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lla leaves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8초

유기물의 시비량 차이가 잎들깨의 생장특성 및 수량 생산효과 (Effect of Fertilizer Level of Organic Matter on Growth and Yield in Perilla)

  • 하상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81-488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some characteristics in growth of perilla by fertilization level organic matter. Corn stalk, acorn and chestnut were used as organic fertilizer in this study. In the height of perilla, chestnut fertilizer with 880kg/10a that R2 is 0.9996 showed the height level, and followed by acorn and corn stalk in order. Number of the harvested leaves was the highest in acorn among the three organic fertilizer by chestnut and corn stalk in order. However, number of the harvested leaves continuously was the highest in chestnut. Weight of a leaf was more effective at three kinds of organic fertilizer than control. There were no difference in the rate of dried leaf weight according to kinds of organic fertilizer. On the other hand, the rate of dried leaf weight by growth period was different.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dried leaf in 30days or 110days. Diameter of perilla stem at 30cm above the ground according to kinds and fertilizer level of organic fertilizer was surveyed.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detected in this study.

  • PDF

수종 잎식품 건조물의 급이가 고Cholesterol 혈종 흰쥐의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ry Edible Leaves Feeding on Serum Lipids of Hypercholesterolemic Rats)

  • 강정옥;김경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02-509
    • /
    • 1995
  • In other to investigate the hypolipidemic effect of dry edible leaves on serum lipids, four kinds of powdered leaves(persimmom, mulberry, perilla, and soy bean) were added to experimental diets at the levels of 5%(w/w). The diets were fed to 30 male Sprague-Dawley rats, aged 4 weeks and weighing 60$\pm$5g, for 3 weeks. Food intake was the largest in Group 1(control), with 5% of cellulose powder, while food efficiency was the highest in Group 2(persimmon). Total cholesterol level in serum was lower in Group 5(soybean) and Group 4(perilla) than the other groups. In comparison with Group 1, HDL-cholesterol level was very high in Group 4 and atherogenic index was low in Groups 4 and 5. Free cholesterol level was the highest in Group 2, and was the lowest in Group 1. Both LDL and LDL-cholesterol levels were the lowest in Group 1, while they were very high in Groups 2 and 3(mulberry). Triglyceride level was the lowest in Group 4, and the highest in Group 1. Except Group 3, all groups had lower phospholipid level than Group 1. Compared with Group 1, calcium level in serum was low in Groups 3, 4 and 5, magenesium level was low in Groups 2, 3 and 5, phosphate level was high in Group 4, and iron level was exceptionally low in Groups 4 and 5. In conclusion, Group 4(perilla) and Group 5 (soybean) showed a favorable effect in atherogenic index and serum levels of various lipids.

  • PDF

들깻잎 쿠키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rilla leaves(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Cookies)

  • 최해연;오소연;이양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21-53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들깻잎 분말을 0%, 0.5%, 1%, 3%, 5% 첨가한 쿠키를 제조하여 쿠키의 항산화활성을 입증하고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들깻잎 분말의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은 $197.33{\pm}14.49mg$ GAE/100 g이며, DPPH 유리 라디칼 소거능은 $100{\mu}g/mL$에서 $35.56{\pm}3.02%$로 나타나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여주었다. 제조된 쿠키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 들깻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활성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총 페놀 함량도 들깻잎 분말 첨가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이들의 상관관계는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총 페놀 함량이 양의 상관관계 r=0.8994(p<0.001)를 보여주어, 총 페놀 함량이 항산화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활성의 기능성과 함께 제품의 적합성 판단을 위해 반죽의 밀도와 pH, 쿠키의 수분함량, 퍼짐성, 손실률, 팽창률, 색도, 조직감, 관능검사 등의 품질평가를 실시한 결과 반죽의 밀도는 들깻잎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고, pH는 들깻잎 분말 첨가량 증가에 따라 증가되었다. 쿠키의 수분함량은 들깻잎 분말의 첨가량 증가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퍼짐성 지수는 첨가량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고, 손실률은 1%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팽창률은 들깻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p<0.05). 색도는 쿠키에 첨가된 들깻잎 분말과 쿠키를 굽는 과정에서 생기는 마이얄 반응과 카라멜 반응 등이 영향을 주어, 들깻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b값이 낮아지고, a값이 높아졌으며 경도는 들깻잎 분말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나지 않았다. 그리고 기호도 검사에서 외관, 향미, 맛,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를 평가한 결과 들깻잎 분말을 1%와 3% 첨가한 들깻잎 쿠키가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보였으며 들깻잎 특성 강도에서는 색과 들깻잎 향미, 후미에서 5% 첨가군이 가장 강하였고 느끼한 향미와 단맛은 대조군이 가장 강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고소한 맛에서는 1% 첨가군이, 부드러운 정도는 0.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p<0.05). 이러한 결과로 보아 쿠키에 들깻잎 분말을 첨가하는 것은 쿠키의 기호도를 증가시켜주고 동시에 총 페놀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높여주어 쿠키의 가치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며 쿠키제조 시 들깻잎 분말을 $1{\sim}3%$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들깻잎에서 동정된 Phytol과 Eicosatrienoic Acid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 (Anticancer Activity of Phytol and Eicosatrienoic Acid Identified from Perilla Leaves)

  • 박건영;이경임;이숙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1107-1112
    • /
    • 1999
  •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phytol and methyl 11,14,17 eicosatrienoic acid (methyl ETA, n 3, 20 : 3) separated from perilla leaves on the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Phytol inhibited significantly the growth of HT 29 human colon cancer cells, MG 63 osteosarcoma cells and AZ 521 gastric cancer cells. Although the activity of methyl ETA was lower than that of phytol, it was also observed to have the inhibitory effect on three human cancer cell lines. Furthermore, the DNA synthesis of the MG 63 osteosarcoma cells was markedly decreased by the addition of the phytol and methyl ETA. These results suggest that phytol and methyl ETA identified from the perilla leaves may play a role on the growth inhibition of the human cancer cells.

  • PDF

깻잎절임의 조리조건 확립 및 품질변화 (Establishment of the Preparation Method on Quality Changes of Seasoned Perilla Leaves during Storage)

  • 류은순;이기은;최동만;신동주;정순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98-604
    • /
    • 2007
  • 한국의 고유 식품인 깻잎은 위생적, 고품질 및 규격화된 가공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깻잎 절임의 관능적, 위생상 안전성이 향상된 최적조리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반응표면분석에서는 저장기간에 따른 성분 조성의 최적값에는 차이가 있으나 저장식품인 경우를 고려할 때 간장 $24{\sim}27g$, 물엿 24 g이 전반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깻잎의생균수는 세척전 8.08 cfu/g에서 세척 후 4.27 cfu/g 으로 약 50%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3% 염수에 침지 후 세척한 깻잎은 0.55 cfu/g으로 미생물이 대부분 제거되었다. 이는 가열 조리하는 방법의 밑반찬과는 달리 비열처리되는 반찬이므로 저장성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깻잎 절임의 저장 중 품질 변화에 있어서 배합조건에 대한 큰 차이는 볼 수 없었으나, 전처리 및 세척 방법에 따른 저장성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3% 염수에 1분간 침지 후 수돗물에 헹궈서 이용하는 것이 미생물 생육을 억제하고 저장성에도 가장 효과가 우수하였다.

들깨 품질평가 현황과 전망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Quality Evaluation in Perilla)

  • 이봉호;류수노;곽태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
    • /
    • pp.150-162
    • /
    • 2002
  • 1. 들깨는 용도면에서 볼 때 종실은 식용으로, 기름은 식용과 공업용, 깻잎은 채소로 또 깻잎의 정유성분은 향료로 이용될 수 있는 다용도 작물이다. 2. 종실의 단백질 함량은 18-28% 정도이고 단백질의 아미노산조성에 있어 글루타메이트(glutamate)함량은 계란보다 월등히 많다. 3. 종실의 기름 함량은 35~54%로서 기름중에는 리놀렌산(linolenic acid)이 60% 이상 함유되어 있으므로 생리적 기능성 식품으로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필수지방산의 공급원으로서도 중요하다. 4. 기름의 특성상 들기름은 고도의 불포화 지방산인 리놀렌산이 주성분이기 때문에 들기름을 짜서 상온에서 보관하게 되면 산패(oxidation)되기 쉬우므로 장기간 저장 이용하기 어렵다. 5. 깻잎은 비타민 C와 베타카로틴($\beta$-carotene) 함량이 많고 다른 미량성분도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므로 들깨잎은 생식용 채소로서의 이용가치가 높다. 6. 깻잎의 정유(essential oil) 성분은 페릴라알데하이드(perilla aldehyde)가 주성분이며 이는 식품이나 식품첨가제로 쓰일 때 광범위한 항균작용(antimicrobial activity)을 나타낸다. 7 들깨나 자소잎의 붉은 색소중에는 안토시아닌(anthocynins)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는 식품색소로 널리 쓰인다.

Botrytis cinerea에 의한 들깨 잿빛곰팡이병의 발생 (Occurrence of Gray Mold Rot of Perilla Caused by Botrytis cinerea)

  • 문병주;노성환;손영준;강형석;이재필;김병섭;정대수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67-472
    • /
    • 1998
  • Gray mold rot of perilla was epidemic at Kangdong, Pusan and Miryang, Kyungnam in 1997 and 1998. The incidence of this disease ranged form 21.3 to 68.1% at Kangdong area. Leaf necrosis initially appeared on the edge of the infected leaves, and it was developed to the center of the leaves forming typical V-shaped brown necrotic lesions. Under high moisture condition, abundant mycelia of the pathogen wa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esions. Infected stems became slender and were completely blighted up to the top of the plant. Two isolates, LVF12 and SD7, were isolated from diseased lesions showing typical symptoms, and the pathogenicity was tested using mycelial disks and conidial suspension inoculation. The developed symptoms were same as the naturally produced ones. These two pathogenic fungi were identified as Botrytis cinerea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using a microscope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gray mold or perilla in Korea.

  • PDF

들깻잎의 수확후 품질 및 성분변화 (Postharvest Changes in Quality and Biochemical Components of Perilla Leaves)

  • 홍영표;김성렬;최우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55-258
    • /
    • 1986
  • 들깻잎(Perilla ocimoides L.)의 수확후 저장온도에 따른 채소로서의 shelf-life와 저장기간중의 생화학적인 성분변화를 품질변화와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들깻잎은 실온$(20^{\circ}C)$에서 $2{\sim}3$일간, 저온$(3^{\circ}C)$에서는 6일간 저장이 가능하였고 비닐포장에 의하여 실온에서는 12일, 저온에서는 20일간 저장이 가능하였다. 신선한 들깨잎의 비타민 C 함량은 생체중으로 23mg%이었고 저장 4일째까지는 모든 처리구에서 16mg%이상이었으나 그 후에는 크게 감소하였으며 비닐포장에 의하여 저장 8일후에 실온에서 7mg%, 16일후에 저온에서 8mg% 유지되었다. 엽록소함량은 실온의 대조구에서는 저장중에 감소하였으나 저온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환원당 및 전당함량은 실온저장에서는 비닐포장에 의하여 낮아졌고 저온저장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처리간의 차이는 뚜렸하지 않았다. 단백질과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저장중에 서서히 증가하였고 비닐포장처리구보다 대조구에서 높은 단백질수준을 유지하였다. 핵산함량, peroxidase, polyphenoloxidase 활성의 변화 등을 측정하였고 들깻잎의 품질변화와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 PDF

들깨잎의 성분연구 -유리 Amino산의 분석- (Studies on the Constitutents of the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B_{RITTON}$ -Identification of Free Amino Acids-)

  • 김태희
    • 생약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173-175
    • /
    • 1971
  • By means of the two-dimensional thin-layer chromatography, free amino acid components of the leaves of $Perilla\;frutescens\;B_{RITTON}$ have been examined and twelve spots have been detected by the coloration with ninbydrin reagent. These were found to be aspartic acid, asparagine, alanine, phenylalanine, tryptophan, leucine, glutamic acid, proline, threonine, histidine, cystine, and glycine, tenta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