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ived use of ICT environment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고등학교 교사의 ICT 활용 리터러시와 활용 의도에 관한 분석 (Analysis of High School Teachers' ICT literacy and Intention to use)

  • 고주은;박성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591-601
    • /
    • 2021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사의 ICT 활용 리터러시 수준을 파악하고 ICT 활용의도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여 고등학교의 ICT 활용 수업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총 3,942명의 고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ICT 활용 리터러시와 ICT 활용 수업 의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ICT 활용 리터러시의 요인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ICT 리터러시 수준과 ICT 활용 가치 인식, ICT 활용 환경 인식이 ICT 활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ICT 활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ICT 활용 가치 인식, ICT 활용 리터러시의 정의적 영역, ICT 활용 리터러시의 심동적 영역, ICT 활용 리터러시의 인지적 영역, ICT 활용 환경 인식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ICT 활용 환경이 ICT 활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ICT 활용 환경에 대한 인식이 ICT 활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속적으로 실시된 교육정보화 사업으로 인해 시설이 갖추어졌다고 해석할 수 있으며 이를 유지하기 위해 ICT 활용 환경에 대한 지원이 지속되어야 한다. 더불어 교사들의 가치와 전반적인 ICT 활용 수업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Quality Indicators of ICT-Related Support for Blended-Learning in Traditional Universities

  • CHOI, Kyoung Ae;KIM, Dongil;PARK, Chunsung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6권1호
    • /
    • pp.81-101
    • /
    • 2005
  • Campus-based universities have provided face-to-face instruction traditionally. But recently, it is becoming a trend that they provide blended learning which combines e-learning and f2f instruction. Therefore, traditional university has been installing the ICT related convenience for the faculty and students to use easily to their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quality indicators of ICT-related support for proper blended learning in traditional campus-based universities. This indicators are used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ICT-related services at university level for quality education. To this end, first, we reviewed literature about quality indicators of university evaluation and e-learning. Second,we did case study. We selected and analyzed one university for a case, And we identified what elements are perceived important to faculty for more efficient use of technology to their class. Third, we summarized all this data and established the quality indicators framework of ICT-related components for blended learning in campus-based universities. Then, these indicators were revised after the expert evaluation. And then 10 experts and practitioners scored importance rating. Finally, we sum them up to 17 indicators and 48 sub-indicators in three phases (input, process, output). Among them, e-learning related organization or body, usability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quality assessment system got the highest scores. These indicators are supposed to contribute to measure the quality of ICT-related environment for blended learning and to provide informations about what is required for efficient blended learning in the campus-based universities.

핀테크의 사용자 특성과 제품 특성이 지속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Fintech User and Product Characteristics on Intention for Continuous Use)

  • 하창승;정대현
    • 정보화정책
    • /
    • 제23권4호
    • /
    • pp.59-75
    • /
    • 2016
  • 융복합 시대에 정보통신기술(ICT)을 통해 금융거래 패러다임의 혁신을 꾀하고자 하는 핀테크의 발달이 주목받고 있다. 금융관련 서비스를 모바일 및 정보통신기술과 접목하려는 핀테크의 확산은 단순한 결제 및 송금서비스 외에 대출, 투자, 자산관리 등 보다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으나 소비자들의 인식이 낮은 편이다. 따라서 다양한 핀테크 비즈니스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어지는 시점이다. 본 논문은 핀테크 사용자들의 지속사용의도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소비자 관점의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용자특성 측면에서 보면, 혁신성은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특성 측면에서는 지각된 위험은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차량호출 모빌리티 서비스 지속이용의도의 영향요인 및 조절요인 연구 (The Influencing Factors and Moderating Factors on Intention to Continuously Use Car-Hailing Mobility Service)

  • 이애리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3권4호
    • /
    • pp.103-125
    • /
    • 2021
  • 정보통신기술(ICT) 혁신과 함께 모빌리티(Mobility) 서비스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최근 사용자의 수요에 맞는 온디맨드(On-demand)형 모빌리티 플랫폼 시장이 성장세에 있으며,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서비스를 호출하고 실시간으로 연결 상황을 확인하며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카카오 택시, UT 택시 등과 같은 차량호출 모빌리티 서비스를 중심으로 이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과 경험 현황을 조사하고, 차량호출서비스의 지속사용의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환경적/도구적 혜택과 드라이버/플랫폼에 대한 신뢰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혁신성과 ICT 활용정도에 따라서 이들 영향력 관계가 달라질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된 혜택(환경적 혜택, 편리성 및 경제성의 도구적 혜택)과 드라이버에 대한 신뢰가 플랫폼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플랫폼에 대한 신뢰가 높으면 차량호출서비스의 지속사용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개인의 혁신성 정도에 따라 인지된 환경적 혜택과 경제성 혜택이 플랫폼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났고, ICT 활용정도에 따라서 편리성 및 경제성 혜택의 플랫폼 신뢰도에 대한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참조하여,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자들은 차량호출서비스에 대한 사용자들의 인식과 신뢰도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개인의 특성에 맞는 서비스 홍보 전략을 구사할 수 있을 것이다.

컴퓨터 기반의 협력적 문제해결력 성취를 예측하는 학생과 학교 및 ICT 요인 : 다층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Student-, School-, and ICT-Factors Predicting Computer-base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ocusing on Analyses of Multi-level Models)

  • 임효진;이순영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57-471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학생들(142개 학교의 4863명)의 PISA 2015 컴퓨터 기반의 협력적 문제해결력(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이하 CPS)에 미치는 학생, 학교 수준의 배경요소와 ICT 요인을 설정하여, 설명 변수가 없는 기초모형(모형1)부터 모든 변수가 투입된 최종모형(모형5)까지 2수준 위계선형모형(Two-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 이하 HLM)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성별, 사회경제문화적 배경, 협동지수는 CPS 점수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던 반면 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불공평함은 CPS 점수를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목적의 ICT 사용빈도가 많을수록, 그리고 오락 목적의 ICT 사용빈도와 학교에서의 ICT 사용빈도가 적을수록 CPS 점수가 높았다. PISA 2015에서 최초로 측정된 ICT 태도 중 ICT에 대한 흥미가 높고 ICT 기기 사용에 대한 자율성이 높을수록 CPS 점수가 높았으며, ICT를 사회적 상호작용(SNS, 채팅)을 위한 도구로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경우에는 CPS 점수가 낮았다. 셋째, 학교 수준 변수에서는 학교의 학습 분위기를 저해하는 학생 행동이 적을수록, 교사 근무환경 만족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학생 당 이용가능한 컴퓨터 수가 적을수록 CPS 점수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컴퓨터 기반의 협력적 문제해결력 소양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ICT에 대한 흥미나 자율성을 가질 수 있도록 조력해야 하며, 학교현장의 ICT 기기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ICT 활용이나 SW 교육과정에 대한 지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ICT 기업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워크 도입에 관한 연구: 혁신저항모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doption of smart work for ICT companies : Focusing on the innovation resistance model)

  • 오용민;노혜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649-659
    • /
    • 2023
  • ICT기술을 활용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근무하는 스마트워크는 2010년부터 시작된 '스마트워크 활성화 전략'을 바탕으로 많은 연구와 투자가 이루어져 왔음에도 도입 및 확산에 어려움이 있었다. 2019년 발병한 COVID-19의 환경은 스마트워크의 도입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음에도 많은 기업이 다시 스마트워크를 종료하거나 축소하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혁신저항모델을 기반으로 스마트워크 도입을 저항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시작되었다. 본 연구 결과, 상대적 이점은 도입 저항과 도입 의도 모두에게 강한 영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인지된 위험과 복잡성은 직접적으로 도입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지만, 도입 저항을 매개하여 도입 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스마트워크의 실질적인 이점을 강조하고 부정적 태도를 감소한다면 도입 저항을 낮추고 도입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을 확인하였다.

In-depth Understanding of STEM Information Needs using FGI

  • Park, Min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3호
    • /
    • pp.280-284
    • /
    • 2020
  • In the rapidly changing science and technology environment, an in-depth understanding of users of STEM information is an essential factor in designing a user-centered information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in-depth the behaviors and needs of users who use STEM information. In this study, the needs of users for STEM information and STEM information sites are dealt with in depth using the FGI qualitative method. In addition, it includes the analysis results of grouping of similar sites according to various aspects of use of STEM information sites. As a result of grouping similar sites based on awareness and level of use,, they were grouped by domestic-international, paid-free, integrated-specific fields. As a result of grouping similar sit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they were grouped by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pers, research reports, and patents. As a result of grouping similar sites according to usage attributes, they were grouped by diversity, reliability, and specialization. As for the positions of similar sites perceived by users, Science Direct and PubMed showed high specialization and high quality, Google Scholar showed integration and popularity, and RISS showed four attributes evenly. Suggestions for information system design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