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od prevalence

검색결과 695건 처리시간 0.029초

대전지역의 입원환자에서 분리된 Carbapenem 내성 Pseudomonas aeruginosa의 분자역학조사(2008년에서 2014년까지) (Molecular Analysis of Carbapenem-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Isolated from Patients Hospitalized in Daejeon between 2008 and 2014 Years)

  • 조혜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06-413
    • /
    • 2018
  • 최근 P. aeruginosa의 carbapenem에 대한 내성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metallo-{\beta}-lactamases$ (MBLs)는 carbapenem의 고도 내성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편, Sequence type 235 (ST235)는 다제내성 클론으로써 국제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IMP-6와 VIM-2 유전자의 확산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 3월부터 2014년 6월까지, 대전지역의 3차 병원에서 분리된 carbapenem 내성 P. aeruginosa에서 MBL 유전자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역학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항균제 감수성 양상은 디스크 확산법으로 확인하였고, MBL 유전자의 분석을 위해 PCR과 염기서열분석을 수행하였다. 더불어, 역학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를 실시하였다. 110 균주의 carbapenem 내성 P. aeruginosa 중, 32균주(29.1%)가 MBL를 생성하였고, IMP-6 (29균주, 90.6%)가 주요하게 확인되었다. VIM-2는 3균주(9.4%)에서 확인되었으며, 모두 ST357로 확인되었다. IMP-6를 생성하는 P. aeruginosa는 모두 다제내성을 보였고, ST235로 확인되었다. ST235 (55균주, 50.0%)는 가장 높은 비율로 확인된 클론이며 7년 동안 지속적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다제내성 ST235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carbapenem의 과도한 사용을 제한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전략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아동과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의료이용 연구: 2015년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An Investigation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edical Use in Juvenile and Adolescents : Using Korea Health Panel Data (2015))

  • 문종훈;박경영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1-119
    • /
    • 2019
  •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tterns of medical use among juveniles and adolescents, including for chronic disease, in Korea. The study sought to do the following: (a)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chronic diseases account for medical expenditures, (b) investigate and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medical use, and (c) identify the differences in medical use between juveniles and adolescents. Methods : We used data from the 2015 Korean Health Panel and selected 12 variables.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vestigated included, growth period (juvenile, adolescents), gender, family income, national basic livelihood act status, disability registration, and degree of disability. There were five medical factors that were considered: emergency room use, hospitalization use, hospital outpatient use, chronic disease, and medical expenditure. Data were analyzed using stepwise multiple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ability in juveniles and adolescents was 31.1 % and 1 %, respectively. The factors affecting medical expenditures included hospitalization use, hospital outpatient use, family income, disability, gender, chronic disease, and emergency room use ($R^2=.160$, p<.05). For national basic livelihood act recipients, the probability of having chronic disease was about 1.6 times higher (OR=1.597, 95 % CI=1.092-2.335, p=.016), compared with non-national basic livelihood act recipients.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6.6 times more likely than those without disabilities to suffer from chronic disease (OR =6.571, 95 % CI=2.776-15.556, p<.001). Hospital outpatient user was 2.3 times higher than non-user (OR=2.260, 95 % CI=1.702-3.001, p<.001). Juveniles had a 1.7 times and 6.2 times higher likelihood of emergency rooms user (OR=1.654, 95 % CI=1.270-2.155, p<.001), and hospital outpatient user than adolescents (OR=6.208, 95 % CI=4.443-8.676, p<.001). Conclusion :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ealth care services for juveniles is needed to manage chronic diseases that have an effect on medical expenditures.

Campylobacter Enteritis: Clinical Features and Laboratory Findings in Children Treated at a Single Hospital

  • Jang, Won Tae;Jo, Na Hyun;Song, Mi Ok;Eun, Byung Wook;Ahn, Young Min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6권1호
    • /
    • pp.22-31
    • /
    • 2019
  • 목적: 캄필로박터 장염은 박테리아 장염의 흔한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소아에서의 캄필로박터 장염의 빈도와 임상 양상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단일 병원 소아청소년과 환자에서 경험한 캄필로박터 장염의 빈도와 임상적 특징을 파악하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2012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을지대학교 을지병원 소아청소년과에 급성 위장관염으로 방문한 18세 이하 소아환자로부터 대변 검체를 확보하였다. 그 중에서 배양 혹은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캄필로박터 장염으로 진단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총 123명의 환자가 캄필로박터 장염을 진단받았으며 환자의 나이 중앙값은 12 세(사분위수, 8-16세)이었다. 캄필로박터 장염은 일년 내내 발생했지만 주로 6월과 9월 사이에 86명(69.9%)으로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증상은 설사(97.6%), 발열(96.7%), 복통(94.3%), 구토(37.4%)와두통(34.1%) 순으로발생하였다. 복부컴퓨터단층촬영은 25.2%의사례에서시행되었다. 다른 치료군과 비교했을 때, azithromycin 3일 요법으로 치료하는 것이 더 짧은 입원 기간과 관련이 있었다 (P<0.05). 결론: 캄필로박터 장염은 청소년기와 여름철에 흔하다. 설사 증상을 보이기 전에 심한 복통과 열이 발생하여 병원에 내원하게 된다. 캄필로박터 장염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수반한다면 적절한 진단과 항생제 사용을 통해 장염의 이환시간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역사회 거주노인의 안구건조증 유병률과 관련요인 (Dry Eyes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the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 김수연;김민지;김유정;김진섭;김혜진;문승주;박서우;박연수;백승아;원종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331-339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안구건조증, 수면장애, 우울의 유병률과 안구건조증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노인의 안구건조, 수면장애, 우울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만 65세 이상 재가 노인으로, 일반적 특성과 우울, 수면의 질, 안구건조증 측정도구가 포함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149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노인의 안구건조증 발생은 연령(χ2=4.50, p=.034), 직업유무(χ2=7.14, p=.008), 만성질환(χ2=6.59, p=.010), 약물(χ2=4.86, p=.027), 눈수술 여부(χ2=6.02, p=.014), 수면장애(χ2=7.29, p=.007)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는 수면장애가 안구건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OR=2.45, 95% CI=1.17-5.13). 따라서, 노인의 안구건조증 관리 및 예방을 위해 수면장애를 유발하는 원인을 찾고 수면의 질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및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Risk assessment for norovirus foodborne illness by raw oyster (Ostreidae) consumption and economic burden in Korea

  • Yoo, Yoonjeong;Oh, Hyemin;Lee, Yewon;Sung, Miseon;Hwang, Jeongeun;Zhao, Ziwei;Park, Sunho;Choi, Changsun;Yoon, Yoh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5권5호
    • /
    • pp.287-297
    • /
    • 202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obability of norovirus foodborne illness by raw oyster consumption. One hundred fifty-six oyster samples were collected to examine the norovirus prevalence. The oyster samples were inoculated with murine norovirus and stored at 4℃-25℃. A plaque assay determined norovirus titers. The norovirus titers were fitted with the Baranyi model to calculate shoulder period (h) and death rate (Log PFU/g/h). These kinetic parameters were fitted to a polynomial model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Distribution temperature and time were surveyed, and consumption data were surveyed. A dose-response model was also searched through literature. The simulation model was prepared with these data in @RISK to estimate the probability of norovirus foodborne. One sample of 156 samples was norovirus positive. Thus, the initial contamination level was estimated by the Beta distribution (2, 156), and the level was -5.3 Log PFU/g. The developed predictive models showed that the norovirus titers decreased in oysters under the storage conditions simulated with the Uniform distribution (0.325, 1.643) for time and the Pert distribution (10, 18, 25) for temperature. Consumption ratio of raw oyster was 0.98%, and average consumption amount was 1.82 g, calculated by the Pert distribution [Pert {1.8200, 1.8200, 335.30, Truncate (0, 236.8)}]. 1F1 hypergeometric dose-response model [1 - (1 + 2.55 × 10-3 × dose)-0.086] was appropriate to evaluate dose-response. The simulation showed that the probability of norovirus foodborne illness by raw oyster consumption was 5.90 × 10-10 per person per day. The annual socioeconomic cost of consuming raw oysters contaminated with norovirus was not very high.

머신러닝을 활용한 식품소비에 따른 대사성 질환 분류 모델 (Metabolic Diseases Classification Models according to Food Consumption using Machine Learning)

  • 홍준호;이경희;이혜림;정환석;조완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54-360
    • /
    • 2022
  • 대사성 질환은 국내의 경우 유병률이 26%에 이르는 질환으로 복부비만, 고혈압, 공복혈당장애, 고중성지방, 낮은 HDL 콜레스테롤 5가지 상태 중 3가지를 동시에 가진 상태를 말한다.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의 소비자패널 데이터와 건강보험공단의 진료 데이터를 연계하여 식품 소비 특성을 통해 대사성 질환자군과 대조군으로 나누는 분류 모델을 생성하고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기존의 국내외에서 연구된 많은 대사성 질환과 식품 소비 특성 관련 연구는 특정 식품군이나 특정 성분의 질환 상관성 연구이며, 본 논문은 일반 식사에서 포함하는 모든 식품군을 고려한 로지스틱 회귀를 이용한 분류 모델, 의사결정나무 기반 분류 모델, XGBoost를 활용한 분류 모델을 생성하였다. 세 가지 모델 중 정확도가 높은 모델은 XGBoost 분류 모델이지만, 정확도가 0.7 미만으로 높지 않았다. 향후 연구로 환자군의 식품 소비 관찰 기간을 5년 이상으로 확대하고 섭취한 식품을 영양적 특성으로 변환한 후 대사성 질환 분류 모델 연구가 필요하다.

Impact of the Coronavirus Disease Pandemic on Patients with Head Injuries in South Korea

  • Nam, Taek Min;Kim, Do-Hyung;Jang, Ji Hwan;Kim, Young Zoon;Kim, Kyu Hong;Kim, Seung Hwa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5권2호
    • /
    • pp.269-275
    • /
    • 2022
  • Objective :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is aff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head injuri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patients with head injuries at a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in South Korea. Methods : From April 2019 to November 2020, 350 patients with head injuries were admitted to our hospital. The study period was divided into the pre-COVID-19 (n=169) and COVID-19 (n=181) eras (10 months each). Patients with severe head injuries requiring surgery (n=74) were categorized into those who underwent surgery (n=41) and those who refused surgery (n=33). Results : Head injuries in pediatric patients (<3 years) were more frequent in the COVID-19 era than in the pre-COVID-19 era (8.8% vs. 3.6%, p=0.048). More patients refused surgery in the COVID-19 era than in the pre-COVID-19 era (57.9% vs. 30.6%, p=0.021). Refusal of surgery was associated with old age (67.7±14.5 vs. 52.4±19.1, p<0.001), marital status (married, 84.8% vs. 61.0%, p=0.037), unemployment (42.4% vs. 68.3%, p=0.034), COVID-19 era (66.7% vs. 39.0%, p=0.021), and lower Glasgow coma scale scores (6.12±3.08 vs. 10.6±3.80, p<0.001).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refusal of surgery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old age (adjusted odds ratio [OR], 1.084; 95% confidence interval [CI], 1.030-1.140; p=0.002), COVID-19 era (adjusted OR, 6.869; 95% CI, 1.624-29.054; p=0.009), and lower Glasgow coma scale scores (adjusted OR, 0.694; 95% CI, 0.568-0.848; p<0.001). Conclusion : We observed an increased prevalence of head injuries in pediatric patients (<3 yea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dditionally, among patients with severe head injuries requiring surgery, more patients refused to undergo surger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일·가정양립의 최근 동향연구 : 국내 가족과 관련된 학회지를 중심으로 (A Study of Recent Trends in Work-Family Balance : Focusing on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Domestic Families)

  • 이예운;이승미;박경순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7권2호
    • /
    • pp.63-77
    • /
    • 2023
  • 본 연구는 일·가정양립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시기별 연구의 흐름과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일·가정양립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시기,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내용을 백분율로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0년 이후 논문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2016-2020년 기간의 논문 수(37편)가 본 연구 분석논문의 39.8%를 차지하고 있다. 둘째, 연구방법은 설문조사(43%), 2차 자료 분석(30.1%), 심층면접(14%), 문헌연구(7.5%) 등이 사용되어 양적방법의 활용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은 2000년대 초반에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을 다룬 연구(6.4%), 그리고 현상 파악을 위해 기혼여성(26.9%), 기혼 남성·여성(20.4%)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2016년 이후에는 결혼여부와 관계없는 근로자(16.1%)를 대상으로 한 연구, 미혼(5.4%)을 대상으로 한 연구, 특정직업군의 근로자(9.7%)를 대상으로 한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넷째, 연구내용은 내용의 중복값을 허용한 114편의 전체 분석대상 논문 중 정책연구 24편(21.0%), 현상분석 연구 90편(78.9%)으로 현상분석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left lip and palate surgery during COVID-19 pandemic in Indonesia: a 36-month experience at the Bandung Cleft Lip and Palate Center

  • Ali Sundoro;Dany Hilmanto;Hardisiswo Soedjana;Ronny Lesmana;Kevin Leonard Suryadinata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11-116
    • /
    • 2023
  • Background: In Indonesia, the prevalence of cleft lip and palate increased from 0.08% to 0.12% between 2013 and 2018. Children with cleft deformities typically undergo staged surgery. However,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has had negative impacts on the healthcare sector, including the suspension of elective procedures; this has raised concerns about the safety of performing surgery and the functional consequences of delaying treatment, the latter of which is associated with poor progno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characteristics of clefts treated by the Bandung Cleft Lip and Palate Center team during the pandemic period. Methods: This brief comparative study based on a chart review was conducted at the Bandung Cleft Lip and Palate Center. We statistically evaluated data from all patients treated between September 2018 and August 2021.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average number of each procedure by age before a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Results: Data from 18-month periods before (n= 460) and during (n= 423) the pandemic were compared. Cheiloplasty procedures were examined (pre-pandemic, n= 230; pandemic, n= 248); before the pandemic, 86.1%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treatment protocol (patient < 1 year old), and this proportion non-significantly dropped to 80.6% during the pandemic (p= 0.904). Palatoplasty procedures were also compared (pre-pandemic, n= 160; pandemic, n= 139); the treatment protocol (patient 0.5-2 years old) was followed for 65.5% of procedures before the pandemic and 75.5% during the pandemic (p= 0.509). Additionally, 70 (mean age, 7.94 years) revision and other procedures were performed before the pandemic and 36 (mean age, 8.52 years) during the pandemic. Conclusion: The cleft procedures performed at the Bandung Cleft Lip and Palate Center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재가 저소득계층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with Low Income)

  • 김용순;유문숙;박진희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313-1325
    • /
    • 2009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저소득계층 노인의 우울 수준을 파악하고 우울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수도권 A 지역 65세 이상의 남녀 재가 저소득계층 노인 306명을 대상으로 2007년 1월부터 9월까지 시행되었다. 측정변수는 생활만족도,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기능,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행위, 건강문제와 우울이었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다중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대상자의 우울점수는 6.37점으로 8점을 기준으로 우울군은 43.8%이었다. 둘째, 대상자의 학력수준, 건강보험 유형 및 경제수준에 따른 우울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대상자의 건강행위 및 건강상태에 따른 우울 점수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흡연 유무, 고혈압, 관절염 및 요실금 유무가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넷째, 생활만족도, 지각된 건강상태, 및 인지기능은 우울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섯째,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생활만족도, 인지기능, 건강보험유형이 유의한 설명변수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67.6%이었다. 이러한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노인 우울이 발생할 수 있는 고위험군을 파악하며,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중재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