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icaria orientali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5초

경기도 오산천 주변의 잡초군락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Weed Vegetation around the Osancheon Creek in Kyonggi Province)

  • 안영희;송종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12호
    • /
    • pp.1207-1213
    • /
    • 2003
  • 오산천은 경기도 남부지역에 위치하는 대표적인 도시 하천이다. 경기도 수원시를 비롯하여 화성군, 오산시 등의 도시 및 농촌, 공단이 인접하고 있어 하천에 대한 인위적, 자연적인 교란이 매우 빈번하게 나타나는 하천이다. 오산천 주변에 형성된 잡초 군락의 유형 및 실태를 파악하여 금후 자연형 하천으로의 복원 및 관리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하천 주변의 수변부, 고수부, 제방부 등에 형성된 잡초 군락에 대해 2003년 5월에서 2003년 9월까지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에 의해 조사를 수행하여 군락을 유형화하고 그 환경 조건을 분석하였다. 오산천 주변의 잡초 군락은 8군락 단위로 구분되었다: A. 환삼덩굴 군락, B. 갈대군락, C. 고마리 군락, D. 줄 군락, E. 물억새 군락, F. 돌피 군락, G. 부들 군락, H. 강아지풀 군락. 이상의 8군락을 구성하는 총 식물의 종류는 19과 36속 4변종 40종의 총 44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각 군락의 수반종으로 주요 출현 식물은 쑥, 개망초, 자귀풀, 달맞이꽃, 방동사니, 미국가막사리 등 주로 호광성이며 환경압에 강한 식물들로 나타났다. 모든 조사구를 Bray-Curtis 서열법에 의해 서열화한 결과는 대체로 식물사회학적 표 조작에서 얻어진 결과와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생태하천조성사업 예정지인 신당천(경상북도 경주시)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of Construct-Reserved Site of Ecological Stream, Shindangcheon Stream(Gyeongju-si, Gyeongsangbuk-do))

  • 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41-61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constructing a ecological stream, Shindangcheon stream located in Gyeongju-si, Gyeongsangbuk-do, South Korea. From August 2017 to June 2019, a total of 7 surveys were conducted.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388 taxa including 75 families, 246 genera, 360 species, 4 subspecies, 19 varieties, 2 forms and 3 hybrids. The most families of taxa were Poaceae (59 taxa), Asteraceae (47 taxa), Fabaceae (27 taxa), Rosaceae and Cyperaceae (20 taxa, respectively), and Polygonaceae and Brassicaceae (15 taxa, respectively). The rare plant was Aristolochia contorta Bunge, and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4 taxa, such as Populus × tomentiglandulosa T.B.Lee,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Lespedeza maritima Nakai, and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found in this site were 13 taxa comprising 8 taxa of grade I, 4 taxa of grade III, and 1 taxon of grade IV. The naturalized plants were 73 taxa, such as Fallopia dumetorum (L.) Holub,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Potentilla supina L. var. ternata Pterm.,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6 taxa, such as Rumex acetosella L., Sicyos angulatus L., Solanum carolinense L., Ambrosia artemisiifolia L., Lactuca serriola L., and Symphyotrichum pilosum (Willd.) G.L.Nesom..

일월저수지의 습지 환경과 식생발달 (Wetland Environment and Vegetation Development of the Ilwol Reservoir)

  • 한윤호;김동엽;안원용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16
    • /
    • 2002
  • Wetland areas have characteristics of dynamic cycling of materials in relation to land and water. Although having great potential for providing unique natural environments, they are vulnurable to human land use activities and some places are in danger of being eliminated. This study had an objective of investigating vegetation changes in Ilwol reservoi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preservation and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wetland area. Wetland vegetation was investigated along with the site conditions which may affect the vegetation development. There were 10 vegetation types with various species composition. Humulus japonicus, Zizania latifolia, Phragmites japonica, Bidens frondosa, Typha orientalis, Scirpus tabernaemontari, Phragmites communis, Persicaria thunbergii were the major wetland plants found at the reservoir area. Precipitation and water level were the elements mostly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the plants. Phragmites japonica was closest to the water front, followed by Zizania latifolia, Humulus japonicus and Bidens frondosa. Most plant zones were predominated by one or a few species.

경주시 생태복원하천인 충효천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of Ecologically Restored Stream, Chunghyocheon in Gyeongju-si)

  • 유주한;정성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5-4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management of ecologically restored stream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Chunghyocheon stream, Gyeongju-si. The survey of vascular plants in this site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restoration. The number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276 taxa including 68 families, 188 genera, 242 species, 1 subspecies, 29 varieties and 4 forms. The rare plants were 2 taxa including Prunus yedoensis Matsum. and Iris ensata var. spontanea (Makino) Nakai, and the Korean endemic plant was Lespedeza maritima Nakai.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13 taxa including 1 taxa of grade V, 3 taxa of grade III, 1 taxa of grade II and 8 taxa of grade I. The naturalized plants were 62 taxa including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Lepidium virginicum L., Poa compressa L.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Ambrosia artemisiifolia L., Aster pilosus Willd. and Lactuca scariola L.. The hydrophytes were 34 taxa including 26 taxa of emergent plant, 1 taxa of floating-leaved plant, 2 taxa of free-floating plant and 5 taxa of submerged plant.

The Relationship of Veget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Wangsuk Stream and Gwarim Reservoir: I. Water Environments

  • Lee, Bo-Ah;Kwon, Gi-Jin;Kim, Jae-Ge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6호
    • /
    • pp.365-373
    • /
    • 2005
  • Understanding the relation of water environmental factors and vegetation is critical to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wetlands. To reveal relationships between representative plant groups and water environments, we measured cover and abundance of plant species, water depth, temperature, pH, conductivity, dissolved oxygen, $NH_4$-N, $NO_3$-N, and $PO_4-P$ concentration in water in Wangsuk stream (WS) and Gwarim reservoir (GR). This study was conducted monthly from May to October, 2004. Six vegetation groups $(W1{\sim}W6)$ in WS and five vegetation groups $(G1{\sim}G5)$ in GR were identified using TWINSPAN. WS was characterized by Phragmites japonica, Digitaria sanguinalis, Phalaris arundinacea, Beckmannia xyzigachne and Persicara hydropiper, Persicaria thunbergii, Typha angustifolia. GR was characterized by T. angustifolia, Scirpus tabernaemontani, P. thunbergii, Humulus japonicus and Scirpus fluviatilis, Typha orientalis, Zizania latifolia. The vegetation in WS experienced greater seasonal changes than in GR. A correspondence analysis suggests that water depth was the major environmental factor influencing the distribution of most plants communities in both wetlands.

경북 울진군 불영계곡 일대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of the Bulyeong Valley in Uljin-gun, Gyeongbuk)

  • 오현경;신현탁
    • 환경생물
    • /
    • 제24권4호
    • /
    • pp.359-367
    • /
    • 2006
  • 본 연구는 불영계곡 일대의 관속식물을 조사한 후 무분별한 개발과 채취로 인해 점점 멸종되어가고 있는 희귀식물과 한국특산식물 및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을 제시함으로써, 식물자원과 식생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한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상은 101과 340속 547종 80변종 12품종 1아종 1교잡종으로 총 641종류(taxa)가 확인되었으며, 이중 희귀식물에는 식재수종을 제외한 창포(보존우선순위 54번), 꼬리겨우살이 (170번), 등칡 (57번), 쥐 방울덩 굴 (151번), 태 백제 비꽃 (202번), 지리산오갈피(58번), 꼬리진달래 (140번), 개불알꽃 (29번), 미치광이풀(208번)등 총 9종류(taxa)가 확인되었다. 한국특산식물에는 키버들, 각시족도리, 흰명아주여뀌, 숲개 별꽃, 진범, 점현호색, 흰현호색, 갈퀴현호색, 꽃황새냉이, 흰털괭이눈, 터리풀, 틸조록싸리, 지리산오갈피, 새며느리밥풀, 병꽃나무, 털잔대, 고려엉겅퀴, 가야은분취 등 총 18종류(taxa)가 확인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에 식재종인 왕벚나무, IV등급에는 측백나무, 승마, 애기기린초, 꼬리진달래 등 13종류, III등급에는 개쇠뜨기, 돌단풍, 참당귀, 고려엉겅퀴 등 17종류, II등급에는 처녀치마, 동자꽃, 참바위취, 노랑제비꽃 등 15종류, 그리고 I등급에는 일월비비추, 촛대승마, 애기괭이눈, 초롱꽃 등 35종류로 분석되어 총 81종류(12.6%)가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에는 12과 40속 51종 2변종으로 총 53종류(taxa)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8.2%, 도시화지수는 20.7%로 분석되었다. 최근 들어 불영계곡 일대는 도로 확장 등의 개발계획과 무분별한 관광객의 증가로 인해 훼손이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빠른 시일에 생태계복원계획에 대한 다양한 대책과 제한적인 국토개발계획의 재수립이 필요하며, 희귀식물이나 특산식물 등이 분포하고 있는 서식처를 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경기도 수원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이후 식생변화 연구 (The Change of Riverside Vegetation by Construction of Ecological Stream in Suwoncheon, Gyeonggi Province)

  • 최일홍;한봉호;기경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23-734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 초기 생태하천 조성사업인 수원천을 대상으로 조성 후 10년간의 식생변화를 분석하고 생태하천의 식생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구간은 1차 복원사업 구간인 경기교~영연교 구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지형구조에 따라 3개 조사구를 설정하고 횡단면 지형구조, 식생분포현황과 초본식물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하천 횡단면 지형구조 분석결과 하천 전체 폭 26.5~28.0m, 저수로 10~20m이었다. 친수공간 조성지역은 넓은 둔치를 확보하고 있었고 보 상부 저수지역은 물 흐름이 완만하고 수심이 비교적 깊은 상태였으며 보 하부 여울지역은 저수로 폭이 넓고 여울을 형성하고 있었다. 식생구조 분석결과 현재 식재종은 9종이었고 조성당시 식재한 종 중 남아있는 종은 버드나무, 갈대, 잔디, 토끼풀 등 6종이었다. 둔치지역은 조성 당시 파종한 종 중 잔디와 토끼풀 2종만이 남아있었고 금번 조사 시 관찰된 신규 식재종은 큰김의털과 오리새 2종이었다. 식재종 이외에는 자연발생종으로 강아지풀과 쑥 등 건조지성 초본이 세력을 형성하고, 귀화종이 15종으로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호안지역은 조성 당시 자연석 쌓기 공법을 적용하고 버드나무, 돌단풍과 바위취 등을 식재하였으나 현재는 식재종이 모두 사라진 상태로 쇠뜨기와 환삼덩굴 등에 의해 피복되어 있었다. 이는 생태하천 복원 당시 유지관리상의 이유로 콘크리트 기초 위에 자연석을 부착하여 식물생육 기반이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저수로는 친수공간 조성지역에 조성 당시 부들, 창포 및 갈대 등 습지성 식물을 식재하였으나 현재 버드나무, 갈대와 줄만이 남아 있었고 보 상부 저수지역과 보하부 여울지역에는 갈대와 줄이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자연발생종으로는 고마리가 주로 우점하였고 보 하부 여울지역에서 환삼덩굴이 일부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다. 수원천의 식생관리는 친수공간 조성지역은 이용자를 고려한 식생관리 측면에서 양호한 하천식생경관의 연출이 필요하여 이를 위해 물억새를 군락으로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보 상부 저수지역은 줄, 부들과 갈대 등을 수심에 맞게 보완 식재가 필요하였다. 보 하부 여울지역은 갈대, 고마리 등 습윤지성 자생종이 안정적으로 세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환삼덩굴의 지속적 관리가 필요하였다.

휴경 연차에 따른 휴경지 군락내 식생 특성 (Floristic Composition of Plant Community in Set-Aside Fields with Regard to Seral Stages)

  • 강병화;마경호;심상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3-59
    • /
    • 2003
  • 휴경지의 식생 특성을 묵밭과 묵논과 같이 토양의 수분상태가 다른 조건과 휴경 연차에 따라 조사하였다. 같은 묵논이라도 습한 상태로 휴경한 경우와 건조한 상태로 휴경한 경우 식생의 차이가 컸으며, 건조한 상태에서 다년생으로의 천이가 빠르게 일어났다. 천이 단계는 휴경 기간보다 휴경지의 토양 조건에 더욱 큰 영향을 받았다. 묵밭의 경우 휴경 2년차에 우점하였던 돌콩, 칡, 쑥, 새팥 노랑물봉선 등은 휴경이 6년간 진전된 경우 칡, 억새, 돌콩, 쑥 등의 순으로 우점도가 변하였다. 논을 건답상태로 휴경한 경우 3년차에는 들깨풀, 돼지풀i 강아지풀 등이 주요 우점 초종이었으나 7년차에는 억새, 미국쑥부쟁이, 쇠치기풀 등이 우점하여 다년생으로 천이되었다. 논을 습답 조건으로 휴경한 경우 수생 잡초가 우점하였다. 7년차에는 갈대, 돌콩, 부들, 고마리가 우점하였으나, 11년차에는 갈대, 줄, 고마리, 부들이 우점하는 초종이었다. 휴경지의 식물종 다양성은 건조한 토양 조건보다 다소 습한 조건의 토양에서 높게 나타났다.

내장산국립공원 일대의 특정식물과 귀화식물 (The Specific Plant Species and Naturalized Plants in the Area of Naejangsan National Park, Korea)

  • 이희천;제갈은기;임동옥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67-283
    • /
    • 2011
  • 내장산국립공원지역에서 확인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은 진노랑상사화, 노랑붓꽃, 대흥란 및 백운란 4분류군이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총 159분류군으로 I 등급에 해당하는 분류군은 옥녀꽃대, 가는갈퀴나물 및 말오줌때등으로 91분류군, II 등급에 해당하는 분류군은 참개별꽃, 퍼진고사리 및 토끼고사리 등으로 17분류군, III 등급에 해당하는 분류군은 고려엉겅퀴, 어리병풍 및 솜분취 등으로 32분류군, IV 등급에 꼬리말발도리, 갈사초 및 측백나무 등으로 9분류군, V 등급에 백양더부살이, 진노랑상사화 및 백양꽃 등으로 1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국고유생물종은 애기닥나무, 참개별꽃 및 가는장구채 등으로 총 4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굴거리나무림(제 91호)와 비자나무림(제 153호)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귀화식물은 닭의덩굴, 털여뀌 및 소리쟁이 등으로 30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나타나지 않았다.

제주도 내륙습지 미나리못의 식생 형성과 물환경과의 관계 (Formation of Vegetation in an Inland Wetland, Minarimot, of Jeju Islands, and its Relationship to Water Environment)

  • 김명현;한민수;방혜선;정명표;나영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65-370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types of Minarimot, in Jeju Islands. The vegetation types were classified by the Z-M school method and cluster analysis. The vegetation in Minarimot was classified into 6 communities and 2 subcommunities: Persicaria thunbergii-Isachne globosa community (vegetation type: A), Scirpus tribangulatus-Eleocharis manillata var. cyclocarpa community (B) (Aneilema keisak subcommunity (B-1) and Caldesia parnassifolia-Potamogeton distinctus subcommunity (B-2)), Eleocharis kuroguwai community (C),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D), Scirpus tabernaemontani community(E) and Typha orientalis community (F). These communities were group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according to cluster analysis. The community (A) established at the edge of the wetland which has the driest condition was distinguished as Group I, while the community (B) emerged in the submerged zone was distinguished as Group III. The Group II was designated as the communities (C, D, E, F) between Group I and III, whose communities were occasionally submerged. The result of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PCoA) appeared that the different vegetation established along the wetland were depending on water environment such as water depth and the period submerg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