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s of Consumers' Technology Readiness on Telepresence and E-loyalty toward 3D Online Shopping Mall

  • Yang, Hee-Soon;Jung, Hye-Jung;Youn, Cho-Rong;Choi, Yun-Jung;Lee, Yu-Ri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59-669
    • /
    • 2011
  • Consumer responses to 3D online shopping malls are influenced by their attitudes toward technology. This study examines the consumer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technology readiness, compares customers with different technology readiness in terms of their perceived telepresence and e-loyalty, and examines the effect of their perceived telepresence on their e-loyalty. Samples from 300 females aged 21 to 39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Explorers (N=72), Pioneers (N=105), and Skeptics (N=123), through factor analysis and k-means cluster analysis. Second, the Explorers evaluated the telepresence of the 3D online shopping mall higher than any other group. The Skeptics presented lower e-loyalty and perceived less telepresence in the 3D online shopping mall than the other two groups. Finally, telepresen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loyalty, as identified by the regression analysis. This verifies the effectiveness of 3D technology adopted or to be adopted by online shopping malls and demonstrates that 3D shopping malls can be a strategic alternative in the online shopping sector where competition is fierce. The results show that online shopping malls should focus on establishing 3D shopping environments with further effort to utilize the technology.

탄소라벨링 브랜드 충성도를 결정하는 요인: 가치태도행동 모형의 적용 (Factors Affecting Carbon-Labeling Brand Loyalty : Applying Value-Attitude-Behavior Model)

  • 김광석;박경원;박기완
    • 환경정책연구
    • /
    • 제13권3호
    • /
    • pp.109-133
    • /
    • 2014
  • 기후변화와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정부의 정책이 증가하는 요즘 탄소 라벨링 제도는 저탄소 생산과 저탄소 소비를 연결하는 환경정책으로 시장에 점차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탄소 라벨링 제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와 브랜드 충성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탄소 라벨링 소비자 모형을 제시하여, 소비자의 내재된 가치가 탄소 라벨링 제품 및 기업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주고 나아가 브랜드 충성도를 제고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2차에 걸친 설문조사를 통해 패널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소비자의 자율성 가치는 지각된 통제소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기업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형성시켰으며, 환경적 가치는 지각된 소비자 효과를 높이고, 나아가 지각된 장애를 줄임으로써 제품 이미지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궁극적으로, 긍정적인 기업 이미지와 제품 이미지는 브랜드 충성도를 향상시켰다. 이와 같은 결과는 탄소 라벨링 정책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소비자의 기업 및 제품에 대한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를 향상시키는 순기능이 있음을 보여준다. 탄소 라벨링책이 소비자 태도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고유의 모형을 제시하고 실증분석한 점에 그 학문적 기여도가 높다고 하겠다. 더욱이, 연구결과는 정부에게 환경정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제언을 제시하고 있고, 기업에게도 탄소 라벨링과 관련된 마케팅 전략의 방향성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 공헌을 갖고 있다.

  • PDF

기능성 아웃도어 재킷의 행택을 통한 성능정보 제공 현황과 유용성 및 대안연구 (A Survey research on Current Situation and Effectiveness of Performance Information in the Hang-Tag of Functional Outdoor Jacket)

  • 이은별;방기성;유신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800-810
    • /
    • 2014
  •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product information of functional outdoor jackets in the hang-tags was investigated in perspective of consumer protection. Effectiveness and preferred alternatives to hang-tag information were also investigated. For the market survey, 1560 hang-tags from 676 functional outdoor jackets were investigated. For the effectiveness and preferred alternatives, 472 adults in their 20-60's were surveyed. The average number of hang-tags was 2.3 but 5.9% did not provide any product information. The contents included functional property of fabric; quality guarantee; brand introduction; product characteristics; instructions for care/usage; subsidiary material information, and they were different depending on end-use of jackets. Consumers strongly wanted explanations of the terms used in the hang-tag and could not accurately figure out the functions of the products from hang-tag information regardless of expression methods. The percentage of incorrect answer of 'figure/foreign language' method was extremely high. It is a noticeable feature of graph method that customers perceived that the graph was difficult to understand, but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much higher than other methods, implying that graph method was possibly more useful at delivering accurate information to the customers who pursuit information. Customers strongly agreed to need of alternative methods and preferred an unified performance grade from selected functions based on the end-use of products. Customers also wanted to include the information of performance change after laundering. The results could provide practical insights to the consumers, companies, and the government to prepare proper guideline/policies for consumer protection.

인터넷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정보탐색 유형별 인지된 정보유용성 분석: 다이어트 및 체중조절 관련 정보탐색을 중심으로 (The Associations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Search and eHealth Literacy with Perceived Information Usefulness: Analysis in the Context of Diet and Weight Control)

  • 심민선;조희숙;정수미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9-127
    • /
    • 2018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1) the patterns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search with respect to seeking and scanning, and (2) how online search, along with eHealth literacy, predicts perceived information usefulness in the context of diet and weight control. Methods: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99 adults from the consumer panel recruited for the purpose of quality assessment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formation Portal in 2016. We conducted paired sample t-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 24.0 (IBM Corp., Armonk, NY, USA) and SAS ver. 9.3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Results: Of the respondents, 38.8% were 'high seek-high scanners,' 35.8% were 'low seek-low scanners,' 13.0% were 'high seek-low scanners,' and 12.4% were 'low seek-high scanners.' eHealth literacy was a significant, positive predictor of online information scanning (odds ratio [OR], 2.46; 95% confidence interval [CI], 1.41-4.29), but not for online information seeking (OR, 1.75; 95% CI, 1.00-3.05). With respect to perceived usefulness of online information seeking, online seeking (OR, 4.90; 95% CI, 2.19-11.00) and eHealth literacy (OR, 2.30; 95% CI, 1.11-4.75) were significant predictors. Perceived usefulness of online scanning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online scanning (OR, 2.38; 95% CI, 1.08-5.22), but not with eHealth literacy. Conclusion: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th policy for online information search and related outcomes in the context of diet and weight control, it is important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promoting eHealth literacy.

유명인을 이용한 제품 애칭화 유형에 따른 소비자 반응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Pet Naming Types Using Celebrity Endorser)

  • 김혜진;조창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532-549
    • /
    • 2017
  • 본 연구는 유명인을 이용한 제품의 애칭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동시에, 제품 애칭화 현상을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창출 주체로 구분하여 그에 따른 영향력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3(비애칭화/기업 의도에 의한 애칭화/구전에 의한 애칭화)x2(쾌락적 제품/실용적 제품)의 요인 설계를 하였다. 연구결과 애칭화 유형이 지각된 가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가치는 애칭화 유형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이에서 완전매개의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나아가 소비자의 심리적 기제인 정보적 대인 민감성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를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 스스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창출하는 현상을 포함하였고, 가치 지각의 차원에서 유명인 보증인 효과를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소비자들의 심리적 기제에 따른 마케팅 효과까지도 검증해 냄으로 인해 향후 애칭마케팅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한 의미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대학생의 개성과 환경의식에 따른 의류처분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Clothing Disposition Behavior Depending on their Personality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 정유정;박옥련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49-156
    • /
    • 2006
  • The followings are the findings of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clothing disposition behavior depending on their personality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1. University student's personality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globalism, alienation, conservatism, and a sense of social responsibility. 2. The personality factors are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both economic and altruistic disposition behavior. 3. In terms of the economic disposition behavior, people in the groups with high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end to trade unused clothing with other things rather than to sell them for the benefit of economic gains. With regard to the altruistic disposition behavior, they also tend to give the clothing to their close people, for example family members or relatives, rather than to donate them to churches or charitable organizations.

  • PDF

대학생의 생성형 AI 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The Empiric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to Use Generative AI Services)

  • 장수진;정병규
    • 벤처혁신연구
    • /
    • 제6권4호
    • /
    • pp.153-170
    • /
    • 2023
  • ChatGPT를 포함한 생성형 AI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관점에서 생성형 AI 서비스의 확산하는 요인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Value-based Adoption Model의 프레임워크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혜택요인으로 유용성과 즐거움을, 희생요인으로 보안성과 할루시네이션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이 생성형 AI 서비스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효한 200부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AMOS 24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유용성, 즐거움은 인지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안성과 할루시네이션은 인지된 가치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지된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유용성, 할루시네이션, 보안성, 즐거움 순이었다. 인지된 가치는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인지된 가치는 유용성, 즐거움, 보안성, 할루시네이션과 생성형 AI 서비스 이용의도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술적으로는 기존의 검정된 모형을 바탕으로 생성형 AI 서비스의 특성을 결합하여 그 유효성을 검정함으로써 연구의 지평을 넓혔고, 실무적으로는 유용성이 여전히 중요한 요인인 것을 검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

한국과 중국 모바일광고 수용자의 광고회피에 관한 국가 및 연령별 비교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n Ad Avoidance of Korean and Chinese Mobile Advertising Audiences based on Country and Age)

  • 사광이;이보희;김병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281-290
    • /
    • 2020
  • 모바일광고 회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소비자가 느끼는 광고 오락성, 정보성, 관련성, 신뢰성, 지각된 침입성이 광고회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광고 특성이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에서 국가 및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대와 40대의 한국과 중국의 일반인 254명을 대상으로 모바일광고에 대한 회피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의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다중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광고 오락성, 관련성이 높을수록 광고회피가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지각된 침입성이 높을수록 광고회피가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광고 오락성, 정보성, 관련성, 신뢰성이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에서 국가 및 연령별 차이가 있었으나, 지각된 침입성이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에서 국가 및 연령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광고회피를 유발하는 예측 요인이 무엇인지 국가 및 연령별로 비교하여 파악함으로써 소비자의 모바일 광고회피를 줄이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시사점을 들 수 있다.

The role of visual and verbal information on the functionality of shapewear in female consumers' online purchase decisions

  • Shin, Eonyou;Zhang, Ling;Hwang, Chanmi;Baytar, Fatma
    • 복식문화연구
    • /
    • 제27권6호
    • /
    • pp.539-552
    • /
    • 2019
  •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information on shapewear's functionality in consumers' purchase decisions in an online shopping context. Through two steps of stimulus development process, four mock websites were developed to conduct a main study. In the main study, a 2 (visual information: absent vs. present images of the shapewear's functionality) x 2 (verbal information: absent vs. present descriptions of the shapewear's functionality) between-subject factorial design was employed to examine the impact of visual and verbal information regarding the functionality of shapewear on the consumer decision-making process (i.e.,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verbal information about how shapewear reduces the size of specific body parts (i.e., waist, abdomen, hips, and thighs) were effective in increasing perceived attractiveness in an online context, which increased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In addition, attitudes toward the shapewear mediated the effects of expected physical attractiveness on purchase inten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empirical support for the importance of expected physical attractiveness in consumers' online purchase decision on shapewear and useful manageri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online shapewear presentations by including descriptions of the functionality of shapewear in decreasing the size of body parts.

건강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연구 (II) -건강식품에 관한 소비자 의식구조- (A Survey on the Consumer Attitude Toward Health Food in Korea (II) -Consumer Perception on Health Foods-)

  • 이은주;노승옥;이철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87-495
    • /
    • 1996
  • 건강식품 및 원료의 유효성분 및 위해요소 조사분석에 관한 연구의 기초조사로 건강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건강식품에 관한 이용실태 조사와 건강식품에 대한 객관적 지식정도 조사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방문 및 협조가 가능한 20세 이상의 일반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1995년 10월부터 96년 2월에 걸쳐 직접 방문하고 설문지를 배부하여 설명한 후 조사대상자가 직접 기입하게 하는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882부를 회수(회수율 88%)하였으나 이중 불완전한 응답 23부를 제외한 859부(유효회수율 86%)를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사회경제적 여건에 대하여는 단순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교차표를 이용하여 결혼 여부, 월수입, 교육정도 등의 사회 경제적 여건과의 통계적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건강식품에 관한 이용실태 조사결과로는 응답자의 58.8%가 건강식품을 사용한 경험이 있었으며 68.2%는 건강식품의 효능을 믿는다고 응답하고 있어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도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식품에 대한 가장 큰 기대효과는 전체적 건강유지에 도움을 주는 것(59.8%)이라고 응답하였으며 가장 큰 부정적 견해로는 과대선전(52.1%)이라고 응답하였다. 건강식품에 대한 정보 선택 경로로는 주로 친지의 권유나 소개(30.6%)로 이용하고 있었으며 우리나라 식품법에서 건강보조식품의 등록관리사실은 63.7%가 모르고 있다고 응답하여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이 건강식품의 행정적 관리사실에 무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식품의 등록관리 사실을 알고 있는 건강식품의 종류로는 로얄제리(22.7%), 스쿠알렌(16.0%), 정제어유(15.1%), 유산균(10.6%), 알로에(8.8%)순으로 나타났다. 건강식품과 약품(또는 한약)과의 차별인식 조사결과에서는 응답자의 84.2%가 건강식품과 한약이 다르다고 생각하면서도 가장 잘 알고있는 건강식품의 종류와 약품(또는 한약)의 종류를 묻는 두 문항에 모두 인삼(22.7%, 41.7%)을 가장 많이 응답하여 전체적으로 건강식품과 약품의 구별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위한 계몽과 교육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