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icaria thunbergii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7초

수생관속식물의 라디칼 소거능과 남세균 생장에 대한 억제활성 비교 (A Comparison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yanobacteria Growth Inhibition of Aquatic Vascular Plants)

  • 권성호;나혜련;정종덕;백남인;박상규;최홍근
    • 생태와환경
    • /
    • 제45권1호
    • /
    • pp.11-20
    • /
    • 2012
  • 수생식물이 가지고 있는 타감물질과 타감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메탄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대장균($Escherichia$ $coli$)과 남세균($Microcystis$ $aeruginosa$)에 대한 생장억제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물여뀌($P.$ $amphibia$)와 마름($Trapajaponica$), 이삭물수세미($Myriophyllum$ $spicatum$), 순채($Brasenia$ $schreberi$)가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냈으며, 순채, 마름, 물여뀌, 이삭물수세미 등은 남세균에 대한 높은 생장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반면 순채를 제외한 다른 수생식물의 추출물은 대장균의 생장에 대한 억제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수생식물 추출물에 대한 타감작용에 대한 상관 분석 결과,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으로 측정된 항 산화 활성과 남세균 생장억제 활성간에는 양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수생식물 추출물의 대장균에 대한 생장억제는 다른 활성 결과와 상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면 수생식물체의 남세균에 대한 타감작용은 DPPH에 의한 항산화성 검정을 이용하는 간편하고 신속한 검사로 대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산강 유역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부하량에 따른 수생식물의 분포, 질산환원효소 활성 및 그 정화능 (Distribution and Nutrient Removal Capacity of Aquatic Plants in Relation to Pollutant Load from the Watershed of Youngsan River)

  • Ihm, Byung-Sun;Ha-song Kim;Jeom-Sook Lee;KyeHong Suh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5호
    • /
    • pp.487-496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ollutant loading, were quality and plant distribution of 8 streams which are tributaries of the Youngsan River. The nitrate reductase activity (NRA) and nutrient removall capacity of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aquatic plants on streamside were also determined. As a result, the pollutant loading appeared to be correlated with the area of watershed, while the water quality was related to the land use pattern of each steam. The aquatic plants were distributed differently among the streams; Hydrilla verticillata - Potamogeton crispus, Numphoides peltata - Hydrocharis dubia and Polygonum thunbergii - Phragmites japonica were dominant at the Orye Chon, Jungan Chon, Whangryong River and Jiseok Chon, while potamogeton crispus - Lemma paucicostata, Zizania latifolia - Phragmites communis were dominant at the Youngam Chon and Munpyeong Chon. Persicaria hydropiper and Echinochloa crus-galli var. oryzicola were dominant at Kwangju Chon which was polluted with domestic wastewater. >From the measurement of leaf NRA for dominant species, the highest value of NRA was shown by the Polygonum thunbergii, followed by Oenanthe javanica > Phragmites communis > Zizania latifolia > Lemma paucicostata. The highest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capacity was found in Phragmites communis.

  • PDF

The Relationship of Veget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Wangsuk Stream and Gwarim Reservoir: I. Water Environments

  • Lee, Bo-Ah;Kwon, Gi-Jin;Kim, Jae-Ge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6호
    • /
    • pp.365-373
    • /
    • 2005
  • Understanding the relation of water environmental factors and vegetation is critical to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wetlands. To reveal relationships between representative plant groups and water environments, we measured cover and abundance of plant species, water depth, temperature, pH, conductivity, dissolved oxygen, $NH_4$-N, $NO_3$-N, and $PO_4-P$ concentration in water in Wangsuk stream (WS) and Gwarim reservoir (GR). This study was conducted monthly from May to October, 2004. Six vegetation groups $(W1{\sim}W6)$ in WS and five vegetation groups $(G1{\sim}G5)$ in GR were identified using TWINSPAN. WS was characterized by Phragmites japonica, Digitaria sanguinalis, Phalaris arundinacea, Beckmannia xyzigachne and Persicara hydropiper, Persicaria thunbergii, Typha angustifolia. GR was characterized by T. angustifolia, Scirpus tabernaemontani, P. thunbergii, Humulus japonicus and Scirpus fluviatilis, Typha orientalis, Zizania latifolia. The vegetation in WS experienced greater seasonal changes than in GR. A correspondence analysis suggests that water depth was the major environmental factor influencing the distribution of most plants communities in both wetlands.

백로와 왜가리 집단번식이 소나무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oup Breedling of Herons of Pine Community)

  • Mun, Hyeong-Tae;Sam-Rae C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1호
    • /
    • pp.47-53
    • /
    • 1996
  • Effects of group breeding of herons on pine community were studied at Pomaeri, in Yangyang, Kangwon Province, Korea. This site has been protected as a Natural Monument (No. 229) since 1970. Herons have used this habitat as a breeding site from] anuary to October every year. In 1995, more than 500 herons were observed in this habitat. Many big pine trees are dying or already dead due to group inhabitation of herons, and no pine saplings were found at forest floor in this habitat. Nutrient contents of soil in this habitat were much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plot. This must be due to the addition of feces from herons and of thin twigs and other organic materials from the canopy and bird nests. Species composition of herb layer in this habitat was quite different from that in control plot. Breeding site was dominated by Humulus japonicus. Persiearia perJohata, Persicaria thunbergii. and Commelina communis. which are indicator species of soil eutrophication.

  • PDF

준위협종 긴흑삼릉의 서식지 보전과 복원을 위한 환경 특성 분석 (Analysis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for Habitat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Near Threatened Sparganium japonicum)

  • 김서현;김재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7-51
    • /
    • 2015
  • Sparganium japonicum Rothert. is designated as a near threatened species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and is restrictively distributed in South Korea. To conserve and restore habitats of this plant, we investigate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at five habitats during the growing season. Thirty plant species from seventeen families were found in the S. japonicum community. The species frequently found in this community included Utricularia vulgaris, Potamogeton distinctus, Phragmites japonica, Cicuta virosa, Persicaria thunbergii, Phragmites communis, Hydrilla verticillata. Maximum height of this plant reached at August and average height at five habitats is 120 cm at this time. Water and soil environmental factors showed low values compared with that of other wetlands. S. japonicum lived in not only shallow water level but also deep water level. These results can be helpful for S. japonicum habitat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신안군 비금도의 관속수생식물의 식생 및 생산량(Biomass)에 관한 연구 (Study of vascular hydrophyte vegetation and biomass in Bigumdo, Shinangun, Korea)

  • 양효식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5-74
    • /
    • 2006
  • A study of the vascular hydrophyte communities and biomass was undertaken in the Bigumdo wetlands, Shinangun, from March to November, 2005. As a result, the vegetation was divided into 14 communities. Among them, emergent hydrophytes consisted of 6 communities, including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Typha angustata community, Leersia japonica community, Paspalum disticum var. indutum community, and Persicaria thunbergii community, floating hydrophytes 5 communities including Hydrocharis dubia community, Nelumbo nucifera community, Euryale ferox community, Trapa japonica community and Nymphaea tetragona var. angusta community, free-floating hydrophytes 2 commuinties including Lemna paucicostata community and Spirodela polyrhiza community, and submergent hydrophyte 1 community, including Myriophyllum verticillatum community. Biomass was the highest at emergent hydrophytes and decreased along the life form, in the order like floating hydrophytes, submergent hydrophyte and free-floating hydrophytes. In addition, hydrophytes in the Bigumdo wetland showed the typical vertical zonation pattern like a natural swamp. These results were considered that the wetland of Bigumdo was characterized by the typical structure of aquatic plant ecosystem.

  • PDF

장척호 습지에서 식물상과 식생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ora and distribution of vegetation in Reservior Jangchuck)

  • 김세훈;안진우;김인택;조운행;이혜진;황동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657-664
    • /
    • 2011
  • 장척호의 수변식물군락의 식생조사는 Z-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통하여 2008년, 2011년의 3월~10월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008년에는 습생 및 수생식물은 14목 21과 31속 37종 1변종으로 총 38종류를 기록하였고 2011년는 13목 15과 21속 26종 1변종으로 총 27종류13목 15과 21속 26종 1변종으로 총 27종류가 나타났으며, 2011년도 장척호의 습생식물(HG) 13종, 정수식물(EM)은 7종 부엽식물(FL)이 각각 4종, 부유식물(FF)이 2종, 침수식물(SM) 1종으로 나타났다. 2008년 14목 21과 31속 37종 1변종으로 총 38종류와 비교하면 습생식물(HG)이 15종에서 13종으로 약 13.33%가 감소되었고 정수식물(EM)은 변화가 없었으며 부엽식물(FL)은 9종에서 4종으로 55.56%, 침수식물(SM)은 4종에서 1종으로 75%, 부유식물(FF)은 3종에서 33.33%로 각각 감소되었다. 2011 식생조사에서 나타난 식물군락은 총 16개 군락이며 나도겨풀군락(Leersia japonica community), 갈대군락(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개구리밥군락(Spirodela polyrhiza community), 물억새군락(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자라풀군락(Hydrocharis dubia community), 줄군락(Zizania latifolia community), 털물참새피군락(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community), 나도겨풀-자라풀군락(Leersia japonica-Hydrocharis dubia community), 왕버들군락(Salix glandulosa community), 마름군락(Trapa japonica community), 환삼덩굴(Humulus japonicus community), 연꽃군락(Nelumbo nucifera community), 이삭사초군락(Carex dimorpholepis community), 버드나무군락(Salix koreensis community), 마름-개구리밥군락(Trapa japonica-Spirodela polyrhiza community), 고마리군락(Persicaria thunbergii)로 나타났다. 2008년에 비해 2011년에는 마름군락이 높은 비율로 감소하였다. 7~8월 사이의 급격한 저수율변화에 의하여 식생의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영산강 수계의 배후습지인 우습제에 서식하는 식생분포와 특성 (Vegetation Distribution and Phytosociological Character of Useupje (Backswamp) in the Youngsan River Basin)

  • 정현기;임정철;최병기
    • 생태와환경
    • /
    • 제50권1호
    • /
    • pp.157-168
    • /
    • 2017
  • 배후습지는 범람에 의해 고운 입자가 퇴적된 범람원으로 일반적으로 추이대의 성격을 지니며, 다양한 생태계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영산강 배후습지인 우습제의 식생다양성과 자연성평가를 통한 습지의 생태학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우습제의 식생은 서식처의 종조성에 따라 4개 상관형의 14개 단위식생으로 분류되었다. 부유식생에는 개구리밥군락 (Spirodela polyrhiza community)이 출현하였고 부엽식생에는 마름군락 (Trapa bispinosa var. inumai community), 연꽃-마름군락 (Trapa bispinosa var. inumai-Nelumbo nucifera community)이 확인되었다. 정수식생의 진연안대에는 물참새피군락 (Paspalum distichum community), 고마리군락 (Persicaria thunbergii community), 갈풀군집 (Phalaridetum arundinaceae)이 확인되었고 추수대에는 줄-매자기군집 (Scirpo fluviarilis-Zizanietum latifoliae), 애기부들군락 (Typha angustata community)이 확인되었다. 조간대에는 큰고랭이군집 (Scirpetum tabernaemontani), 갈대군집 (Phragmitetum australis)이 확인되었고 중수위권의 습지추이대지역에서는 버드나무-이삭사초군락 (Carex dimorpholepis-Salix subfragilis community)이 확인되었다. 우습제 식생분포결과에 따르면, 식생분포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로서 습지 내 수위변화가 주요 요인으로 고려된다. 우습제의 단위식생 평가결과는 식생자연도에 따라 대부분 III 등급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넓은 면적에서 다양한 고유식생 분포가 확인되었고 인접한 습지가 존재하지 않는 지리적 특성을 고려할 때, 지역생태계에 기여하는 생태학적 가치는 높이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내장산국립공원 입암습지의 식생 및 경관 변화와 관리방안 (Vegetation and Landscape Analysis and Management Methods of Ip-am Wetland in the Naejang National Park)

  • 이선미;명현호
    • 생태와환경
    • /
    • 제48권1호
    • /
    • pp.26-31
    • /
    • 2015
  • 내장산국립공원에 위치한 입암습지의 식생 조사 및 경관 분석을 통해 습지의 상태를 평가하고,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야외 조사 및 1976년도와 2010년도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경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거에 논이었던 곳은 현재 습지를 대표하는 버드나무군락(21.6%), 고마리군락(2.8%), 갈대군락(1.1%), 진퍼리새군락(4.9%), 진퍼리새-고마리군락(0.5%) 등의 습지식생이 차지하고 있었고, 밭이었던 곳은 현재 찔레꽃군락(6.8%), 환삼덩굴-찔레꽃군락(42.0%), 환삼덩굴군락(10.6%)이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었다. 전체의 30.9% 분포비율을 나타내는 입암습지의 지속적 관리를 위해서는 수리 수문학적 조사를 통해 습지로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물길을 유도하고 제6수중보를 활용하여 유량을 확보한 후 갈수기에 공급하도록 한다. 또한 과거에 설치한 둑을 보강하여 수분 유출 최소화, 이탄 건조 방지 및 분해속도를 저감시켜 육상식물의 침입 및 정착을 제한하여 자연적 천이의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양한 수위 조건에서 식물 생활형이 식물 정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 Life Cycle on Plant Settlement in Diverse Water Level)

  • 남종민;조현승;김재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9-2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정수 환경에 정착한 3생활형 9분류군의 식물을 대상으로 1년동안 정기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식물 생활형이 수위 조건에 따라 식물 정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18개의 실험구를 셋으로 나누어 16주 범람 기간 동안 0, 20, 60cm로 수위를 각각 유지하였으며, 범람 기간을 제외한 기간은 0cm로 수위를 모두 동일하게 유지하였다. 1차년에 식재한 다년생 식물인 큰고랭이(Scirpus tabernaemontani), 줄(Zizania caduciflora), 부들속 2종(Typha angustifolia, T. orientalis)은 종자에 의한 추가적인 정착은 없었으며, 수문 조건이 밀도 및 초고 생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1년생 식물인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여뀌(Persicaria hydropiper), 사마귀풀(Aneilema japonicum)과 2년생인 벼룩나물(Stellaria uliginosa), 뚝새풀(Alopecurus aequalis), 개피(Beckmannia syzigachne)는 상대적으로 수문 조건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았다. 정수 환경에서 침수 수위 및 침수 기간은 상대적으로 지하경을 형성하지 못하는 1, 2년생 식물 종들의 정착 및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