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ople Analytics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5초

4차 산업혁명 하에서의 6 시그마 DMAIC 단계별 변화에 대한 전망 (A Future Prospect for Change in each Step of Six Sigma DMAIC und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권혁무;홍성훈;이민구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0
    • /
    • 2018
  • Purpose: This paper provides an idea on the future prospect for change in steps of the six sigma DMAIC project under the environ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ethods: First, the purpose and activities required in each step of DMAIC are reviewed. Next, activities are reviewed together with tools and techniques, considering the purpose and the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inally, the best approaches for achieving the purpose are prospected to get an idea on future change. Results: The purpose of each phase of DMAIC is expected to remain unchanged. But activities, techniques, or methods will be replaced with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ones. Also, many activities may possibly be executed by a system instead of people like BB, GB or team members. Moreover, DMAIC may not be a project any more but a routine job of the system in the future. Conclusion: Under the environ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any activities including analyzing various types of data and extracting valuable information, will be executed by a system with proper algorithms instead of people. And six sigma improvement projects may be intrinsic parts of the system and may not exist as separate projects any more.

포스트코로나시대 융합인재양성을 위한 정책방향연구 (A Study on the Policy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kill Convergence in the Post-COVID19 Era)

  • 김은비;조대연;노경란;오석영;박기범;류성창;김종윤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47-25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주도할 교육과 인재양성을 위해 미래 사회를 대비할 수 있는 교육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포스트코로나 인재상을 알아본 후 도출된 포스트코로나 인재상을 바탕으로 전문가 집단의 인터뷰와 델파이 조사를 통해 포스트코로나 시대 도래에 따른 이슈를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포스트코로나시대 융합인재양성을 위한 정책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빅 데이터 분석과 온라인 인터뷰 분석을 통해 융합, ICT 활용 능력, 창의성, 자기주도학습 능력, 리더십을 COVID 19 이후 시대에 인재역량으로 보았다. 둘째, 디지털 교육 시스템의 혁신,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학급당 학생 수 감소가 새로운 인재육성을 위한 교육 이슈로 보았으며 셋째, COVID 19 이후 시대의 인재 육성에 대한 교육 방향 중 가장 중요한 정책은 융합 인재 양성이었다. 융합은 서로 분리된 것들을 연결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이슈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인재양성 및 이를 위한 교육, 훈련에 필요한 기반을 마련하고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머신 데이터 분석용 플랫폼 스플렁크를 이용한 취업지원 서비스 개선에 관한 연구 : 월드잡플러스 사례를 중심으로 (Experiencing with Splunk, a Platform for Analyzing Machine Data, for Improving Recruitment Support Services in WorldJob+)

  • 이재덕;이문기;김미량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201-210
    • /
    • 2018
  •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운영하는 월드잡플러스는 청년들의 해외취업을 지원하는 포털 서비스로서 해외진출에 필요한 정보제공과 등록, 면접, 학습 등 일련의 과정을 지원하는 통합정보네트워크이다. 현재 30만명 이상의 청년들이 등록하고 있으며, 연계관련기관과 협업하여 청년들의 해외 취업을 지원한다. 월드잡플러스는 지원서비스의 혁신화와 무결성 유지를 위해 머신데이터 분석플랫폼인 스플렁크를 활용하여 웹사이트에 축적된 로그파일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기술적 예측적 분석도구를 이용하여 구직자 니즈와 프로필 기반의 맞춤형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며 구직자를 위한 최적 구직 성공요건 및 최적 구인기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월드잡플러스가 스플렁크를 활용하여 해외취업을 지원하는 몇 가지 서비스에 대한 사례를 제시해보고자 한다.

관광 빅데이터 기반의 용인시 관내 관광 활성화 방안: 이동통신과 신용카드 데이터를 결합한 지리정보시스템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Local Tourism in Yongin City Based on Tourism Bigdata Analytics: Focusing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alytics Combining Mobile Communication and Credit Card Data)

  • 안은희;안정국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207-216
    • /
    • 2021
  • 최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관내 관광객 유치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관내 관광객들을 이동경로 및 소비 패턴 분석에 기반한 맞춤형 관광 전략이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한정된 주류 관광객 분석에 초점을 두어, 관광객들의 행위 기반 데이터 관점의 분석이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과 지리정보시스템을 결합하여 관내 관광객들의 이동 경로 및 소비 패턴을 분석하여 빅데이터 기반의 관광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용인시에서 발생한 카드 지출 데이터 및 통신 데이터를 바탕으로 관내 관광객들의 이동 패턴 및 소비 패턴을 분석하여 시각화하였다. 2017년 7월부터 2018년 6월까지 1년간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여성보다 남성이 다양한 지역에서 소비하는 경향이 있고, 나이별로는 30대와 40대가 소비지역이 비슷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관광 및 소비 패턴을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가시화함으로써 관광, 행정 및 정책의 실무자들에게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시사점이 있다.

KOMUChat :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 대화 데이터셋 연구 (KOMUChat: Korean Online Community Dialogue Dataset for AI Learning)

  • 유용상;정민화;이승민;송민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2호
    • /
    • pp.219-240
    • /
    • 2023
  • 사용자가 만족감을 느끼며 상호작용할 수 있는 대화형 인공지능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대화형 인공지능 개발을 위해서는 사람들의 실제 대화를 반영한 학습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기존 데이터셋은 질문-답변 형식이 아니거나 존대어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친근감을 느끼기 어려운 문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수집한 30,767개의 질문-답변 문장 쌍으로 구성된 대화 데이터셋(KOMUChat)을 구축하여 제안한다. 본 데이터셋은 각각 남성, 여성이 주로 이용하는 연애상담 게시판의 게시물 제목과 첫 번째 댓글을 질문-답변으로 수집하였다. 또한, 자동 및 수동 정제 과정을 통해 혐오 데이터 등을 제거하여 양질의 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KOMUChat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언어 모델에 본 데이터셋과 벤치마크 데이터셋을 각각 학습시켜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답변의 적절성, 사용자의 만족감, 대화형 인공지능의 목적 달성 여부에서 KOMUChat이 벤치마크 데이터셋의 평가 점수를 상회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제시된 오픈소스 싱글턴 대화형 텍스트 데이터셋 중 가장 대규모의 데이터이며 커뮤니티 별 텍스트 특성을 반영하여 보다 친근감있는 한국어 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온라인 커뮤니티 간 공존: 생태학적 관점의 에이전트 기반 시뮬레이션 (The Coexistance of Online Communities: An Agent-Based Simulation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 ;한정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115-136
    • /
    • 2017
  • 온라인 커뮤니티는 우리 일상생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수없이 많은 온라인 커뮤니티가 존재하지만, 그 가운데 소수의 커뮤니티만이 다수의 사용자를 끌어들이는 데 성공하고 압도적인 대다수의 커뮤니티는 생존하기 위해 분투하는 롱테일 현상(long tail phenomenon)이 나타나고 있다. 다양한 온라인 커뮤니티가 공존할 수 있고, 실제로 공존하게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를 지속적으로 끌어들이고 커뮤니티를 성공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이해할 필요가 있다. 공존 문제는 조직생태학 관련 문헌에서 심도 있게 다뤄져 왔다. 그러나 온라인 커뮤니티와 전통적인 조직 사이에 유사점과 함께 차이점도 있다는 점을 감안해 조직 이론을 온라인 세계에 직접 적용할때 유의해야 한다. 본 연구는 Davids et al.(2007)이 제시한 로드맵에 따라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선행 연구를 토대로 새로운 이론을 개발하고자 한다. 서로 공존하는 커뮤니티 두 곳을 설정하여 연구를 실시한 결과, 커뮤니티의 규모와 참여 비용이 커뮤니티 발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커뮤니티가 클수록 자주 접속하는 적극적인 사용자가 더 많이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참여 비용이 낮을수록 가입자들이 게시물을 읽고 게재하는 활동이 활성화된다. 이와 함께 관심사 분포가 커뮤니티의 주제 트렌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단일 주제에 집중하는 집단의 경우, 주제가 초기에 광범위했는지 협소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커뮤니티는 신속하게 해당 주제 쪽으로 모여들 수 있다. 이 같은 시뮬레이션 모델은 연구문헌에 이론적인 시사점을 제시하는 동시에, 온라인 커뮤니티 운영자들에게도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해 준다.

Big Data and Knowledge Generation in Tertiary Education in the Philippines

  • Fadul, Jose A.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3권1호
    • /
    • pp.5-18
    • /
    • 2014
  • This exploratory study investigates the use of a computational knowledge engine (WolframAlpha) and social networking sites (Gmail, Yahoo and Facebook) by 200 students at De La Salle-College of Saint Benilde, their "friends" and their "friends of friends" during the 2009 through 2013 school years, and how this appears to have added value in knowledge generation. The primary aim is to identify what enhances productiveness in knowledge generation in Philippine Tertiary Education.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is used, therefore there are no specific research questions or hypotheses proposed in this paper. Considering that knowledge generation is a complex phenomenon, a stochastic modelling approach is also used for the investigation that was developed specifically to study un-deterministic complex systems. A list of salient features for knowledge generation is presented as a result. In addition to these features, various problem types are identified from literature. These are then integrated to provide a proposed framework of inclusive (friendly) and innovative social networks, for knowledge generation in Philippine tertiary education. Such a framework is necessarily multidisciplinary and useful for problem-solving in a globalized and pluralist reality. The implementation of this framework is illustrated in the three parts of the study: Part 1: Online lessons, discussions, and examinations in General Psychology, Introduction to Sociology, and Life and Works of Jose Rizal, for the author's students in De La Salle-College of Saint Benilde; Part 2: Facebook Report analytics of students and teachers, their friends and their friends of friends via WolframAlpha; and Part 3: Social Network Analysis of the people and groups influencing the courses' scope-and-sequence in the new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Tertiary Schools and Institutions in the Philippines.

소셜 미디어 분석을 통한 음악 추천 모델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usic recommendation model through social media analytics)

  • 정경록;박구락;박상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214-220
    • /
    • 2021
  • 스마트폰이 빠르게 보급되면서 음악을 생활 속의 배경음악처럼 항상 모든 곳에서 듣는 것이 일반화되어 개인의 상황과 조건에 맞는 추천을 할 수 있는 음악 데이터베이스를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미디어를 통한 음악추천 모델을 제안한다. 소셜 미디어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음악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하고 기존의 음원 제공 플랫폼이 주로 사용하는 협업필터링과는 다른 방식으로 음악을 분류한다. 웹크롤링으로 음악 제목이 해시 태그로 달린 게시글을 찾아 해당 글에 함께 달린 다른 해시 태그들을 수집하고 분류하여 실제 청취자의 음악에 관한 의견을 데이터베이스에 사용한다. 소셜 미디어를 작성할 때의 감정, 상황, 시간대, 날씨 등 많은 조건이 해시 태그에는 포함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사람의 의견이 집단지성으로 반영된 소셜 미디어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Internet search analytics for shoulder arthroplasty: what questions are patients asking?

  • Johnathon R. McCormick;Matthew C. Kruchten;Nabil Mehta;Dhanur Damodar;Nolan S. Horner;Kyle D. Carey;Gregory P. Nicholson;Nikhil N. Verma;Grant E. Garrigues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6권1호
    • /
    • pp.55-63
    • /
    • 2023
  • Background: Common questions about shoulder arthroplasty (SA) searched online by patients and the quality of this content are unkn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cover questions SA patients search online and determine types and quality of webpages encountered. Methods: The "People also ask" section of Google Search was queried to return 900 questions and associated webpages for general, anatomic, and reverse SA. Questions and webpages were categorized using the Rothwell classification of questions and assessed for quality using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JAMA) benchmark criteria. Results: According to Rothwell classification, the composition of questions was fact (54.0%), value (24.7%), and policy (21.3%). The most common webpage categories were medical practice (24.6%), academic (23.2%), and medical information sites (14.4%). Journal articles represented 8.9% of results. The average JAMA score for all webpages was 1.69. Journals had the highest average JAMA score (3.91), while medical practice sites had the lowest (0.89). The most common question was, "How long does it take to recover from shoulder replacement?" Conclusions: The most common questions SA patients ask online involve specific postoperative activities and the timeline of recovery. Most information is from low-quality, non-peer-reviewed websites, highlighting the need for improvement in online resources. By understanding the questions patients are asking online, surgeons can tailor preoperative education to common patient concerns and improve postoperative outcomes. Level of evidence: IV.

팬데믹 기간 Messenger 애플리케이션 리뷰 변화를 통한 서비스 전략 분석 : 토픽 모델링을 중심으로 (Analysis of service strategies through changes in Messenger application reviews during the pandemic: focusing on topic modeling)

  • 이유나;노미진;김양석;한무명초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6호
    • /
    • pp.15-26
    • /
    • 2023
  • COVID-19 팬데믹 영향으로 대면 소통이 어려워지면서 비대면 소통의 영향을 파악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리뷰를 통해 이를 살펴본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는 구글 플레이 스토어 내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리뷰 데이터를 수집하여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토픽 모델링을 통해 팬데믹의 영향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서비스 전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에서는 팬데믹이 시작된 시점과 사용자가 부여한 평점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주로 중장년층이 메신저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팬데믹 이후에는 가족과의 소통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용자들은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에 대해 불만을 표현하였으며, 변화에 대한 적응이 어려움을 보였다. 이에 업데이트 주기를 조정하고 사용자들의 의견을 적극 수용하는 개발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직관적이고 간편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한다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