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meable design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9초

투수성 주차장에서의 강우 유출저감 및 저류용량 분석 (Analysis of runoff reduction and storage capacity in permeable pavement parking lot)

  • 정용준;민경석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96-302
    • /
    • 2017
  • 일반적으로 주차장은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등 불투수층으로 조성되기 때문에 강우시 각종 오염물질이 수계로 배출됨에 따라 비점오염원 배출 부하량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불투수층으로 인한 물순환장애 및 비점오염원 관리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는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의 적용 및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환경부는 개발사업에 대해 저영향개발 기법의 적용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빗물 및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저영향개발 기법의 하나인 투수성 주차장에서 발생하는 강우 유출수의 오염물질 농도, 비점오염부하량, 초기세척현상 및 강우유출지연효과를 불투수성 주차장과 비교 분석하여 향후 투수성 주차장 설계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체투과막을 이용한 암모니아성 질소 회수방안 (Recovery of Ammonia Nitrogen using Gas-permeable Membranes)

  • 이상훈;채상엽
    • 멤브레인
    • /
    • 제32권3호
    • /
    • pp.191-197
    • /
    • 2022
  • 기체투과막 기술을 이용하여 가축분뇨 폐기물 등으로부터 암모니아성 질소를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이는 폐기물 내 암모니아 기체가 폐기물에 함침된 기체투과막의 미세공극을 투과하여 막반대편에 도달하게 된다. 투과된 암모니아 기체분자는 막 반대편에 존재하는 용액 내 황산 등 산에 의해 포획 및 회수된다. 막 유입부 내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 유입 폐기물 내 pH를 높게 유지해야 하는데 pH 상승에 필요한 염기성 약품 투입비용이 문제가 될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보다 저렴한 소석회 투입하거나 폭기 혹은 질산화억제를 통해 높은 pH를 효과적으로 유지시키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한편 암모니아성 질소 회수에 쓰이는 기체투과막의 재질은 적절한 내열성이나 내화학성 이외에도 소수성을 띈다는 특징이 있으며 이를 통해 막기공을 통해 암모니아 기체를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성상을 가진 현장 폐기물을 이용하여 실증 Test를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최적 설계/운전 조건 규명 및 경제성 제고 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왕겨재를 혼입한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의 공학적 성질 (Engineering Properties of Permeable Polymer Concrete with Rice-Husk Ash)

  • 성찬용;윤준노;김경태;김영익
    • 농업과학연구
    • /
    • 제25권1호
    • /
    • pp.89-96
    • /
    • 1998
  • 이 연구는 폴리머를 결합재로 사용하고 시멘트와 왕겨재를 충전재로 혼입한 투수용 폴리머 콘크리트의 공학적 성질을 구명한 것으로서,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각 강도는 시멘트와 왕겨재를 중량비로 반반씩 충전재로 사용한 투수용 폴리머 콘크리트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고,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보다 압축강도에서는 24%, 인장강도에서는 123%, 휨강도에서는 90%가 증가되었다. 2. 정탄성계수는 $1.27{\times}10^5{\sim}1.75{\times}10^5kgf/cm^2$으로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의 58~70%정도로서 변형성이 크게 나타났으며, 충전재로는 시멘트와 왕겨재를 중량비로 반반씩 사용한 투수용 폴리머 콘크리트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왕겨재의 혼입량이 많을수록 높은 값을 보였으며, 포아손수는 3.140~5.314로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보다 작게 나타났다. 3. 초음파진동속도는 2,503~3,083m/sec로서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와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시멘트와 왕겨재를 반반씩 충전재로 사용한 투수용 폴리머 콘크리트에서 비교적 높은 값을 보였다. 4. 투수량은 $4.612{\sim}5.913{\ell}/cm^2/hr$로서 배합설계에 따라 크게 좌우되었으며, 이러한 콘크리트는 투수를 요하는 구조물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aCO3와 석분을 혼입한 투수용 폴리머 콘크리트의 공학적 성질 (Engineering Properties of Permeable Polymer Concrete with CaCO3 and Stone Dust)

  • 성찬용;송용진;정현정
    • 농업과학연구
    • /
    • 제23권1호
    • /
    • pp.61-69
    • /
    • 1996
  • 이 연구는 폴리머와 충전재로 $CaCO_3$와 석분을 혼입한 투수용 폴리머 콘크리트의 공학적 성질을 구명한 것으로서,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강도는 충전재로 석분을 100% 혼입한 투수용 폴리머 콘크리트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보다 압축강도에서는 17%, 인장강도에서는 148%, 휨강도에서는 188% 증가되었고, 압축강도에 대한 인장과 휨강도비가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보다 2.1~2.5배이상 크게 나타나 취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정탄성계수는 $1.17{\times}10^5{\sim}1.32{\times}10^5kg/cm^2$로서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의 53~56%정도로 변형성이 크게 나타났고, 충전재로는 석분을 100% 혼입한 투수용 폴리머 콘크리트에서 비교적 높은 값을 보였으며, 포아손수는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보다 작게 나타났다. 3. 동탄성계수는 $1.3{\times}10^5{\sim}1.5{\times}10^5kg/cm^2$로서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보다 작게 나타났고, 충전재로는 석분을 100% 혼입한 투수용 폴리머 콘크리트에서 비교적 높은 값을 보였으며, 동탄성계수는 정탄성계수보다 10~13%정도 크게 나타났다. 4. 투수량은 $3.076{\sim}4.390{\ell}/cm^2/h$로서 배합설계에 따라 크게 좌우되었으며, 이러한 콘크리트는 투수를 요하는 구조물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5. 투수량은 압축강도, 인장강도, 휨강도 및 탄성계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 PDF

코팅된 제올라이트 비드를 이용한 콘크리트 투수블록의 대기전구물질 제거율 평가 (Air Pollutant Removal Rates of Concrete Permeable Blocks Produced with Coated Zeolite Beads)

  • 박준서;양근혁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3-164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황산화물(SOx) 및 질소산화물(NOx)을 제거할 수 있는 소재를 코팅한 제올라이트 비드를 이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투수블록의 대기전구물질의 제거율을 평가하는데에 있다. 대기전구물질인 SOx와 NOx를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된 소재는 이산화티타늄(TiO2) 분말과 야자각 분말이며, 이 두 소재를 제올라이트 비드에 코팅하였다. 시편은 실제 공장생산라인을 이용하여 제올라이트 비드가 임베디드된 콘크리트 투수블록을 제작하였다. 실험결과 표층에서 야자각 분말로 코팅된 제올라이트 비드가 첨가된 콘크리트 투수블록의 SOx와 NOx 제거율은 각각 12.5% 및 99%로서 다른 블록보다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였다. 또한, 휨 강도 및 미끄럼저항성은 각각 5.3MPa 및 65BPN 이상으로 KS F 4419 및 KS F 4561에서 제시된 값을 만족하였다. 반면, 투수계수는 서울특별시의 투수블록 포장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기준으로 협잡물 오염 전후에 각각 3 및 4등급으로 낮은 투수성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표층에서 야자각 분말로 코팅된 제올라이트 비드의 첨가는 충분한 휨강도 및 미끄럼저항성을 확보하면서 자외선에 관계없이 SOx와 NOx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지만, 투수성이 낮으므로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Cylindrical Slit Type Shore Structures

  • Lee, Joong-Woo;Nam, Ki-Dae;Park, Sang-Gill;Kim, Sug-Moon;Kang, Seok-Jin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645-651
    • /
    • 2009
  • In this study, a series of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weak reflection of regular and random water waves over a train of protruded permeable shore structures. A cylindrical slit type breakwater and the alternatives are employed and compared for reflecting and transmitting capabilities of incident waves including wave forces. A series of random waves were generated by using the Bretschneider-Mitsuyasu frequency and directional spectrum. Measured spectrum of irregular waves without breakwaters is verified by comparing with those of the input waves generated. Weak reflection is occurred at the breakwater center of the peak frequency. If the row of breakwaters is fixed at three layers and the relative height of breakwater is fixed at 0.6, around 45% of incident wave energy is reflected to offshore. It is also found that the transmission of directional random waves increases as the maximum frequency parameter increases. A very good agreement is observed. Reflection coefficients of permeable submerged breakwaters are less than those of impermeable breakwaters. The upside-down L shape is recommended for a small fishery harbor mooring in terms of reflecting capability and of practical application. The final design was applied to the wharf of a small beach of Seolly, near Namhae at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Fabrication of a Superhydrophobic Water-Repellent Mesh for Underwater Sensors

  • An, Taechang
    • 센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0-104
    • /
    • 2013
  • A superhydrophobic mesh is a unique structure that blocks water, while allowing gases, sound waves, and energy to pass through the holes in the mesh. This mesh is used in various devices, such as gas- and energy-permeable waterproof membranes for underwater sensors and electronic devic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fabricate micro- and nano-structures on three-dimensional surfaces, such as the cylindrical surface of a wire mesh. In this research, we successfully produced a superhydrophobic water-repellent mesh with a high contact angle (> $150^{\circ}$) for nanofibrous structures. Conducting polymer (CP) composite nanofibers were evenly coated on a stainless steel mesh surface, to create a superhydrophobic mesh with a pore size of $100{\mu}m$. The nanofiber structure could be controlled by the deposition time. As the deposition time increased, a high-density, hierarchical nanofiber structure was deposited on the mesh. The mesh surface was then coated with Teflon, to reduce the surface energy. The fabricated mesh had a static water contact angle of $163^{\circ}$, and a water-pressure resistance of 1.92 kPa.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due to a permeable double skin façade on the overall aerodynamics of a high-rise building

  • Pomaranzi, Giulia;Pasqualotto, Giada;Zassso, Alberto
    • Wind and Structures
    • /
    • 제35권3호
    • /
    • pp.213-227
    • /
    • 2022
  • The design of a building is a complex process that encompasses different fields: one of the most relevant is nowadays the energetic one, which has led to the introduction of new typologies of building envelopes. Among them, the Permeable Double Skin Façades (PDSF) are capable to reduce the solar impact and so to improve the energetic performances of the building. However, the aerodynamic characterization of a building with a PDSF is still little investigated in the current literature. The present paper proposes an experimental study to highlight the modifications induced by the outer porous façade in the aerodynamics of a building. A dedicated wind tunnel study is conducted on a rigid model of a prismatic high-rise building, where different façade configurations are tested. Specifically, the single-layer façade is compared to two PDSFs, the former realized with perforated metal and the latter with expanded metal. Outcomes of the tests allow estimating the cladding loads for all the configurations, quantifying the shielding effects ascribable to the porous layers that are translated in a significant reduction of the design pressure that could be up to 50%. Moreover, the impact of the PDSFs on the vortex shedding is investigated, suggesting the capability of the façade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synchronised vortices and so mitigate the structural response of the building.

공내수 치환기법을 이용한 연안지역 대수층의 수리특성 평가 (Detection of inflow permeable zones using fluid conductivity logging in coastal aquifer)

  • 황세호;박윤성;신제현;박권규;최선영;이상규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5년도 제7회 특별심포지움 논문집
    • /
    • pp.83-92
    • /
    • 2005
  • 연안지역에서 해수침투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기전도도 검층을 수행하였다. 검층의 목적은 투수성 파쇄대 및 고염분 지하수가 유입되는 구간의 확인이다. 전기전도도 검층은 시추공 내의 지하수를 전기적으로 다른 성질을 갖는 지하수로 치환하고 일정 양수 또는 자연 상태에서 시간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측정한다. 따라서 시추공과 교차하는 투수성 파쇄대 또는 다공성의 대수층에서 시추공내로 유입되는 지층수 전기전도도의 변화 특성을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서 측정하면 지하수가 유입되는 구간의 확인이 가능하다. 현장 시험에 적용한 공내수 치환 시스템은 주입과 양수, 유량측정이 가능하며 내경이 작은 모니터링 PVC 케이싱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 전남 영광의 연안지역에 위치하는 3개 시추공에 공내수 치환기법을 적용하여 전기전도도의 변화 특성을 측정한 결과, 연안지역의 고염분지하수는 균열암반을 통한 해수침투는 물론 간척사업으로 인한 잔류염분의 영향을 동시에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내수 치환기법과 추가적으로 수행될 정량적인 해석 결과는 연안지역에서 수리상수 추정, 최적의 양수설계, 해수침투 특성 평가 등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