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s of Workplace Discriminatio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장애인의 작업장 차별인식 : 영향요인 그리고 통계적 증거와의 관계 (An Examination of Factors Affecting Perception of Workplace Discrimination of Employees with Disabil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Discrimination and Measured Discrimination)

  • 조광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3호
    • /
    • pp.59-81
    • /
    • 2010
  • 본 연구는 장애인의 작업장 차별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장애인의 작업장 차별인식이 차별의 통계적 증거와 부합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장애인은 연령이 낮을수록, 근속기간이 길수록, 임금수준이 낮을수록, 50인 미만 작업장보다 50인 이상 작업장에 근무하는 경우 작업장에서 차별을 인식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 여성보다는 남성이, 근속기간이 길수록, 임금수준이 낮을수록, 50인 이상 작업장에 근무하는 경우 임금 영역에서 차별을 인식할 가능성이 높았다. 그리고 장애인의 작업장 차별인식은 차별의 통계적 증거와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여성공학도 진로장벽에 관한 남녀 인식 비교 (The Differences of Gender Awareness on Women Engineers' Career Barriers)

  • 박선희;신동은;최금진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4호
    • /
    • pp.77-8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공학도의 진로장벽에 관한 남녀 학생 인식비교이다. 이를 위해 진로장벽 인식에 관한 문헌을 조사하고, 이성식(2007) 박사학위논문에서 사용한 내용을 교육학박사 2인이 수정 보완하여 설문문항을 구성하였다. 설문대상은 수도권 소재 4학년 재학 중인 공과대학생 691명이다. 연구결과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여성의 진로장벽인식(상호작용적, 태도, 사회적 대인적 진로장벽)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학생들은 태도장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반하여 상호작용적 장벽을 부정적으로 자각하고 있었다. 여학생들이 인식한 태도장벽과 상호작용적 장벽의 구체적인 요소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초점그룹 인터뷰 결과에서 여성공학도들은 학점을 근거로 자신들을 준비된 공학도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었고, 여성의 진로개발과 유지에서의 애로사항은 잘 이해하고 있는 반면, 이에 대한 대응 전략에 대한 인식은 미흡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