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5초

체외순환을 사용하지 않은 관상동맥우회술-1례보고-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 ng without Extracorporeal Ci rculation One Case Report)

  • 임창영;이헌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3호
    • /
    • pp.326-329
    • /
    • 1997
  • 관상동맥 우회수술은 일반적으로 저체온하에 인공심폐기를 사용하여 체외순환을 하면서 심정지상태에서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 인 방법이다. 그러나 선택적 인 병변에 한 하여는 체 외순환을 하지 않고 정상적인 심박동 상태에서 관상동맥 우회 술을 사용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저자들은 우관상동맥에 100%협착을 보이고 경미한 운동시 심한 흉통을 호소한 환자에서 체외순환 없이 관상동맥 우회 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기 에 문헌고찰과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경피적 관동맥 확장술의 시술량과 조기 시술결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igioplasty Volume and Associated Immediate Outcome)

  • 김용익;김창엽;이영성;김선민;이진석;오병희;강영호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4권1호
    • /
    • pp.9-20
    • /
    • 2001
  • Objectives :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PTCA) volume and the associated immediate outcome. Methods : A total of 1,379 PTCAs were peformed in 25 hospitals in Korea between October 8 and December 31 in 1997. Data from 1,317 PTCAs (95.5%) were collected through medical record abstraction. Inter-observer reliability of the data was examined using the Kappa statistic on a subsample of 110 PTCA procedures from five hospitals. Intra-observer reliability of the data was also examined. PTCA success and immediate adverse outcomes were selected as the outcome variables. A successful PTCA was defined as a case that shows less than 50% diameter stenosis and more than 20% reduction of diameter stenosis. Immediate adverse outcomes included deaths during the same hospitalization, emergency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CABG) within 24 hours after PTCA, and acute myocardial infarction within 24 hours after PTCA. The numbers of PTCAs performed in 1997 per hospital were used as the volume variables. Results : Without adjusting for patient risk factors that may affect outcomes, procedures at high volume hospitals ($\geq200$ cases per year) had a greater success rate (P=0.001) than low volume hospitals. There was a margin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70) in major adverse outcome rates between high and low volume hospitals. After adjusting for risk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cedural failure and major adverse outcome rates between high and low volume hospitals. Conclusions : After adjusting for patient clinical risk factors, the hospital volume of PTCA was associated with immediate outcomes. It is recommended that a PTCA volume per year be established in order to improve the immediate outcome of this procedure in Korea.

  • PDF

경피적 혈관봉합술 후 발생한 대퇴동맥 내막염 -1예 보고- (Femoral Endarteritis as a Complication of Percutaneous Suture Closure Device -A case report-)

  • 홍준화;최진욱;문종환;소동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1호
    • /
    • pp.864-867
    • /
    • 2006
  • 경피적 혈관 봉합기는 혈관 조혈술 및 중재시술 후에 환자와 의사의 불편을 덜 수 있는 비교적 안전하고 간편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몇몇 합병증이 보고되고 있다. 본원에서는 경피적 혈관 봉합기를 사용하여 지혈을 받은 후 대퇴동맥 혈관내막염이 발생한 62세 남자 환자를 적절한 항생제 치료 및 자가 대복재정맥을 이용한 혈관 재건술로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의 성공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고찰 (Determinants of Successful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 최교원;권준영;김영진;이태일;신동구;김영조;심봉섭;이현우;이삼범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230-239
    • /
    • 1994
  •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의 성공율과 그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2년 9월부터 1993년 8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 입원하여 급성 심근경색증, 불안정형 협심증, 안정형 협심증, 경색후 협심증으로 진단된 172개소의 협착병소를 대상으로 하여 경피적 관상동맥 조영술 및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임상적 변수들로 나이, 성별, 협심증기간, 심혈관 위험인자, 임상적 진단명으로 구분하였고, 협착병변의 특정 및 술기적 변수들로는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에 따른 분류, 병변혈관의 위치, 협착병소의 길이, 석회화 유무 그리고 팽창압력과 팽창시간들로 구분하였고 성공군과 실패군에서 각각의 혈관탄성반도를 구하였다. 관상동맥 성형술의 전체성공율은 87.2%이고 성별로는 여성이 93.5%로 남성보다 높았으며 임상적 진단에 따라서는 안정형 협심증이 93.7%로 가장 높았고 경색후 협심증이 77.7%로 가장 낮았다. 협착부위의 소견중 45도 이상 굴곡된 병변과 혈전이 있는 병변에서 성공율이 낮았고 성공군과 실패군의 비교에서 관상동맥 성형술 전의 지름 협착율, 혈관탄성반도, 그리고 병변의 길이가 실패군에서 유의하게 크게 나왔다(p<0.05).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분류에서는 C형에서, 단일 혈관 질환보다는 다혈관 질환에서 성공율이 낮았고 그외 관상동맥 성형술전에 혈전용해 요법을 시행했을 때가 관상동맥 성형술만을 시행했을 때보다 성공률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관상동맥 성형술의 성공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다혈관 질환, 45도 이상 굴곡된 병소, 혈전이 동반된 병소, Type C인 병소(p<0.05), 협착정도(p<0.05), 혈관탄성반도(p<0.05), 협착길이 (p<0.05)로 보이며 앞으로 더 많은 례에서의 연구,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관상동맥 협착증의 외과적 치험 -30례의 임상적 결과- (Surgical Treatment of Coronary Artery Occlusive Disease)

  • 김병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11호
    • /
    • pp.994-1000
    • /
    • 1995
  • Thirty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underwent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from 1985 through 1994. There were 16 males and 14 females whose age ranged from 41 to 72 years old. Preoperative diagnoses were unstable angina in 13 of patients, stable angina in 8, postmyocardial infarction state in 7, and state of failed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 PTCA in 2. The patterns of disease were single vessel involvement [ 17cases , double vessel involvement [ 7 cases , triple vessel involvement [ 3 cases , Lt main lesion including Lt. ostial lesion [ 3 cases . Saphenous vein grafts were used in 27/30 patients [ 90% , and internal mammary artery grafts were used in 6/30 patients [ 20% . The hospital mortality was 13.3% and all survivors were asymptomatic and improved over their preoperative status.

  • PDF

개심술시 Intra-aortic balloon pump (IABP)의 임상적 적용 (Clinical Experience with IABP in Cardiac Surgery)

  • 옥창석;지현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호
    • /
    • pp.34-39
    • /
    • 1997
  • 1994년 5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성인에서 심장수술을 시행한 122례중 18례(14.8%)에서 IABP를 순환보조장치로 사용하였다. 그중 술전에 IABP(intra-aortic balloon pump)를 시행한 경우는 9례이고, 술 중에는 7례, 그리고 술후에는 2례에서 시행하였다. 그 이유는 술전에는 저심박출, PTCA(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의 실패였고, 술중에는 체외순환기 이탈을 위해서이며, 술후에는 술후 발생한 부정 맥 때문이었다.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1.8$\pm$6.9세(39세에서 75세)였다. 술전 및 술중에 IABP를 시행한 환자의 수술사망율은 각각 33.3, 42.9%였으며 술후 IABP를 시행한 환자는 모두 생존하였다. IABP이탈율은 술전의 경우 66.77%. 술중의 경우 85.7%였으며 술후에 시행한 IABP는 모두 이탈 가능하였다. 결론적으로 IABP는 심근 손상이 가역적인 시기에 적용할 경우, 수술전후 어느시기에나 안전하게 사용가능하며 수술전후의 혈류역학적 불안정, 체외순환기 이탈 및 저심박출증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관상동맥 우회수술후 이식혈관의 개존 (Patency Rate of Grafts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 노환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1호
    • /
    • pp.42-48
    • /
    • 1992
  • Clinical improvement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depends on the complete revascularization and patency of graft vessels. Patency rate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atency were studied by examining 134 grafts in 55 patients at a mean follow-up of 22.8$\pm$4.2 months, range 15 days and 108 months. Serial studies were performed on 7 patients with 18 grafts. The over-all patency rate was 80.6%, and the rate more than 5 years after surgery was 50.0% with mean interval of 81 months. Patency rate of patients who had taken both aspirin and dipyridamole was higher than of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with aspirin only[80.5% vs 56.5%]. The average serum triglyceride level of patients who had graft stenosis or occlusion in at least one sit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atients in whom all grafts were patent[262.1mg% vs 174.8mg%]. Patency rate of grafts in patient who had angina was 73.2% and in patients without angina 79.2%. 6 patients underwent successful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for narrowed or occluded grafts.

  • PDF

허혈성심장질환의 치료에서 관상동맥 우회술의 조기성적;53례의 임상적 결과 (Early Clinical Result of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for Ischemic Heart Diaseas)

  • 최종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4호
    • /
    • pp.271-275
    • /
    • 1993
  • In this country, the number of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is progressively increasing with the change of life style and improvement of the diagnostic procedures. In addition, the medically invasive procedure for treating ischemic heart disease was rapidly developed and the surgical patients have more complex and multiple lesions and more surgical risks. Fifty three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underwent coronary bypass grafting [CABG] for recent 24 months. Twenty patients had three-vessel disease, 17 patients two-vessel disease, and 2 patients single-vessel disease. The average number of distal anastomoses was 3.3 per patient with the range of I to 6 grafts. Forty-one patients [77.4 %] had preoperative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of 50 % or more and 14 patients[26.4%] had a significant left main coronary lesion. Saphenous vein grafts were employed in 52/53 patients [98.1%] and internal mammary grafts, which were anastomosed to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in 38/53 patients[71.7%]. Two patients, whom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failed for, underwent emergency CABG with only saphenous vein grafts and both patients survived.The hospital mortality was 1.9 % and there was no late death. Perioperative myocardial infarction occurred in 1.9%. All survivors were asymptomatic[in 83% of the patients] and/or improved over their preoperative status. Twenty-nine patients were included in blood conservation group and 21 patients [72.4 %] underwent CABG without any homologous blood transfusion. Our early result of coronary bypass grafting was comparable to that which was reported in other coronary surgery units.

  • PDF

심폐바이패스없이 제한적 전흉부개흉술로 시행한 관상동맥우회술 1례 (Minimally Invasive Coronary Artery Bypass without Extracorporeal Circulation - One case report -)

  • 서필원;김삼현;이상민;김영권;박이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1호
    • /
    • pp.1263-1266
    • /
    • 1996
  • 단국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는 좌전하행지 기시부부터 95% 이상 협착을 보이는 단일혈관질환 1례에서 체외순환없이 제한적 전흉부 개흉으로 좌측내유동맥을 박리하여 박동심장하에서 관상동맥우회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심폐바이패스하의 심박동상태에서 시행한 관상동맥우회로술 ("On-Pump" CABG on the Beating Heart - Two case report -)

  • 신종목;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5호
    • /
    • pp.480-483
    • /
    • 1999
  • 심폐바이패스와 심정지액을 이용하여 심장을 완전히 정지시킨 상태에서 원위부 관상동맥 문합을 시행하는 방법이 현재 관상동맥우회술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심정지액을 이용한 심정지하의 관상동맥우회술은, 특히 고위험군 환자에서 수술중 심근의 허혈성 손상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못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심폐바이패스를 사용치 않는 방법이 관상동맥우회술중 심근의 허혈성 손상을 방지하고 심폐바이패스의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이상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겠지만, 이는 기술적으로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이에 저자들은 좌심실 구출률이 25%로 좌심실 기능 저하가 심했던 경우와, 경피적 관상동맥확장술 중에 심인성 쇼크가 초래된 경우 등의 고위험군 환자에서 시행한 심폐바이패스하의 심박동상태에서의 관상동맥우회술 2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