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odontal surgery

검색결과 564건 처리시간 0.032초

Evalu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insertion torque and primary stability of dental implants using a block bone test

  • Bayarchimeg, Dorjpalam;Namgoong, Hee;Kim, Byung Kook;Kim, Myung Duk;Kim, Sungtae;Kim, Tae-Il;Seol, Yang Jo;Lee, Yong Moo;Ku, Young;Rhyu, In-Chul;Lee, Eun Hee;Koo, Ki-Tae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3권1호
    • /
    • pp.30-36
    • /
    • 2013
  • Purpose: Implant stability at the time of surgery is crucial for the long-term success of dental implants. Primary stability is considered of paramount importance to achieve osseointegr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sertion torque and primary stability of dental implants using artificial bone blocks with different bone densities and compositions to mimic different circumstances that are encountered in routine daily clinical settings. Methods: In order to validate the objectives, various sized holes were made in bone blocks with different bone densities (#10, #20, #30, #40, and #50) using a surgical drill and insertion torque together with implant stability quotient (ISQ) values that were measured using the Osstell Mentor. The experimental groups under evaluation were subdivided into 5 subgroups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Results: In group 1, the mean insertion torque and ISQ values increased as the density of the bone blocks increased. For group 2, the mean insertion torque values decreased as the final drill size expanded, but this was not the case for the ISQ values. The mean insertion torque values in group 3 increased with the thickness of the cortical bone, and the same was true for the ISQ values. For group 4, the mean insertion torque values increased as the cancellous bone density increased, but the correlation with the ISQ values was weak. Finally, in group 5, the mean insertion torque decreased as the final drill size increased, but the correlation with the ISQ value was weak. Conclusions: Withi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it was concluded that primary stability does not simply depend on the insertion torque, but also on the bone quality.

Miniplate를 골격성 고정원으로 이용한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의 교정치료 증례 (ORTHODONTIC TREATMENT OF AN IMPACTED MANDIBULAR FIRST MOLAR USING MINIPLATE AS A SKELETAL ANCHORAGE: A CASE REPORT)

  • 장윤형;김은영;김광철;박재홍;이백수;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46-251
    • /
    • 2010
  • 치아의 매복은 치배의 이상 위치 혹은 맹출로에 장애가 있어서 일어나지만, 그 정확한 기전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하악 제1대구치 매복의 발생율은 0.01~0.25%로 매우 드물지만, 이러한 매복은 인접 치아의 우식 또는 치근 흡수, 치조골의 저성장, 치주적 문제들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매복을 해소시켜줄 필요가 있다.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가 근심경사 되어있을 경우 이를 직립시키기 위한 여러 생역학적 접근법이 있지만, 대부분의 방법들은 상호간의 힘(reciprocal force)에 의해 고정원 단위의 이동이 일어난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 골격성 고정원(SAS, Skeletal Anchorage System)의 도입으로 목표 치아 혹은 목표 분절에 직접적인 힘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단기간의 효율적 치아 이동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증례에서는 만곡된 치근을 가진 매복 하악 좌측 제1대구치에서 치아의 직립을 위해 골격성 고정원인 miniplate를 사용 하였다. miniplate는 후구치 부위에 식립되었으며, 교정력을 적용한 10개월 후 매복치가 구강 내로 노출되고 직립되었다. 이에 하악 좌측 제1대구치를 고정성 교정장치에 포함시켜 정상 교합을 얻을 수 있었다.이와 같이 골격성 고정원을 사용함으로써 교정술식을 단순화시키고 교정치료 기간을 줄이며 부작용이 적었던 장점 등이 있어 보고하는 바이다.

치위생 임상에서 조직접착제를 활용한 외상성 치은열창의 처치 (Management of Traumatized Gingival Wound Using Tissue Adhesivein Dental Hygiene Practice)

  • 정원균;노희진;장선옥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4
    • /
    • 2003
  • 본 고는 치위생 임상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외상성 치은 손상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조직접착제의 활용 방안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조직접착제는 조직 표층의 열창을 기존 봉합법에 의하지 않고 화학물질에 의한 접착 방식으로 폐쇄하기 위한 용도로서 그 동안 구강외과나 치주수술 분야에서 그 응용이 모색되어 왔다. 치과위생사가 치석제거 및 치근활택술 등의 시술 과정에서 부적절하거나 과도한 기구조작에 의해 치은이나 구강점막에 열창이 초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 발생하였을 경우, 조직접착제를 이용하여 열창을 폐쇄하면 매우 효과적이며 단순하고 편리하다. 조직접착제는 n-butyl-2-cyanoacrylate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직의 수분과 접촉하면 빠르게 중합되어 접착력을 나타낸다. 조직접착제를 이용한 치은열창의 처치는 그 심미적 결과가 양호하며, 추가적인 조직 손상이 없을 뿐 아니라 시술 방법이 간단하여 시간이 적게 소요된다. 또한 국소마취가 필요치 않으며, 창상 소독이나 봉합사 제거를 위해 환자가 다시 내원하지 않아도 되는 등의 여러 임상적 장점이 있다. 창상의 감염 방지나 지혈 작용 등에도 효과적이다. 조직접착제는 치위생 임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조직손상에 대한 처치법으로서 환자나 치과위생사 모두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 PDF

구미시 일부 근로자의 구강건강실태 조사연구 (A Study on Oral Health Status of Industrial Workers Gumi City)

  • 김혜진;배수명;최옥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05-209
    • /
    • 2005
  • 본 연구는 산업근로자들의 구강건강증진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견을 얻을 목적으로 경북 구미시에 소재하는 산업체 근로자 83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구강검진과 설문지 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구강건강실태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구대상 근로자들은 총 831명으로 남자가 74.6%로 여자보다 많았으며 연령은 29세이하가 43.7%로 가장 많았다. 학력은 고졸이하가 53.6%, 대졸이상이 46.4%였으며 경제상태는 80.7%가 '보통이다'라고 응답하였다. 직종으로는 생산 기능직이 70.2%며 근속년수는 4년이하가 55.3%였다. 2. 주관적 건강상태는 건강하지 못하다고 응답한 사람이 73.4%였으며, 최근 1년동안 치과방문경험이 없는 사람이 59.8%였다. 1일 잇솔질 횟수는 대상자의 55.7%가 3회이상이라고 답했으며, 잇솔질 시기로는 저녁식사후(58.7%)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42.6%가 혓솔질은 하고 있었다. 3. 생활습관에서는 음주를 하는 사람이 68.4%며 음주량은 소주 한병이상이 55.7%였다. 흡연가는 57.3%이였으며 흡연량은 반갑-한갑이 34.8%로 가장 많았고 10년이상 흡연한 경우가 30.0%였다. 구강검진결과, 1개이상 우식치를 보유한 사람이 25.9%며 결손치를 보유한 사람이 14.8%, 치주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가 42.2%, 사랑니이상은 11.7%였다.

  • PDF

수평 매복된 상악 중절치의 교정적 견인: 증례 보고 (ORTHODONTIC TRACTION OF HORIZONTALLY IMPACTED MAXILLARY INCISORS: CASE REPORTS)

  • 김미니;김영재;김정욱;장기택;김종철;한세현;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57-765
    • /
    • 2008
  • 본 증례는 수평 변위 매복과 치근 만곡을 가진 상악 중절치를 폐쇄 노출법을 이용한 교정적 견인을 시행하여 영구 전치의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하였다. 상악 영구 전치가 수평으로 매복된 경우, 가급적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며, 촉진, 시진, 방사선 사진 등을 이용한 적절한 치료 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 상악 영구 전치의 매복이 조기에 적절히 치료되지 못하면 정중선의 변위, 인접치의 이동에 의한 맹출 공간의 감소, 치조골 높이의 차이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심미적인 문제를 야기하여 소아 심리 발달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매복치의 치료는 매복치의 형태, 위치, 상태에 따라 다양하나, 주기적 관찰 방법, 상부 연조직과 경조직을 단순히 제거하여 맹출을 유도하는 방법, 외과적 노출 후 매복치를 교정적으로 견인하는 방법, 치아 이식술, 발치 등을 시행할 수 있다. 이중 이번 증례에서 시행한 매복치의 교정적 견인은 매복치의 치축이 정상 맹출로와 일치되지 않으며, 주기적인 관찰 후 더 이상의 맹출이 기대되지 않을 때 시행하는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으로 매복의 심도, 치아의 발육단계, 만곡의 부위와 정도, 수술방법과 견인방향 등을 고려하여 치료의 예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 PDF

무기인산염이 골재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조직계측학적인 연구 (Histomorphometric study on effect of the polyphosphate for bone regeneration)

  • 이영석;박준봉;권영혁;허익;정종혁;주성숙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1호
    • /
    • pp.65-75
    • /
    • 2007
  • In this study, author examined the effect of the concentration of the inorganic polyphosphate on the process of the bone regeneration by using the 6 weeks old rabbit with the weight of 2.0kg in average. we performed the experiment by using TR-eITFE membrane filled with collagen immersed with 1%, 2%, and 4% of inorganic polyphosphate, respectively, after removing the proper sized cort-ical bones from the calvaria of rabbit.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one of the following four groups: The control group for membrane only, experimental group I for membrane filled with collagen im-mersed with 1% of inorganic polyphosphate, experimental group II for membrane filled with collagen immerse with 2% of inorganic polyphosphate, experimental group III for membrane filled with colla-gen immersed with 4% of inorganic polyphosphate. The fragments of the tissue with membrane were obtained from each group of the sacrificed rab-bits for 4 or 8 weeks sustained after surgery, were then prestained and coated. New bone formation was assessed by histomorphometric and statistical analysis. We may draw the conclusions from these experiments as following: 1. Collagen was an excellent carrier with a minimal inflammatory reaction and sustaining the form. 2. The sample of the 8th week group has shown the best bone regeneration compared with the cases of all groups including the control group. 3. The samples of collagen immersed with 2% and 4% of inorganic polyphosphate have shown more bone regeneration relative to the sample of the 1% inorganic polyphosphate. 4. The new bone regeneration was shown actively in the group for membrane filled with collagen immersed with 4% of inorganic polyphosphate. With above results, it is strongly suggested the use of inorganic polyphosphate with vehicle under TR-eITFE membrane.

무기인산염과 탈단백우골의 혼합사용이 골재생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eproteinized bovine bone mineral soaked in inorganic polyphosphate on bone regeneration)

  • 나성윤;권영혁;박준봉;허익;정종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1호
    • /
    • pp.77-89
    • /
    • 200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eproteinized bovine bone mineral soaked in inorganic polyphosphate on bone regeneration in the calvaria of rabbit in the procedure of guided bone regeneration with titanium reinforced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TR-ePTFE) membrane. The rabbi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Control group used TR-ePTFE membrane filled with de-proteinized bovine bone mineral, experimental group I used TR-ePTFE membrane and deproteinized bovine bone mineral soaked in 4% inorganic polyphosphate, experimental group II and III used TR-ePTFE membrane and deproteinized bovine bone mineral soaked in 8% or 16% inorganic poly-phosphate respectively. After decortication in the calvaria, GBR procedure was performed on 8 rabbits with only TR-ePTFE membrane or titanium reinforced ePTFE membrane filled with deproteinized bovine bone mineral soaked in inorganic polyphosphate.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t 4 weeks, and 8 weeks af-ter the surgery. Non-decalcified specimens were processed for histologic analysis, and new bone for-mation was assessed by histomorphometric as well as statical analysis. 1. Both control group and experirrental group dermnstrated increasing of new bone formation until 8weeks. 2. At 8 weeks, experimental group I and group II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control group in new bone formation. Especially experimental group II showed the most in-creasing of new bone formation. 3. The higher concentration of inorganic polyphosphate filled, the more volume of bone formation pro-moted, but experimental group III did not reveal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contol group. 4. Deproteinized bovine bone mineral did not resorbed at all until 8 week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organic polyphosphate has a promoting effect on bone regeneration. possibly by enhancing osteoconductivity of the carrier and by increasing osteoinductivity of the defected alveolar bone tissue, but not as we respect.

상악 구치부에 발생한 법랑모세포섬유종의 성공적인 보존적 수술 : 증례 보고 (Successful Conservative Surgical Treatment of Ameloblastic Fibroma in the Posterior Maxilla : A Case Report)

  • 이영은;안효정;이수언;김은철;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21-327
    • /
    • 2013
  • 법랑모세포섬유종은 드물게 나타나는 진성 혼합 치성 종양으로 10~20대의 어린 환자의 하악에서 호발하는 경향을 보인다. 법랑모세포섬유종의 치료는 종양부위의 제거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종양부의 제거는 보존적 방법과 광범위한 제거를 선택할 수 있으나 이는 아직 논쟁이 되는 사항이며 저자에 따라 주장하는 바가 다르다. 이는 법랑모세포섬유종의 재발률과 악성으로의 전이 가능성 때문이다. 본 증례는 상악 우측 유구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내원한 4세 환아에서 발생한 법랑모세포섬유종에 대하여 묘사하고 있다. 법랑모세포섬유종을 적출술과 소파술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 하였기에 이에 대한 문헌고찰 및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상악 전치부 견인 시 치아이동에 따른 전방 치조골개조량의 변화에 관한 연구 (THE LIMITATION OF ALVEOLAR BONE REMODELING DURING RETRACTION OF THE UPPER ANTERIOR TEETH)

  • 황충주;문정련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7-105
    • /
    • 2001
  • 교정 치료 시 많은 경우 상악 전치부를 상당량 견인하게 되며 이 때 치아의 이동량과 전방 피질골의 개조량이 동일하게 일어나지 않는다면 치주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악 전치가 후방 견인될 때 치아의 이동량과 피질골의 개조량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성장이 완료된 만 18세 이상의 성인 여자환자 56명을 대상으로 치료 전후의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을 계측하였다. 연구대상 56명은 전치의 후방견인 시 경사이동이 주로 일어난 환자(26명 )와 치체 이동이 동반된 환자(30명)로 나누었으며 치료 전후의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을 true horizontal plane 을 기준으로 하여 중첩하였다. Tip-Group(경사이동된 군)에서는 수평적인 bone remodeling/tooth movement ratio가 1:1.63, Torque-Group(치체 이동이 동반된 군)에서는 1:1.66이었다. 두 군 모두에서 치아의 이동량과 골의 개조량이 동일하지 않았기 때문에 경사 이동 시에는 치근첨이 구개측피질골판에서 멀어지고 순측피질골판에 가까워지며, 치체이동이 동반된 군에서는 치근이 순측피질골판에서는 멀어지고 구개측피질골판에 접근하게 된다. 따라서 상악의 전방 피질골의 두께가 매우 얇은 환자에서는 상악 전치의 후방견인량에 제한이 있게 되며 골격적 부조화가 심한 경우에는 악교정수술을 동반한 치료를 고려하고, 교정적 절충치료가 필요한 경우 술자는 그 치료한계를 명확히 인식해야할 것이다.

  • PDF

건강한 한국 성인에서 경구개와 상악결절 부위 저작점막의 두께 측정 (The Thickness Measurement of Masticatory Mucosa on the Hard Palate and Maxillary Tuberosity in Healthy Korean Adults)

  • 조익현;박정미;장문택;김형섭;김현철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1권3호
    • /
    • pp.641-649
    • /
    • 2001
  •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to assess the thickness of masticatory mucosa on the hard palate and tuberosity as a potential donor site for mucogingival surgery. Thickness measurement was performed in 30 dental college students who are periodontally healthy, with a recently developed, ultrasonic device(SDM). The mean age of study subjects was 23.7(range 21-29) years old and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18 males and 12 females. Eighteen standard measurement points were defined on the hard palate, located on 3 lines which ran at different distances parallel to the gingival margin. Six positions were designated on each of these 3 lines between the level of the canine and the second molar. On the tuberosity, 6 standard measurement points were defined, located on 2 lines running parallel to the gingival margin at different distances. Data were analyz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gender, between different positions, and between lines, by an analysis of varia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ucosa of the tuberosity was significantly thicker than that of the hard palate region. Gender did not influence the thickness of masticatory mucosa, either on the hard palate or the tuberosity. On the hard palate, mucosa thickness increased as the distance from the marginal gingiva increased. The mucosa over the palatal root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was significantly thinner than that at all other positions on the hard palate. Measurement error at palate was 0.25mm, at tuberosity 0.51mm. No difference in the thickness of masticatory mucosa on palate and tuberosity was found between men and women. On the hard palate, soft tissue thickness progressively increased in sites further from the gingival margin. Therefore, we may harvest more thicker graft on the tuberosity that has more masticatory mucosa thickness than hard palate, however the width may not be sufficient for us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