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formance Indicators of Library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2초

건설기술정보의 활용 빈도 만족도에 대한 기대 목표치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tting Expected Targets for Satisfaction with the Frequency of Use of Construction Technology Information)

  • 정성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251-268
    • /
    • 2024
  • 최근에 「전자정부 성과관리 지침」이 시행되면서 정보시스템의 성과 지표 설정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CODIL과 같이 대국민을 대상으로 정보서비스를 하는 시스템은 성과 지표 설정이 쉽지 않다. 본 연구는 객관적인 근거에 준하여 CODIL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성과의 기대 목표치를 설정하기 위해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적용하는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2015년부터 2023년까지 실시한 설문조사 내용 중 CODIL에서 제공하는 건설기술정보의 활용 빈도에 관한 이용자 만족도의 통계적 특성을 입력변수로 지정하였고 2024년부터 2026년까지의 미래의 기대 목표치와 신뢰구간을 결과변수로 지정하였다. 5개의 시뮬레이션 대안과 대안별로 1,000회의 난수를 발생하여 기대 목표치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측정한 기대 목표치를 해석하였고, 선행연구에서 측정한 시계열 회귀분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비록 선행연구처럼 연차 간에 연관관계를 고려하는 시계열 회귀분석을 기반으로 기대 목표치를 예측하지는 못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5,000회의 입력변수를 기초로 하여 기대 목표치를 예측하였기 때문에 선행연구에 비해 좀 더 정확한 분석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측정모형과 지표 개발 (Development of Service Quality Measurement Model and Index for Digital Libraries)

  • 황재영;이응봉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21-147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표준화된 서비스 품질 측정모형과 지표를 개발하고 검증하는 것이다. 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측정모형과 지표를 개발하기위해 문헌연구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디지털도서관 이용자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연구결과 4개의 차원, 7개의 구성요인, 30개의 측정항목으로 이루어지는 DL-SQI 모형이 개발되었으며 신뢰성 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 PDF

연구업적 평가에 관한 대학 교수 인식 연구 (A Study on Faculty Perception of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 김용환;강지혜;이종욱;노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09-33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국공립 및 사립, 전문대학의 교수들 2,618명을 대상으로 교수연구업적평가와 관련하여 교수들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는 두 가지 부분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로 하나는 현재 각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교수연구업적평가에 대한 인식조사이며, 다른 하나는 정량 위주의 업적평가 방식의 대안으로 여겨지는 정성적 평가 지표의 도입에 대한 인식조사이다. 설문 결과, 교수 연구업적평가에서 정량 중심 평가는 여전히 대다수의 대학에서 크게 활용되며, 계열 또는 분야에 적합하지 않은 연구업적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평가 기간의 확대가 필요를 요구하고, 정량 위주의 업적평가 방식은 학술 커뮤니티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며, 연구업적평가에 대한 개선의 필요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성적 평가 지표의 도입과 관련하여 교수들은 연구업적평가에 정성적 평가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으며, 정성적 평가 도입과 관련하여 부정적인 의견 또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수연구업적 평가법의 계량적 분석: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수연구업적을 중심으로 (A Bibliometric Analysis of Faculty Research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s)

  • 이종욱;양기덕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19-140
    • /
    • 2011
  • 교수연구업적을 보다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연구의 정량 및 정성적 측면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양적 측면을 보여주는 논문 수와 질적 측면을 반영하는 피인용 수에 의한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수의 연구업적 평가순위를 국내 대학에서 사용되는 연구업적 평가규정을 적용한 순위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논문 수에 의한 교수별 순위가 피인용 수에 의한 순위와 차이가 있으며, 대학별 교수 업적평가는 피인용 수보다는 논문 수에 의한 평가와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별 상이한 논문 배점기준은 교수업적평가 결과에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의 양적 및 질적 수준을 보다 잘 반영하는 계량서지학적 지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 인식도에 관한 연구 (Degrees of Understanding Regarding Information Literacy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 이현실;최상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1-11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인식도를 파악하기 위해 ACRL의 기준을 근간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성별, 학교별, 학년별, 전공별과 ACRL에서 제시하는 단계간의 인식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각 단계내의 성취지침들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가 많았다. ‘요구정보의 특성과 범위 파악’ 단계에서는 <요구정보의 정의>에 관한 지침이 가장 높게 인식되었고 <정보자원의 유형 확인>이 가장 낮게 인식되었으며, '정보의 효과적 접근' 에서는 <효과적인 검색전략의 구현>이 가장 높게 인식되었다. '정보의 평가와 통합'에서는 <정보와 자원의 평가 기준 적용>이 가장 높았고 <주제영역 전문가, 실무자와의 상의를 통한 정보의 이해와 해석>이 가장 낮았으며 '정보의 이용' 단계에서는 <타인에게 효과적으로 성과 전달>과 <특정작업 계획에 이전의 정보와 새로운 정보 적용>가 높게 인식되고 있었다. '정보윤리'에서는 각 지침들간의 인식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논문에 세부항목에 대한 중요 인식도를 함께 제시하였다.

  • PDF

대학도서관에서 업무지능과 대시보드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Business Intelligence and Dashboard in Academic Libraries)

  • 구중억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63-283
    • /
    • 2011
  • 업무지능(Business Intelligence)은 이해관계자들이 경영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활용되고 있다. 대시 보드(Dashboard)는 데이터, 정보 또는 지식을 한 눈에 이해할 수 있도록 가시화해 줌으로써 업무지능을 지원해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ARL 소속 대학도서관의 웹사이트에서 도서관의 성과와 가치에 관한 정보공개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국외 대학도서관의 웹사이트에서 업무지능과 대시보드의 적용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대학도서관의 웹사이트에서 업무지능과 대시보드 정보시스템의 구축 및 활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대학도서관이 웹사이트를 통해 이해관계자들에게 도서관의 성과와 가치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의사소통의 도구로서 업무지능과 대시보드를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대학도서관 정책 성과에 대한 현장 인식 조사 (Field Perception Analysis on Policy Outcomes of Academic Libraries)

  • 이종욱;강우진;정영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15-43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제2차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2019~2023)의 완료 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기존 종합계획의 추진과제에 대한 이행 수준을 대학도서관 주요 통계와 도서관 직원의 인식을 토대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5년간 대학도서관 주요 통계 지표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도서관 직원을 대상으로 제2차 종합계획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17개 세부과제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을 설문 조사하였다. 총 369명의 설문 응답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다수 응답자는 제2차 종합계획에 대해 잘 알고 있었으며, 도서관 발전계획이나 시행계획 수립에 빈번하게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세부과제 17개에 대한 IPA 분석 결과, 대학의 유형과 상관없이 시설 개선이나 교수-학습 지원, 학술자원 접근성 확대는 꾸준히 유지되어야 하며, 도서관 정책을 개발하고 인력과 재정을 확충하기 위한 노력이 강화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4년제 대학은 전문대학에 비해 해외 학술자원의 접근성 확대를 특히 중요시하고 있었으며, 전문대학은 4년제 대학에 비해 기초소양 함양 프로그램이나 포용적 서비스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IPA 대각선 모형 적용 결과 모든 세부과제에 대한 수행도가 중요도에 비해 낮은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는 추후 종합계획 수립 시 실효성 제고를 위한 전략적 모색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학술 활동 건전성 제고를 위한 연구업적평가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s of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for Enhancing the Soundness of Academic Activities)

  • 노영희;강지혜;김용환;양정모;이종욱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93-114
    • /
    • 2022
  • 본 연구는 올바른 연구문화 정착지원을 위한 대학의 연구업적평가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연구업적평가와 관련한 사례를 조사·분석하고, 대학 교원과 연구업적평가 관계자를 대상으로 각각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업적평가 원칙 수립 방향, 연구업적물 유형의 범주화 방안, 연구업적평가 방식과 절차, 필요 서류 등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정량평가의 한계점을 보완하면서 평가의 타당성과 신뢰성,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업적평가 시 고려해야 하는 8가지 원칙을 제시하였다. 둘째, 연구업적물의 주요 유형을 학술논문, 저서, 학술대회 발표로 범주화하였다. 셋째, 연구업적평가 방식으로는 정량 및 정성, 복수의 계량지표를 활용하는 하이브리드 평가를 제안하였다. 넷째, 연구업적평가의 절차로 총 11단계(필수 7단계)를 제시하였다. 다섯째, 연구업적 평가를 위한 주요 서류로 출판물, 평가서, 위원장 보고서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업적평가 개선방안은 학문 및 연구 분야와 대학의 특성을 고려하여 유연하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국내외 해양관련 연구기관 및 대학의 SCI 학술연구능력 분석 연구 (An Scholastic Analysis on the SCI Publication Results and Research Capability of Major Academic and Research Institute in Oceanography)

  • 한종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09-328
    • /
    • 2005
  • 본 연구는 해양과학기술분야 전문연구기관의 학술연구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내외 해양관련 연구기관 및 대학의 SCI 연구실적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조사연구기관은 국내의 한국해양연구원과 서울대, 인하대, 부경대, 충남대, 부산대의 해양관련학과, 그리고 해외의 WHOI, SIO, IFREMER, SOC, JAMSTEC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기간은 2002년부터 2004년까지의 3개년으로 하였으며, 해당기간 동안의 SCI 연구실적과 피인용빈도, 상위 저자그룹, 상위 학술지그룹. 상위 투고분야 등으로 조사분석이 이루어졌다. 이로부터 국내 해양전문연구기관의 선진 해외연구기관 벤치마킹을 통한 향후 목표설정의 기준으로 삼고자 한다. 또한 해양전문 정보센터의 핵심 학술지 입수 관리 및 정보서비스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이다.

  • PDF

계량서지적 기법을 활용한 LED 핵심 주제영역의 연구 동향 분석 (A Bibliometric Analysis on LED Research)

  • 이재윤;김판준;강대신;김희정;유소영;이우형
    • 정보관리연구
    • /
    • 제42권3호
    • /
    • pp.1-26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계량서지적 기법으로 LED 제조기술 분야의 핵심 연구주체와 동향을 파악하여 관련 연구개발 전략 수립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최근 10년의 논문 데이터를 대상으로 핵심 소주제별 동향 및 핵심 연구자와 연구기관, 주요 국가별 연구경향을 분석하고, 주제 및 기관 차원의 전략 다이어그램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서 효과적인 전략 다이어그램을 도출할 수 있는 개선된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는 일부 LED 생산 기술 부분에서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차세대 LED 제조 기술과 같은 미래 유망 영역에 대한 연구개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기관 차원에서는 주요 대학 및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LED 분야에 대한 연구의 저변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LED 분야에 대한 실제적인 기술 개발은 주로 대기업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LED 분야에 대한 계열화된 기술과 유망 영역의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세부 영역별 관련 전문기업에 대한 지원 및 육성과 함께, 공동연구 및 산학협력 등 기관 간 협력활동을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