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fused adrenal gland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1초

Suppressive Impact of Ginsenoside-Rg2 on Catecholamine Secretion from the Rat Adrenal Medulla

  • Ha, Kang-Su;Kim, Ki-Hwan;Lim, Hyo-Jeong;Ki, Young-Jae;Koh, Young-Youp;Lim, Dong-Yo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7권2호
    • /
    • pp.86-98
    • /
    • 202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characterize the effect of ginsenoside-Rg2 (Rg2), one of panaxatriol saponins isolated from Korean ginseng root, on the release of catecholamines (CA) in the perfused model of the rat adrenal medulla, and also to establish its mechanism of action. Rg2 (3~30 µM), administered into an adrenal vein for 90 min, depressed acetylcholine (ACh)-induced CA secretion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Rg2 also time-dependently inhibited the CA secretion induced by 3-(m-chloro-phenyl-carbamoyl-oxy)-2-butynyltrimethyl ammonium chloride (McN-A-343), 1.1-dimethyl-4-phenyl piperazinium iodide (DMPP), and angiotensin II (Ang II). Also, during perfusion of Rg2, the CA secretion induced by high K+, veratridine, cyclopiazonic acid, methyl-1,4-dihydro-2,6-dimethyl-3-nitro-4-(2-trifluoro-methyl-phenyl)-pyridine-5-carboxylate (Bay-K-8644) depressed, respectively. In the simultaneous presence of Rg2 and Nω-nitro-L-arginine methyl ester hydrochloride ʟ-NAME), the CA secretion induced by ACh, Ang II, Bay-K-8644 and veratridine was restored nearly to the extent of their corresponding control level, respectively, compared to those of inhibitory effects of Rg2-treatment alone. Virtually, NO release in adrenal medulla following perfusion of Rg2 was significantly enhanced in comparison to the corresponding spontaneous release. Also, in the coexistence of Rg2 and fimasartan, ACh-induced CA secretion was markedly diminished compared to the inhibitory effect of fimasartan-treated alone. Collectively,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Rg2 suppressed the CA secretion induced by activation of cholinergic as well as angiotensinergic receptors from the perfused model of the rat adrenal gland. This Rg2-induced inhibitory effect seems to be exerted by reducing both influx of Na+ and Ca2+ through their ionic channels into the adrenomedullary cells as well as by suppressing Ca2+ release from the cytoplasmic calcium store, at least through the elevated NO release by activation of NO synthase, which is associated to the blockade of neuronal cholinergic and AT1-recepto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ngestion of Rg2 may be helpful to alleviate or prevent the cardiovascular diseases, via reduction of CA release in adrenal medulla and consequent decreased CA level in circulation.

Influence of Staurosporine on Catecholamine Release Evoked by Cholinergic Stimulation and Membrane Depolarization from the Rat Adrenal Gland

  • Lim, Dong-Yoon;Choi, Yeon-Soo;Yang, Won-Ho;Lee, Yong-Kyoon;Lim, Yong;Choi, Cheol-Hee;Yu, Byung-Sik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4권2호
    • /
    • pp.149-158
    • /
    • 2000
  • The present study was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taurosporine (STS) on secretion of catecholamines (CA) evoked by cholinergic stimulation and membrane depolarization from the isolated perfused rat adrenal gland and to establish its mechanism of action. The perfusion of STS $(3{\times}10^{-7}{\sim}3{\times}10^{-8}\;M)$ into an adrenal vein for 20 min produced a dose-dependent inhibition in CA secretion evoked by ACh $(5.32{\times}10^{-3}\;M),$ high $K^+\;(5.6{\times}10^{-2}\;M),$ DMPP $(10^{-4}\;M\;for\;2\;min),$ McN-A-343 $(10^{-4}\;M\;for\;2\;min),$ cyclopiazonic acid $(10^{-5}\;M\;for\;4\;min)$ and Bay-K-8644 $(10^{-5}\;M\;for\;4\;min).$ Also, in the presence of tamoxifen $(2{\times}10^{-6}\;M),$ which is known to be a protein kinase inhibitor, CA secretory responses evoked by ACh, high $K^+,$ DMPP, McN-A-343, Bay-K-8644 and cyclopiazonic acid were also significantly depressed. However, in adrenal glands preloaded with STS $(10^{-7}\;M)$ under the presence of phorbol-12, 13-dibutyrate $(10^{-7}\;M),$ a specific activator of protein kinases (for 20 min), the inhibitory effect of STS on CA secretory responses evoked by ACh, high $K^+,$ DMPP, McN-A-343, Bay-K-8644 and cyclopiazonic acid was greatly recovered to the extent of the control release as compared to those in the presence of STS onl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STS causes the marked inhibition of CA secretion evoked by stimulation of cholinergic (both nicotinic and muscarinic) receptors as well as by membrane depolarization, indicating strongly that this effect may be mediated by inhibiting influx of extracellular calcium and release in intracellular calcium in the rat adrenomedullary chromaffin cells through preventing activation of protein kinases. Furthermore, these findings also suggest that these STS-sensitive protein kinases play a modulatory role partly in regulating the rat adrenomedullary CA secretion.

  • PDF

Hydrocortisone이 적출 흰쥐 부신에서 Histamine의 카테콜아민 분비작용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ydrocortisone on Histamine-Evoked Catecholamine Secretion from the Isolated Rat Adrenal Medulla)

  • 임동윤;최형호;김종인;강정원;최철희;오형근;유호진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3-91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Hydrocortisone이 적출 흰쥐 관류 부신에서 histamine에 의한 카테콜아민 (CA) 분비작용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고자 시도하였으며,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Histamine (150ug)은 부신정맥내로 주입시 현저한 CA 분비작용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histamine의 CA 분비작용은 천연 글루코콜티코이드인 hydrocortisone (30uM)이나 합성 글루코콜티코이드인 dexamethasone (30uM)을 각각 20분간 전처치한 후에 현저히 증강되었다. Hydrocortisone에 의한 histamine의 CA 분비의 증강작용은 inositol trisphosphate 수용체 억제제인 heparin (3.56U/ml)으로 천처치시 뚜렷이 억제되었으나 adenylate cyclase의 강력한 활성화제인 forskolin (0.2uM)으로 전처치시 현저히 강화되었다. 이상과 같은 실험 결과를 종합한 결과, hydrocortisone (글루코콜티코이드)은 흰쥐 적출관류 부신에서 histamine의 CA 유리작용을 증강시킬 수 있으며, 이는 부신수질 크롬친화성 세포에서 inositol phosphate 뿐만 아니라 cyclic AMP의 축적작용과 관련성이 있는것으로 사료된다.

  • PDF

Forskolin의 흰쥐적출관류부신으로 부터 Ach, Excess $K^+$, DMPP, McN-A-343에 의한 Catecholamine 분비효과의 증강작용 (Forskolin-Induced Potentiation of Catecholamine Secretion Evoked By Ach, DMPP, McN-A-343 and Excess $K^+$ From the Rat Adrenal Gland)

  • 임동윤;김원식;최철희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67-181
    • /
    • 1991
  • Adenylate cyclase 효소를 활성화시키는 약물인 Forskolin의 흰쥐 적출관류 부신으로부터 Ach, excess $K^+$, McN-A-343 및 caffein에 의한 catecholamines (CA) 분비작용에 대한 영향을 검색하고, 그 기전을 규명코자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Forskolin (1.0 uM)은 흰쥐 부신적출정맥내로 1분동안 관류시킨 후 Ach(50 ug), excess $K^+$(56 mM), DMPP (100 uM) 및 caffeine (0.3 mM)에 의한 CA 분비작용을 현저히 증강시켰으나 McN-A-343에 의한 CA분비작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Forskolin 자체는 CA분비작용을 일으키지 못하였다. 또한 세포의 calcium을 제거한 상태에서도 위 약물에 의한 CA분비작용에 대하여 유의한 증강작용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McN-A-343의 CA작용에는 영향이 없었으나 위의 약물의 CA분비작용을 유의하게 강화시켰다. Cyclic AMP를 증가시키는 약물로 알려져 있는 dibutyryl cyclic AMP (DBcAMP)는 300 uM농도를 1분간 관류시 Ach, excess $K^+$ 및 DMPP의 CA 분비작용을 뚜렷하게 증강시켰으나 McN-A-343 및 caffeine의 CA분비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었다. DBcAMP 자체도 CA분비작용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또한 DBcAMP는 세포의 칼슘제거시에도 위의 약물에 의한 CA분비작용을 의의있게 증강시켰다. 그렇지만, McN-A-343의 CA분비작용은 증강시키지 못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보아 Forskolin는 adenylate cyclase를 활성화 시킴으로써 cyclic AMP 농도를 증가시켜 세포내로 칼슘유입을 증강시키며, 또한 세포내의 칼슘이동에도 관여함으로써 cholinergic nicotinic stimulation 및 depolarization에 의한 CA분비작용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 PDF

저산소증이 흰쥐 관류부신에서 DMPP, McN-A-343, Excess $K^+$ 및 Ach의 카테콜아민 분비작용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ypoxia on Catecholamine Secretion Evoked by DMPP, McN-A-343, Excess $K^+$ and ACh from The Perfused Rat Adrenal Gland)

  • 임동윤;허재봉;박유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3-74
    • /
    • 1995
  • 저산소 상태에서는 부신수질로부터 카테콜아민 (CA) 유리작용이 활성화되지만 반면에 소의 배양 chromaffin cell에서는 고통도의 $K^+$에 의한 CA 분비작용이 억제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적출 흰쥐 관류부신에서 콜린성 자극과 막탈분극에 의한 CA 분비작용에 대한 저산소증의 영향을 검색하고 그 작용기전을 규명코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위하여, 적출 흰쥐 관류부신을 이용, 저산소증이 니코틴($N_1$), 무스카린($M_1$) 수용체 흥분약, 막탈분극 약물, 칼슘채널 활성화 약물, 세포내 칼슘유리 약물 및 ACh에 의한 CA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저산소증은 95% 질소 및 5% 이산화탄소 혼합가스를 Krebs액에 주입하여 유발시켰으며, $3{\sim}4$시간동안 유지하였다. 저산소증 유발시, DMPP ($100{\mu}M$), McN-A-343 ($100{\mu}M$), ACh (5.32 mM), Bay-K-8644 ($10{\mu}M$) 및 high $K^+$ (56 mM)에 의한 CA 분비작용을 시간의존적으로 점차 유의성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cyclopiazonic acid ($10{\mu}M$)에 의한 CA 분비반응에는 하등의 영향을 일으키지 못하였다. 또한 저산소증 자체가 CA의 기초분비 작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같은 실험결과로 보아, 저산소증시 콜린성 자극 및 막탈분극에 의한 CA 분비 작용이 억제되며, 이러한 억제작용은 chromaffin cell내로 $Ca^{++}$ 유입을 직접적으로 억제시키는 결과에 기인되며, 세포내 칼슘저장고로부터 칼슘유리작용과는 관계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흰쥐 적출관류부신에서 리튬에 의한 카테콜아민 분비작용의 기전 (Mechanism of Catecholamine Secretion Evoked by Lithium from the Isolated Perfused Rat Adrenal Gland)

  • 임동윤;김철;오형근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57-371
    • /
    • 1996
  • 리튬(Lithium)은 임상에서 조울병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흰쥐 적출 관류부신 으로부터 catecholamine (CA) 분비에 대한 리튬의 작용을 검색 하고 그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상 Krebs-bicarbonate 용액내의 $Na^+$ (118.4 mM)을 리튬으로 대치하여 관류하였을때 CA 분비는 점차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30{\sim}60$분에서 최대 분비작용을 나타내었다. Li-Krebs액은 모든 실험에서 부신정맥을 통해서 2시간동안 관류하였다. Li-Krebs에 의한 CA 분비반응은 $Ca^{++}-free$ Krebs액으로 전처치한 상태에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이와같은 Li-Krebs 액에 의한 CA 분비작용은 nicardipine ($10^{-6}$ M), TMB-8 ($10^{-5}$ M) 및 chlorisondamine ($10^{-6}$ M) 등을 20 분간 각각 전처치 하였을때 현저히 감약되었으나 pirenzepine ($2{\times}10^{-6}$ M)에 의해서는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Na^+$ pump 억제제인 ouabain ($10^{-4}$ M)으로 20 분간 전처치한 후 Li-Krebs에 의한 CA 유리작용은 뚜렷이 억제되었다. 더우기 tetrodotoxin ($5{\times}10^{-7}$ M)으로 20 분간 전처치 하였을때도 Li-Krebs에 의한 CA 분비반응은 현저히 감약되었다. 이상과 같은 실험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리튬은 흰쥐 부신수질의 크롬 친화성 세포내에 측적됨으로써 칼슘의존성의 CA 분비작용을 일으키며, 이러한 분비작용은 i) 크롬친화성 세포의 탈분극과 이어서 voltage-sensitive 칼슘채널의 개방과 ii) $[Li]_i-[Ca]_0$ counter-transport system의 활성화를 통한 두가지 작용기전에 의해서 매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