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formance based standard

검색결과 2,670건 처리시간 0.045초

이음된 초고강도 강섬유보강콘크리트 보의 휨강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lexural Strength of Lap Spliced Ultra High Strength Fiber Reinforced Concrete Beams)

  • 배백일;손동희;최현기;정형석;최창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76-8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이음된 초고강도 강섬유보강콘크리트 부재의 휨거동을 검토하고, 현행설계기준의 초고강도 강섬유보강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 설계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총 6개의 보에 대한 가력 실험을 수행하였다. 주요 변수는 섬유의 혼입여부와 이음 길이로 설정하였다. 혼입된 섬유는 강섬유로 2%의 부피비로 결정하였으며, 이음길이는 8db와 16db로 결정하여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실험 결과 섬유로 보강되지 않은 실험체들은 이음부에서 급격한 하중지지능력을 상실하고 철근의 항복을 경험하지 못하였으나, 섬유로 보강된 경우 16db의 이음길이가 확보되면 주인장철근의 항복을 경험할 수 있으며, 적절한 휨강도를 발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현행설계기준 및 초고강도콘크리트 구조설계지침의 이음길이 산정식들을 검토한 결과 모두 보수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상방송용 스피커의 음향 특성 비교 (Acoustic Characteristic of Emergency Broadcasting Speakers)

  • 정정호;서보열;박계원;신이철;홍원화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1호
    • /
    • pp.130-13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비상방송용 스피커 13종을 대상으로 UL 2043 화재 시험 조건에서 광대역 음원을 발생시켜 13종 비상방송용 스피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1 W 스피커의 특성을 15 W 출력 스피커와 비교하면 20 dB 이상 낮은 주파수 대역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oudness 분석 결과 1 W와 10 W 이상 출력의 스피커의 음향 크기를 비교하면 사람이 2배 이상의 크기로 차이를 느끼게 되는 것이다. Articulation index (room)는 Loudness와는 반대로 스피커의 출력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스피커의 출력이 커지면 발생되는 음량은 증가하지만 명료하게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음향의 명료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다양한 공간에 충분하고 명료한 음향이 발생되도록 비상방송용 스피커를 개선과 비상방송용 스피커의 음향 특성을 합리적이고 정량적으로 측정 평가할 수 있는 표준 기반과 성능 평가 기준 설정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공간의 비상방송음 명료도 기준 등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생 소자를 이용한 3중 대역 모노폴 안테나 SAR 저감 설계 (Design of Triple-Band Planar Monopole Antenna Having a Parasitic Element with Low SAR Using a Reflector)

  • 봉한울;;정민주;이승엽;김남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30권3호
    • /
    • pp.181-189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대역의 2.4 GHz, 5.8 GHz와 5G 대역의 3.5 GHz에서 사용가능한 3중 대역 모노폴 안테나를 설계하였으며, 제안된 안테나의 크기는 $100{\times}75{\times}1.6mm^3$로 기생소자를 사용하여 3중 대역 모노폴 안테나를 구현하였다. 또한 제안된 안테나로부터 ${\lambda}/4$ 떨어진 거리에 반사판을 설치함으로써 각 동작주파수들에서의 이득 향상과 SAR(Specific Absorption Rate)을 저감시켰다. 제작한 안테나를 측정한 결과, 반사 계수 -10 dB 이하 기준으로 540 MHz(2.02~2.56 GHz), 390 MHz(3.39~3.78 GHz) 그리고 1,210 MHz(5.56~6.77 GHz)에 해당하는 대역폭을 얻었다. 국제기준에서 요구하는 SAR 기준대비 2.4 GHz에서는 85.12 % 감소했고, 3.5 GHz에서는 50.06 %, 5.8 GHz에서는 36.87 %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제안된 안테나는 국제기준 SAR을 만족하며, WLAN과 5G 대역의 통신에서 사용할 수 있다.

세포병리사의 업무량에 따른 적정인력 산정을 위한 업무실태 조사 연구 (Working Conditions that Impact the Workload of Cytotechnologists: A Study Calculating the Actual Man Power Required)

  • 지수일;안용호;하화정;강정은;원준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74-187
    • /
    • 2021
  • 세포병리사는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의 상태를 분석하여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을 진단하는 1차 선별자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세포병리사의 고용 형태, 업무량 등이 제대로 파악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세포병리사의 효율적인 직무수행의 범위, 의료기관의 종별에 따른 세포병리사의 업무량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병리과질관리 인증평가항목의 기준 설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전국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세포병리사 자격증 소지자를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45명의 세포병리사가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그 중 1차 선별검사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인원은 178명(72.7%)으로 조사되었다. 각 기관별 1일 기준, 세포병리사 1인의 평균 1차 선별검사 건수는 대학병원그룹이 75.4장(16.8장/시간), 병원그룹이 72.4장(18.6장/시간) 그리고 76명이 응답한 전문수탁 기관은 231장(32.6장/시간)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세포 선별검사 업무에 대한 기준지침을 수립하여 대한세포병리학회 등과 협의체를 구축하고, 현안 사항에 대한 해결방법을 모색하여 국민건강 보건 향상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OC Sensor PLEDIA를 이용한 LX Detergent Cleaning Solution과 OC Detergent Cleaning Solution의 동등성 평가 (Analysis of a Comparability Test between LX Detergent Cleaning Solution and OC Detergent Cleaning Solution Using OC Sensor PLEDIA)

  • 차경재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9-31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기능적, 정량적 분석을 바탕으로 수입 LX 세정액(LX-CS)과 자가제조 OC 세정액(OC-CS)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기능적 분석은 ADC값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정량적 분석을 위해 CLSI 지침에 따라 정도 관리 물질을 이용하여 정밀도, 직선성 및 오염률을 평가하였다. OC-Sensor PLEDIA(Eiken Chemical, Japan)를 이용한 모든 cuvette의 ADC값은 허용기준을 만족하였다. 정량적 분석의 경우 두 제품의 정밀도는 5.0% 미만이었고, 오염율은 ±1.00% 이하였다. 직선성 기울기와 r2 값은 LX-CS에서 각각 1.0017와 0.9982였으며, OC-CS에서 0.9924와 0.9996이였다. 상관계수(r)는 0.9997이였다. 또한 40개의 가변을 이용한 % difference는 10% 미만, P값은 0.1 미만이였다. 각 각 차이: 표준 편차 비(D: ±1 SD 비)에 기초한 두 제품 모두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두 제품의 기능적, 정량적 분석을 비교한 결과 유사하였다. 향후 자가제조한 OC세정액은 수입 LX세정액보다 훨씬 더 안정적이고 빠른 공급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데이터 증강 기반 회귀분석을 이용한 N치 예측 (A Prediction of N-value Using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Data Augmentation)

  • 김광명;박형준;이재범;박찬진
    • 지질공학
    • /
    • 제32권2호
    • /
    • pp.221-239
    • /
    • 2022
  • 플랜트, 토목 및 건축 사업에서 말뚝 설계 시 어려움을 겪는 주된 요인은 지반 특성의 불확실성이다. 특히 표준관입시험을 통해 구한 N치가 설계 시 주요 입력값이나 짧은 입찰기간과 광범위한 구역에서 다수의 현장시험을 실시하는 것은 실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AI)을 가지고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N치를 예측하는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최소한의 시추자료를 학습시킨 후 표준관입시험을 실시하지 못한 곳에서 N치를 예측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I의 학습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빅 데이터가 중요하며, 금회 연구 시 부족한 시추자료를 빅 데이터화 하는데 '원형증강법'을 적용하여 시추반경 2 m까지 가상 N치를 생성시키는 작업을 선행하였다. AI 모델 중 인공신경망, 의사결정 나무, 오토 머신러닝을 각각 적용하였으며 이 중 최적의 모델을 선택하였다. 최적의 모델을 선택하는 방법은 세 가지의 예측된 AI 모델 중 최소 오차값을 가지는 것이다. 이를 위해 폴란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에서 수행한 6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표준관입시험의 실측N치와 AI의 예측N치를 비교하여 타당성 여부를 연구하였고, 연구 결과 AI 예측값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AI 예측값을 가지고 미시추 구간에서 지반특성을 파악 할 수 있었으며 3차원 N치 분포도를 사용하면 최적의 구조물 배치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밀폐공간 내 감염병 위험도 모니터링을 위한 열화상 온도 스크리닝 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Thermal Imaging Temperature Screening System for Monitoring the Risk of Infectious Diseases in Enclosed Indoor Spaces)

  • 정재영;김유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2권2호
    • /
    • pp.85-92
    • /
    • 2023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와 같은 호흡기 감염병은 주로 밀집/밀폐/밀접 공간인 실내에서 일어난다. 호흡기 감염병 이상징후의 존재 여부는 발열, 기침, 재채기 및 호흡곤란 등의 초기 증상을 통해 판단되고 있으며, 이러한 초기 증상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열화상 온도 스크리닝 시스템은 개인의 피부 온도 상승의 징후가 있는지 초기에 선별하는 빠르고 쉬운 비접촉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지만, 측정 타겟, 주변 온도 등의 측정 환경과 피 측정대상과의 측정 거리에 따른 오차로 인해 정확한 온도측정이 어렵다. 그리고 국제표준 IEC 80601-2-59 에서는 내안각(Inner Canthus) 인접한 영역에 대한 안면 열화상 촬영을 권고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시광 카메라 모듈과 열화상 카메라 모듈에 대해서 이미지 일치화 보정을 수행하였으며, 흑체(Blackbody)를 이용해 측정 환경에 대한 열화상 카메라 모듈 온도를 보정하였다. 표준에서 권고하는 측정 타겟을 인식하기 위해 딥러닝 기반 객체 인식 알고리즘과 내안각 인식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100명의 실험자군에 대한 데이터셋을 적용하여 인식 모델 정확도를 도출하였다. 또한 라이다 모듈을 이용한 객체 거리 측정과 선형회귀 보정 모듈을 통해 측정 거리에 따른 오차를 보정하였다. 제안한 모델의 성능 측정을 위해 모터 스테이지, 열화상 온도 스크리닝 시스템, 흑체로 구성된 실험환경을 구축하였으며, 1m에서 3.5m 사이 가변 거리에 따른 온도측정 결과 0.28℃ 이내의 오차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Profile and Outcome of Management of Brain Tumours in Kaduna Northwestern Nigeria

  • Danjuma, Sale;Dauda, Happy Amos;Kene, Aghadi Ifeanyi;Akau, Kache Stephen;Jinjiri, Ismail Nasiru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5권5호
    • /
    • pp.751-757
    • /
    • 2022
  • Objective : Tumours of the brain are a rare occurrence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2% of all neoplasms in adults. Few studies have been done in Nigeria on the profile of brain tumou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rofile of brain tumours in general and determine the change in Kanofsky Performance Score (KPS) after treatment. Methods : This is a prospective hospital-based study in Kaduna. All consecutive patients over 18 years of age with diagnosis of brain tumours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19 were included in the study. Demographic and clinical data was collected using a proforma during the study. Patients who received treatment were followed up for 12 months. The primary outcome data was the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as measured by KPS at the point of first contact and at 1-month after treatment and at 12-month follow up. Data obtained was analysed with SPSS version 25.0 for Windows. Descriptive statistics was done to determine the profile. Paired t-test at 95% confidence interval was done to check for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ean KPS. Results : A total of 39 consecutive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re was a slight male preponderance with a M : F of 1.17 : 1. Meningioma and metastasis were more common in females while gliomas and pituitary tumours were more common in males.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49.8 years and standard deviation of 11.8 years. Pituitary tumours were the most common tumours. The most common location of the tumour was frontal lobe followed by the pituitary gland. The mean duration of symptoms before neurosurgical consultation was 38 weeks. The most common presenting symptoms of patient with brain tumour was headache. The quality of life improve compare to the baseline in 81% of patient at discharge and at 1 year follow up. The overall mortality rate was 25.6%. Conclusion : The most common brain tumour in our study is pituitary tumour. Most patients present late. The most common presenting symptoms is headache. There is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KPS of patients following treatment. The overall mortality rate at 1-year post treatment is 25.6%.

태양객체 정보 및 태양광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의 자외선 지수를 산출하는 DNN 모델 (DNN Model for Calculation of UV Index at The Location of User Using Solar Object Information and Sunlight Characteristics)

  • 가덕현;오승택;임재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29-35
    • /
    • 2022
  • 자외선은 노출 정도에 따라 인체에 유익 또는 유해한 영향을 미치므로 개인별 적정 노출을 위해서는 정확한 자외선(UV) 정보가 필요하다. 국내의 경우 기상청에서 생활기상정보의 한 요소로 자외선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지역별 자외선 지수(UVI, Ultraviolet Index)로 사용자 위치의 정확한 UVI를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정확한 UVI의 취득을 위해 직접 계측기를 운용하지만 비용이나 편의성에 문제가 있고, 태양의 복사량과 운량 등 주변 환경요소를 통해 자외선 양을 추정하는 연구도 소개되었으나 개인별 서비스 방법을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각 개인별 위치에서의 정확한 UVI 제공을 위한 태양객체 정보와 태양광 특성을 이용한 UVI 산출 딥러닝 모델을 제안한다. 기 수집한 하늘이미지 및 태양광 특성을 분석하여 태양의 위치 및 크기, 조도 등 UVI와 상관도가 높은 요소들을 선정한 후 DNN 모델을 위한 데이터 셋을 구성한다. 이후 하늘이미지로부터 Mask R-CNN을 통해 추출한 태양객체 정보와 태양광 특성을 입력하여 UVI를 산출하는 DNN 모델을 구현한다. 국내 UVI 권고기준을 고려, UVI 8이상과 미만인 날에 대한 성능평가에서는 기준장비 대비 MAE 0.26의 범위 내 정확한 UVI의 산출이 가능하였다.

RC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폴리머 시멘트 복합체의 접착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hesion Properties of Polymer-Cement Composites for Repairing Cracks in RC Structures)

  • 조영국;홍대원;권우찬;김완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3-3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RC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폴리머 시멘트 복합체의 접착성능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폴리머 시멘트 복합체는 시멘트, 폴리머와 실리카흄으로 제조하였으며, 점도가 700mPa·s 이하가 되도록 물시멘트비와 AE 감수제의 혼입량을 조정하였다. 연구결과, Type-A 인장접착강도는 폴리머계 마감 재료의 접착기준인 1.0MPa을 상회하였으며, 폴리머 종류에 따라 SAE, EVA, SBR 순으로 높은 인장접착강도를 나타냈다. 또한 Type-B의 인장접착강도는 Type-A에 비해 최대 1/4.5의 낮은 강도를 나타냈으나 실리카흄의 혼입에 따른 상당한 강도개선 효과를 보였다. RC 구조물의 균열 보수에 필요한 점도와 접착성능을 위해 EVA와 SAE의 폴리머 시멘트비 80%~100% 범위에서 일정량의 실리카 흄을 혼입하는 조건을 최적배합설계로 제안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