업, 중소기업 등을 대상으로 관리적 보안실태에 대해 조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안정책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기반 구축이 필요하다. 조사대상 대부분이 보안규정을 잘 관리하고 있으나 보안규정을 지키거나 지속적으로 개선하려는 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보안전담조직과 보안담당자 운영방법을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보안규정을 모든 구성원에게 알리고 보안업무 수행을 위한 팀 간 업무 공조체계를 이룰 수 있는 조직문화를 활성화 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지속적인 보안점검과 보안감사를 통해 보안의식을 향상시키고, 보안규정 준수 여부를 직원업무평가에 반영함으로써 보안정책을 가시화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보안활성화를 위한 보안투자가 필요하다. 기술 유출경로와 수단이 다양화 첨단화 되어가고 있을 뿐 아니라 복잡하고 빠른 속도로 변화하기 때문에 관련 전문기관인 국가정보원, 한국인터넷진흥원, 정보보호 컨설팅 전문기업, 관련 대학 및 연구소 등과의 협조채널 유지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보안 전문기관으로부터 outsourcing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나 대기업에 비해 보안정책 운영실태가 미흡한 중소기업은 조직 규모나 재정적 여건을 감안하여 보안관리 능력을 보강할 수 있도록 국가적인 차원의 지원시스템을 증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산업기술 유출의 주체는 사람으로 인력관리가 중요하다. 신규 입사자와 임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정기적인 교육률은 높은 것으로 평가되나 핵심기술에 접근하는 임직원과 제3자로부터의 보안서약서 작성과 중요자산에 대한 접근권한이 변경될 때 접근권한 변경 적용과 같은 업무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중요기술을 다루는 사람에 한하여 신원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여건조성이 필요하며, 퇴사자에 대한 보안서약서 징구와 정보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 제거, 계정삭제와 같은 퇴직자 관리를 강화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중요한 자산에 대한 관리와 통제를 강화해야 한다. 자산에 대한 목록과 관리기준은 비교적 잘 정리되어 있으나 자산의 중요성에 따른 등급화작업의 활성화와 자산의 유출 및 손상의 경우를 대비한 영향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작업이 필요하다. 자산에 대한 중요도는 시간흐름 및 업무특성에 따라 변화되기 때문에 주기적인 자산평가 작업과 분류작업을 통해 사용자별로 권한을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 PDF

의료 데이터 산업을 위한 비정형 데이터 비식별화 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licy of de-identifying unstructured data for the medical data industry)

  • 이선진;박태림;김소희;오영은;이일구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85-97
    • /
    • 2022
  • 빅데이터 기술이 발전하면서 데이터가 전 산업의 혁신 성장을 가속하는 초연결 지능화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 고품질의 다양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활용하는 융복합 산업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다양한 전통 산업군에 빅데이터가 융합되어 데이터 기반의 혁신을 통해 디지털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의료 분야에서는 전자의무기록 데이터와 같은 정형 데이터와 CT, MRI 등의 비정형 의료 데이터를 함께 활용함으로써, 질병 예측 및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고 있다. 현재 의료 산업에서 비정형 데이터의 중요성과 규모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지만, 종래의 데이터 보안 기술과 정책은 정형 데이터 중심이며, 비정형 데이터의 보안성과 활용성에 대한 고려는 미비하다. 향후 빅데이터를 활용한 진료가 활성화되려면 데이터의 다양성과 보안성이 데이터 구축, 유통, 활용 단계에서 내재화되고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데이터 보안 제도와 기술 현황을 분석한다. 이후 의료 분야에서 비정형 데이터가 활발히 사용될 수 있도록 비식별조치 가이드라인에 비정형 데이터 중심의 비식별 기술과 산업에서의 기술 적용 사례를 추가하고, 비정형 데이터에 대한 개인정보 판단 기준을 수립할 것을 제안한다. 더 나아가 개인정보를 침해하지 않고, 비정형 데이터에 활용할 수 있는 객체 특징 기반의 식별 ID를 제안한다.

지역사회의 특성이 우리나라 성인의 식품불안정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mmunity Characteristics on Food Insecurity Korean Adults)

  • 박준;강길원;탁양주;장성훈;이건세;김형수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6-232
    • /
    • 2016
  •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on the food insecurity under the control of personal socioeconomic factors which may be influence to the food security. Methods: Food insecurity and individual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were obtained from 2012 community health survey.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communities were extracted from the data of Statistics Korea and local governments. Personal socioeconomic factors were sex, age, educational status, job, and monthly family incom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communities were administrative district (urban vs. rural), senior population rate, degree of financial self reliance, degree of financial independence, portion of welfare budget, number of welfare facilities, and unemployment rate. We analys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ood insecurity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using multi-level analysis under the control of personal characteristics. Results: On personal level age, sex, education status, and monthly family income were related with food insecurity. On community level administrative district (urban vs. rural), degree of financial independence, unemployment rate, and proportion of welfare budget among local general government accounts were related to individual food insecurity. Rural area, district with low levels of financial independence, low portion of welfare budget, and greater unemployment rate showed a higher level of food insecurity. Conclusion: To reduce the level of food insecurity in a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decrease the unemployment rate, in addition to providing suppor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by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the welfare budget so that both factors contribute to raising the degree of financial independence.

메타분석을 통한 개인정보보호법의 개선과제 (Improvement Issue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s through Meta-Analysis)

  • 조명근;이환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1-14
    • /
    • 2017
  • 빅 데이터 시대에 접어듦에 따라 개인정보의 가치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률들은 여러 가지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다. 더욱이 기존 연구들은 제시되고 있는 문제들에 대해 개별적으로 접근하고 있어 개인정보보호법 개선방향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돕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개인정보보호법의 문제점들을 논의한 기존 연구들을 바탕으로 현행 개인정보보호법제의 개선과제들을 분석한다. 메타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개인정보보호법제의 문제점들을 논의한 총 39개의 연구 논문을 선별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정보의 의의 및 범위에 대한 논의, 이해관계자의 역할 및 의무에 대한 논의,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에 관한 논의, 각 분야별 특별법과의 중복규제 및 규제 불균형에 관한 논의 등 파편화 되어있는 현행 개인정보보호법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문제점들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무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개인정보보호법과 각 분야별 특별법들 사이의 부정합성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의미가 있으며. 학문적으로는 연구자들이 거시적 관점에서 개인정보보호법제의 문제점들을 파악하여 향후 개인정보보호법제의 통합적 정비 방안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이원화된 계층적 개인정보 Life-Cycle 접근제어 방법론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Access Control Methodology for Dualised Hierarchical Personal Information Life-Cycle)

  • 서우석;김계순;전문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1161-1170
    • /
    • 2013
  • 2013년 현재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사회적 합의결과로 도출되어진 관련법이 제정되고 수차례의 개정을 통해 IT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사회적 업무분야에 최종적인 정보보호를 위한 명확한 성문법적인 정책과 지침 등의 방향이 제시되어 졌다. 이러한 일련의 개인정보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이슈를 기반으로 새로운 개인정보 접근 패러다임이 나타났고 정보보호라는 거시적인 접근 방법에서 전문적인 접근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어졌다. 물론 현재까지 모든 개인정보 형태의 자료들을 특정한 정보의 범주에 모두 제한하고 경계를 두는 것은 다소 무리수 있어 보이나 IT분야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개인정보의 흐름을 확인하고 보안대상으로 선정하는 부분은 표준화되어 진 것은 사실이다. 다만 아직까지도 개인정보 Life-Cycle의 5가지 표준화된 흐름인 수집, 처리, 제공, 보관, 파기 등을 모든 기업과 기관이 보유한 정보들에 일상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원화된 계층적 개인정보 Life-Cycle 접근제어 방법론을 제안함으로써 표준화 방법론을 제안한다. 본 연구결과는 개인정보 Life-Cycle에 최적의 접근제어 가능한 현실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