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manent wilting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4초

목본식물의 형성층 전기저항에 의한 영구위조점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the Permanent Wilting Point in Woody Plant by Cambial Electrical Resistance)

  • 김민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5-80
    • /
    • 1995
  • It is important to estimate the possibility of recovery in physiologically damaged woody plant. It is suggested that C.E.R(cambial electrical resistance) might be a useful method to predict the permanent wilting point. D/A and A/D converter can be used to measure the C.E.R and it took only 10-20 msec for a measurement and the values were stable during this study. A computer could be used for the continual measurement of C.E.R. There were very big daily changes of C.E.R.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s of indoor temperature, but the phase was slightly different. It is reasoned that daily changes in C.E.R. is induced by the changes of water potential and cambial thickness. It was difficult to detect the changes of C.E.R. caused by changes in soil moisture under high soil water potential. Under low soil water potential, the changes in soil moisture under high soil water potential. Under low soil water potential, the changes of C.E.R. can be detected. After wilting, C.E.R. is increased very rapidly. When C.E.R. is not decreased by watering, it will be permanent wilting point. But it takes several days to confirm the permanent wilting point. To predict the possibility of recovery from wilting, the values of C.E.R. have no meaning. But the changes of C.E.R. are significant. Therefore we can predict the permant wilting point in woody plant by monitoring the change of C.E.R. by the computer.

  • PDF

옥상녹화를 위한 남천 외 3수종의 내건성 평가 (Drought Resistance Assessment of Four Shrub Species Including Nandina Domestica for Extensive Green Roof)

  • 신창섭;이학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67-273
    • /
    • 2014
  • 본 연구는 비교적 내건성이 강하여 옥상녹화 소재로 이용될 수 목본식물들 중 수수꽃다리(Syringa dilatata), 사철나무(Euonymus japonica), 쥐똥나무(Ligustrum obtusifolium), 남천(Nandina domestica)등 4 수종에 대해서 내건성을 비교하고 영구위조계수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식물의 내건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2013년 6월4일~7월 20일까지 무관수 처리하였고 7일 간격으로 잎의 상대함수량, 상대전기전도도, 수분포텐셜 등을 측정하였으며, 영구위조계수를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충분히 관수한 화분을 옥상으로 옮기고 2일 후에 측정한 잎의 상대함수량은 쥐똥나무 91.3%, 수수꽃다리 92.9%, 남천 91.2%, 사철나무 90.1%였다. 그 후 28일 동안 관수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상대함수량은 쥐똥나무 60.2%, 수수꽃다리는 67.8%로 크게 감소되었으나, 남천과 사철나무는 각각 80.1%, 81.7%로 감소되었다. 상대전기전도도와 수분포텐셜에서도 남천과 사철나무가 쥐똥나무와 수수꽃다리에 비하여 내건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별 영구위조계수는 쥐똥나무 3.1%, 수수꽃다리 2.1%, 남천 1.6%, 사철나무 0.7%로 나타났다. 즉 위의 공시수종 모두 내건성이 강하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사철나무의 내건성이 가장 크고 다음은 남천> 수수꽃다리> 쥐똥나무 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 토양(土壤)의 토성별(土性別) 유효수분(有效水分) (Available Soil Water for Textural Class of Korean Soils)

  • 정석재;문준;김태순;현근수;박창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67-172
    • /
    • 1990
  • 우리나라 토양(土壤)(제주도(濟州道) 토양(土壤) 제외(除外))의 토성별(土性別) 유효수분함량(有效水分含量) 평균치(平均値)를 구(求)하고 토양성질(土壤性質) 사이의 상관(相關)을 구명(究明)하고 유효수분함량(有效水分含量)의 추정식(推定式)을 얻기 위하여 시(市) 군(郡) 대표단면(代表斷面)의 토양분석치(土壤分析値)(표본(標本)크기 : 2,808개(個))를 이용(利用)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토성별(土性別) 평균(平均) 유효수분함량(有效水分含量)은 사토(砂土) 4.7, 양질토양(壤質砂土) 7.7, 사양토(砂壤土) 13.2, 토양(壤土) 17.7, 미사질양토(徵砂質壤土) 19.2, 식양토(埴壤土) 15.9, 사질식양토(砂質埴壤土) 14.5, 미세질양토(徵砂質埴壤土) 18.7, 미사질식토(微砂質埴土) 17.3 그리고 식토(埴土) 14.9%이었다. 2. 포장용수량(圃場容水量)일때의 수분함량(水分含量)과 유효수분함량(有效水分含量)은 대체로 조립질토양(組粒質土壤)에서 모래 그리고 세립질토양(細粒質土壤)에서는 유기물(有機物), 영구위조점(永久萎凋點)에서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점토(粘土)가 가장 크게 관계(關係)가 있었다. 3. 유효수분함량(有效水分含量)은 포장용수량(圃場容水量)일때의 수분함량(水分含量)과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을 나타내었고 영구위조점(永久萎凋點)일때의 수분함량(水分含量)과는 상관(相關)이 없었다. 유효수분함량(有效水分含量)은 미사(微砂)의 영향(影響)을 크게 받았다. 4. 토성별(土性別) 포장용수량(圃場容水量)일때의 수분함량(水分含量) 및 유효수분함량(有效水分含量)의 추정식(推定式)이 얻어졌다.

  • PDF

배양액(培養液)의 수분장력(水分張力)이 인삼(人蔘)의 수분흡수(水分吸收) 증산(蒸散) 및 광합성(光合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water potential of culture solution on water uptake, transpiration and photosynthesis of Panax ginseng)

  • 목성균;박훈;이종화;손석용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15-118
    • /
    • 1981
  • 2년근삼(年根蔘)을 공시(供試)해서 수경조건(水耕條件)으로 Polyethylene glycol 6000을 사용(使用)하여 수분장력간(水分張力間)에 수분흡수(水分吸收) 증산(蒸散) 및 광합성량(光合成量)을 조사(調査)하여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수경액(水耕液)의 장력(張力)이 -0.5bar에서도 2시간이내(時間以內)에 20%의 광합성(光合成) 감소(減少)를 보였으며 무처리구에서도 13시간(時間)동안에 식물체의 수분(水分)은 최초수분(最初水分) 함량(含量)의 3.26% 감소(減少)되었으나 광합성량(光合成量)에는 차이(差異)가 없었다. 2. 2년근삼(年根蔘)에서 용액(溶液)의 수분장력(水分張力)(${\psi}$)과 수분(水分) 흡수량(吸收量)(W)과는 ${\psi}=\frac{-2.890}{e^{2.790W}}$의 관계를 보였으며 인삼근권토양의 영구위조점계수가 -2.890bar보마 클것으로 추정되었다. 3. 수경액(水耕液)의 수분장력(水分張力)이 감소(減少)함에 따라 증산량(蒸散量)이 현저히 감소(減少)되어 4시간후(時間後)에 -0.5bar에서도 대조구(0 bar)에 비(比)해 23.9%나 감소(減少)되었다. 4. 이상(以上)의 결과(結果) 인삼(人蔘)은 타작물(他作物)에 비(比)해 근(根)의 위조수분장력(萎凋水分張力)이 현저히 높아 수분부족(水分不足)에 대한 영향(影響)이 크며 특(特)히 한발(旱魃)이 심할때나 토양중(土壤中) 염류농도가 높을때 그 피해는 더욱 클것으로 생각된다.

  • PDF

인삼(人蔘)잎의 위조(萎凋)와 증산특성(蒸散特性) (Characteristics in wilting and transpiration of Panax ginseng leaves)

  • 박훈;윤태헌;배효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7-82
    • /
    • 1979
  • 대두엽(大豆葉)과 비교(比較)하여 인삼절제엽(人蔘切除葉)의 위조(萎凋) 증산(蒸散) 특성(特性)을 온도별로 그리고 엽절편(葉切片)의 water potential 및 흡수특성(吸水特性)을 조사(調査)하였다. 1. 인삼엽(人蔘葉)은 대두엽(大豆葉)에 비(比)하여 얇고 초기수분함량(初期水分含量)이 크지만 탈수속도(脫水速度)는 적으면서도 영구위조점(永久萎凋点)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이 높아서 (초기수분함량(初期水分含量)의 약(約) 80%, 대두(大豆)는 50%) 영구위조점(永久萎凋点)에 이르는 시간(時間)이 대두(大豆)의 반(半)에 불과(不過)하며 고온에서 더욱 단축(短縮)되었다. 2. 인삼엽(人蔘葉)은 대두엽(大豆葉)보다 증산량(蒸散量)이 적었으며 (약(約)1/4) $23^{\circ}C$보다 $33^{\circ}C$의 증산량(蒸散量)이 적어 고온에 대한 내성(耐性)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인삼엽(人蔘葉)은 water free space가 적으나 흡수속도(吸水速度)는 (시간당 단위생중당 흡수량(吸水量)) 큰 차이(差異)가 없었고 수분결차(水分缺差)가 컸다. 4. 액침법(液浸法)에 의한 water potential은 대두엽(大豆葉)보다 컸다. 5.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는 인삼(人蔘)이 대두(大豆)에 비하여 수분부족(水分不足)에 약(弱)한 것을 나타내며 여름 고온에 의한 위조피해(萎凋被害)가 클 것으로 보였으며 전엽기간(展葉期間)에 수광량(受光量)을 높이고 비교적(比較的) 온도를 높게 경과하여 기공수를 증대시키어 증발산기능을 증대시켜 고온 내성(耐性)으로 키워야 하며 근권(根圈)엔 산소(酸素)가 부족(不足)되지 않는 한 수분(水分)을 충분(充分)히 공급(供給)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였다.

  • PDF

QTL Identification for Slow Wilting and High Moisture Contents in Soybean (Glycine max [L.]) and Arduino-Based High-Throughput Phenotyping for Drought Tolerance

  • Hakyung Kwon;Jae Ah Choi;Moon Young Kim;Suk-Ha Le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5-25
    • /
    • 2022
  • Drought becomes frequent and severe because of continuous global warming, leading to a significant loss of crop yield. In soybean (Glycine max [L.]), most of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analyses for drought tolerance have conducted by investigating yield changes under water-restricted conditions at the reproductive stages. More recently, the necessity of QTL studies to use physiological indices responding to drought at the early growth stages besides the reproductive ones has arisen due to the unpredictable and prevalent occurrence of drought throughout the soybean growing season. In this study, we thus identified QTLs conferring wilting scores and moisture contents of soybean subjected to drought stress in the early vegetative stage using an recombinant inbred line (RIL) population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Taekwang (drought-sensitive) and SS2-2 (drought-tolerant). For the two traits, the same major QTL was located on chromosome 10, accounting for up to 11.5% of phenotypic variance explained with LOD score of 12.5. This QTL overlaps with a reported QTL for the limited transpiration trait in soybean and harbors an ortholog of the Arabidopsis ABA and drought-induced RING-D UF1117 gene. Meanwhile, one of important features of plant drought tolerance is their ability to limit transpiration rates under high vapor pressure deficiency in response to mitigate water loss. However, monitoring their transpiration rates is time-consuming and laborious. Therefore, only a few population-level studies regarding transpiration rates under the drought condition have been reported so far. Via employing an Arduino-based platform, for the reasons addressed, we are measuring and recording total pot weights of soybean plants every hour from the 1st day after water restriction to the days when the half of the RILs exhibited permanent tissue damage in at least one trifoliate. Gradual decrease in moisture of soil in pots as time passes refers increase in the severity of drought stress. By tracking changes in the total pot weights of soybean plants, we will infer transpiration rates of the mapping parents and their RILs according to different levels of VPD and drought stress. The profile of transpiration rates from different levels of severity in the stresses facilitates a better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 between transpiration-related features, such as limited maximum transpiration rates, to water saving performances, as well as those to other drought-responsive phenotypes. Our findings will provide primary insights on drought tolerance mechanisms in soybean and useful resources for improvement of soybean varieties tolerant to drought stress.

  • PDF

한국에서 수분수지의 생태적 중요성과 대기오염 및 토양 산성화로 인한 식물의 수분스트레스 증대 효과 (Ecological Importance of Water Budget and Synergistic Effects of Water Stress of Plants due to Air Pollution and Soil Acidification in Korea)

  • 이창석;이안나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3호
    • /
    • pp.143-150
    • /
    • 2003
  • 한국은 양적으로 강수량이 풍부하지만 강우현상이 편중되어 매년 일정기간의 가뭄기를 겪는다. 더구나 그 토양은 대부분 화강암에서 유래한 거친 입자의 것으로서 보수력이 낮다. 수 종의 참나무류와 소나무의 수분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결과는 수분수지가 식생의 분포를 결정하는 주 요인임을 보여주었다. 뿐만 아니라 몇몇 상록식물의 월동기간 중 내한성 기작에 기인한 탈수 정도는 자연상태에서 그들의 분포와 밀접하게 관계되었다. 수분스트레스 처리 실험 결과 소나무는 건조에 대해 강한 내성을 보였지만 그 유식물은 가뭄기에 높은 고사율을 나타내었다. 그 고사율은 지소의 토양수분함량에 비례하는 경향이었다. 가뭄이 심한 6월 중 삼림토양의 수분함량과 수분스트레스 처리 실험에서 소나무 유식물이 영구위조점에 도달한 시점에서 배지토양의 수분함량을 비교한 결과는 가뭄기에 소나무 유식물의 높은 고사율이 수분부족에 기인함을 입증하였다. 대기오염물질 폭로실험 중 측정된 시료식물의 수분포텐셜은 시료식물에서 가시피해의 발생과 그 내성에 수분요인이 관계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야외 현장 조사와 실내실험 결과 둘 다에서 심한 대기오염에 노출된 식물은 그렇지 않은 것과 비교하여 수분소실이 빠르게 일어나는데, 그것은 오염물질에 의한 잎 표면의 손상 정도와 관계되었다. 산성 토양에서 높은 함유량을 보이는 알루미늄은 식물의 뿌리생장을 억 제하거나 비정상적 분포를 가져와 수분스트레스를 유발하였다. 대기오염과 토양 산성화에 기인한 이러한 수분스트레스 효과는 한국의 기후와 토양이 가지는 기존의 수분결핍효과에 덧붙여져 삼림쇠퇴를 유발하는 주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토양의 유기물 함량을 높여 포장용수량 증가에 기여할 수 있는 sludge는 산성토양을 개량하는데 기존의 개량제 못지않은 효과를 보였고, 낙엽 추출물 또한 알루미늄에 의한 수분스트레스 효과를 완화시키는데 기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한국에서 삼림쇠퇴를 유발할 수 있는 스트레스요인들의 잠재적 상호작용을 모식화하였다. 나아가 그것을 완화할 수 있는 복원방안을 토양개량과 식생복원의 측면에서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