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ntadecanoic acid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산 털목이버섯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Korean Auricularia polytricha (Mont.) sacc. Mushroom)

  • 이재곤;도재호;성현순;이종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6호
    • /
    • pp.546-548
    • /
    • 1995
  • 건조 털목이버섯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SDE 방법으로 정유성분을 분리한 다음 GC-MS를 이용하여 성분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30개의 휘발성 향기성분중 acid 11종류, alcohol 10종류, aldehyde 5종류, ketone 3종류, 기타 1종류였다. 건조된 털목이 버섯의 주요 향기성분은 hexadecanoic acid(16.74%), benzeneethanol(7.77%), pentadadecanoic acid(7.59%), dihydro-5-pentyl-2(3H)-furanone(4.28%), tetradecanoic acid(3.37%), pentanoic acid(3.68%), 1-octen-3-ol(1.26%)등이 확인되었다.

  • PDF

재래식 메주 및 된장의 향기성분 (Flavor Compounds of Domestic Meju and Doenjang)

  • 김경업;김미혜;최병대;김태수;이종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57-565
    • /
    • 1992
  • 재래식 메주 및 된장의 발효숙성중 생성되는 향기성분을 분석하기위하여 Nickerson 형의 연속증류추출장치를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추출하고 이를 중성, 염기성, 페놀성 및 산성 분획분으로 분획하여 판넬 시험의 결과 중성 분획분에서는 구수한 냄새가 염기성 분획부네서는 자극취와 볶은콩냄새, phenol성 분확분에서는 의약품냄새 그리고 산성 분획분에서는 산패취가 나타났다. 각 분획분의 성분을 GC-MS로 분석 동정된 향기화합물은 peak 면적 %로 나타내었다. 중성 분획분에서 64종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는데 삶은 콩에서는 pentanal, hexanal 및 1-octene-3-ol 등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메주에서는 3-methylbutanal과 1-butanol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숙성전 된장에서는 메주에서 검출되지 않았던 Acetic acid ethylester를 비롯한 많은 종류의 화합물이 동정되었으며 숙성후 된장의 주된 휘발성 화합물은 3-methyl-1-butanol, 2-furancarboxyaldehyde, 1-octen-3-ol, benzeneacetaldehyde, methyloctadecadienoate 및 methyloctadecenoate 등이었다. 염기성 분획분에서 동정된 11종의 화합물중에서 2,6-dimethylpyrazine, trimethylpyrazine 및 tetramethylpyrazine 등이 메주와 된장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Phenol성 분획분에서 9종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는데 phenol과 p-ethylguaiacol의 함량은 삶은 콩에서 나타났고 메주와 된장에서는 4-vinylphenol과 p-ethyl-guaiacol의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산성 분획분에서 동정된 15종의 화합물중에서 ethanoic acid와 hexanoic acid는 모든 시료에서 propanoic acid와 pentanoic acid는 삶은 콩과 메주에서만 동정되었으며 숙성후의 된장에서는 다른 시료에서 동정되지 않았던 10개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는데 특히 pentadecanoic acid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 PDF

한국산(韓國産) 고등균류(高等菌類)의 성분(成分) 연구(硏究)(제31보)(第31報)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the Higher Fungi of Korea(XXXI))

  • 이정옥;김성훈;강창율;김성원;최응칠;김병각
    • 한국균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9-101
    • /
    • 1981
  • Attempts were made to investigate on the fatty acids of Lentinus lepideus Fr. Fats were extracted from its carpophores and saponified with alcoholic potassium hydroxide. Isolated fatty acids were methylated and were subjected to column chromatography and GLC. Six saturated fatty acids, i.e., dodecanoic, tridecanoic, tetradecanoic, pentadecanoic, hexadecanoic and octadecanoic acids were identified. Especially myristic acid was abundant. Four unsaturated fatty acids, i.e., hexadecadienoic, oleic, linoleic, linolenic acids, were identified. Especially oleic and linoleic acid were abundant.

  • PDF

I-123 표지 지방산의 체내 분포 및 대사(I) : [I-123]15-(p-iodophenyl)pentadecanoic acid(IPPA) (Biodistribution and Metabolism of I-123 Labelled Fatty Acid(I) : [I-123]15-(p-iodophenyl)pentadecanoic acid(IPPA))

  • 장영수;이동수;정재민;서용섭;정준기;이명철;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0-60
    • /
    • 1998
  • 국내에서 제조한 I-123-IPPA의 안정성 및 동물체내 분포와 대사, 그리고 SPECT 영상 분석 방법을 연구하였다. I-123-IPPA의 안정성을 보기 위하여 사람 및 랫트와 마우스 혈청과 반응시킨 후 1 시간 동안 관찰한 결과 I-123이 유리되지 않았다. 마우스에 I-123-IPPA 투여 후 장기를 적출 하여 본 체내 분포는 심장의 단위무게당 섭취는 5분에 14.5%ID/g 기관당 섭취는 1.9%ID/organ 이었다. 주사량 대비 심장 섭취율은 주사 60분에 처음의 1/4-1/6로 줄었다. 심근대 혈액 비와 심근 대 폐와 심근 대 간 섭취 비는 I-123-IPPA 투여 후 처음 5분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계속 감소하였다. 랫트에 I-123-IPPA를 투여한 후 혈액과 소변 크로마토그라피에는 I-123-IPPA가 15-20분 후에 혈액이나 소변 중에 I-123-IPPA는 거의 남지 않고 여러 중간 물질이 되었다. 심근경색 실험견에 경색을 만들기 전과 후에 시행한 심근 동적 SPECT에서 정상 심근은 I-123-IPPA가 섭취되었다가 제거되는 모습으로, 경색 부위는 I-123-IPPA의 섭취 결손으로 보였다. 심근의 I-123-IPPA SPECT에 보이는 결손은 Tc-99m-MIBI SPECT와 F-18-FDG PET에 보이는 결손과 비슷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원자력병원 싸이클로트론 응용 연구실에서 제조한 I-123-IPPA가 심근 질환의 대사를 평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 PDF

개체별 땀의 성분분포에 관한 연구 (Study on individual characterization of sweat components)

  • 최미정;하재호;유석;박성우
    • 분석과학
    • /
    • 제20권5호
    • /
    • pp.434-441
    • /
    • 2007
  • 본 연구는 땀 성분 중 지방산 조성에 관한 연구로서 한국인의 땀 중 지방산의 조성을 확인하여 지문을 비롯한 현장증거물의 효율적인 검색기법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남성 5인을 대상으로 땀 시료를 얻고 지방산 37종의 methylester형태를 표준물질로 하여 GC-FID를 사용하여 조성비를 확인해 본 결과 20-30대 연령의 총지방산 함량은 56.4-72.0 %, 50대연령의 제공자의 경우 32.4-45.4%로 연령의 증가에 따른 총지방산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땀으로 배출되는 지방산으로는 총 28종이 검출되었고 C16:0 (palmitic acid), C16:1 (palmitoleic acid), C18:1n9c (oleic acid), C18:0 (stearic acid), C14:0 (tetradecanoic acid) 5종이 10-45%를 차지하면서 주성분임을 확인하였고 그 외의 C12:0 (lauric acid), C15:0 (pentadecanoic acid), C18:2n6c (linoleic acid), C18:2n6t (linolelaidic acid), C20:0 (arachidic acid), C24:0/C20:5n3 (lignoceric acid/eicosapentaenoic acid)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특히 C14:1 (myristoleic acid), C15:1 (pentadecenoic acid), C21:0 (heneicosanoic acid), C22:1n9 (erucic acid) 등의 지방산은 개체별 특이한 검출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에 있어서는 0.94:1에서 2.6:1의 비율을 보이면서 개인에 따라 큰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연령증가에 따른 총지방산의 감소는 주로 포화지방산과 단일불포화지방산의 배출감소에 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땀 중 아미노산의 경우 serine ($0-31.9{\mu}L/mL$), glycine ($0-18.9{\mu}L/mL$), threonine ($0-26.2{\mu}L/mL$)이 주로 검출되고 특히 20-30대 연령이면서 단백질의 섭취율이 높은 개체에서의 함량이 10배 이상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여 땀으로 배출되는 아미노산의 개체별 조성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Novel polymorphisms of dopa decarboxylase gene and their association with lamb quality traits in Indonesian sheep

  • Ratna Sholatia Harahap;Ronny Rachman Noor;Yuni Cahya Endrawati;Huda Shalahudin Darusman;Asep Gunawan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6호
    • /
    • pp.840-850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olymorphisms of the dopa decarboxylase (DDC) gene and association analysis with lamb quality and expression quantification of the DDC gene in phenotypically divergent Indonesian sheep. Methods: The totals of 189 rams with an average body weight of 24.12 kg at 10 to 12 months were used to identify DDC gene polymorphism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Among 189 rams, several rams representing various sheep genotypes were used for an association study between genotypes and phenotypic traits with proc general linear model (GLM) analysis. In addition, the gene expression analysis of the DDC mRNA in the phenotypically divergent sheep population was analyzed using quantitative reverse-transcription PCR. Results: The DDC gene (g. 5377439 G>A) showed polymorphisms that indicated three genotypes: AA, AG, and GG. The DDC gene polymorphism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p≤0.05) with carcass characteristics including carcass percentage, carcass length, hot and cold carcass; physical properties of lamb quality including pH value; retail cut carcass; fatty acid composition such as fat content, pentadecanoic acid (C15:0), tricosylic acid (C23:0), lignoceric acid (C24:0), oleic acid (C18:1n9c), elaidic acid (C18:1n9t), nervonic acid (C24:1), linoleic acid (C18:2n6c), arachidonic acid (C20:4n6), cervonic acid (C22:6n3); and mineral content including potassium (K). The GG genotype of the DDC gene had the best association with lamb quality traits. The DDC gene expression analysis mRN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lamb quality traits. Conclusion: The DDC gene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candidate gene to improve lamb quality.

Seasonal variation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various parts of broccoli cultivars

  • Bhandari, Shiva Ram;Park, Mi Young;Chae, Won Byoung;Kim, Dae-Young;Kwak, Jung-Ho
    • 농업과학연구
    • /
    • 제40권4호
    • /
    • pp.289-296
    • /
    • 2013
  • To evaluate seasonal variation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broccoli, 12 commercial cultivars of broccoli were grown in spring and fall season at the field of NIHHS, and their floret, leaf and stem parts were used for the fatty acid composition analyses. Among 14 fatty acids detected in broccoli, linolenic, palmitic and linoleic acids were major fatty acids comprising more than 80% of total fatty acids in both the seasons and all the parts. Likewise, stearic and oleic acids were also present in considerable amount while remaining fatty acids; caproic, lauric, myristic, pentadecanoic, palmitoleic, heptadecanoic, arachidic, behenic and lignoceric acids showed their minor compositional ratio. Among the three parts, stem exhibited highest SFAs (49.681% in spring and 50.717% in fall season) compared to MUFA and PUFA, while highest compositional ratio of PUFAs were observed in leaves (62.588% in spring and 68.931% in fall season), which indicates leaves as a good source of health beneficial fatty acids. In contrast, floret part exhibited highest SFA (48.786%) and PUFA (57.518%) in spring and fall seasons, respectively. Major fatty acids; palmitic, linoleic and linolenic acid showed lowest cultivar dependent variation (below 10%) and leaf showed least variation in both the seasons compared to floret and stem. Our results suggest that all the fatty acids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genotype of cultivars (C), plant parts (P) and growing seasons (S). Among the 14 fatty acids, myristic and palmitic acid showed highest positive or negative correlationship with oleic (r=$0.912^{**}$) and linolenic acid (r=-$0.933^{**}$), respectively. The most abundant fatty acid, linolenic acid, showed either negative or no correlation ship with other fatty acids while palmitic acid, a second major fatty acid, exhibited either positive or negative correlation ship.

Changes in the Total Lipid, Neutral Lipid, Phospho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hospholipid Fractions during Pastirma Processing, a Dry-Cured Meat Product

  • Aksu, Muhammet Irfan;Dogan, Mehmet;Sirkecioglu, Ahmet Necdet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8-28
    • /
    • 2017
  • Pastirma is a dry-cured meat product, produced from whole beef or water buffalo muscl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duction stages (raw meat, after curing, after $2^{nd}$ drying and pastirma) on the total lipid, neutral lipid, phospho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hospholipid fraction of pastirma produced from beef M. Longissimus dorsi muscles. The pH and colour ($L^*$, $a^*$ and $b^*$) analyses were also performed in raw meat and pastirma. It was found that pastirma production stages had significant effects (p<0.01) on the total amounts of lipid, neutral lipid and phospholipid, and the highest amounts of lipid, neutral lipid and phospholipid were detected in pastirma. In pastirma, neutral lipid ratio was determined as $79.33{\pm}2.06%$ and phospholipid ratio as $20.67{\pm}2.06%$. Phospholipids was proportionately lower in pastirma than raw meat. Pastirma production stages affected pentadecanoic acid (15:1) (p<0.01), linoleic acid (18:2n-6) (p<0.05), ${\gamma}-linoleic$ acid (18:3n-6) (p<0.05), erucic acid (22:1n-9) (p<0.05), docosapentaenoic acid (22:5n-6) (p<0.05), total unsaturated fatty acid (${\Sigma}USFA$) (p<0.05) and total saturated fatty acid (${\Sigma}SFA$) (p<0.05) ratios of phospholipid fraction and also the moisture content (p<0.01). Pastirma process also affected pH and colour ($L^*$, $a^*$ and $b^*$) values (p<0.01), and these values were higher in pastirma than raw meat.

비파잎의 이화학적 성분과 항산화효과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 황윤경;이재준;김아라;이명렬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625-1633
    • /
    • 2010
  • 비파잎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비파잎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효능을 검증하여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파잎의 일반성분은 건량 기준(dry basis)으로 수분 함량 5.78%, 조단백질 6.74%, 조지방 7.87%, 조회분 6.99%, 식이섬유소 43.61%, 탄수화물 29.01%를 함유하였다. 비파잎의 구성당은 총 4종 검출되었으며 이중 rhamnose가 3,391.84 mg/l로 제일 많이 검출되었으며, galactose 663.27 mg/l, glucose 651.65 mg/l, lactose 662.40 mg/l 검출되었다. 비파잎의 유리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함량이 11.30 mg%로 가장 높았으며, asparagine 9.02 mg%, $\gamma$-amino-n-butyric acid 8.30 mg%, alanine 4.53 mg%, phosphoserine 3.77 mg%, aspartic acid 3.23 mg%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구성 아미노산의 경우 histidine 함량이 501.26 mg%로 가장 높았으며,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50.15%로 높게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은 stearic acid가 41.54%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lauric acid 12.00%, myristic acid 11.13%, pentadecanoic acid 41.54% 순으로 검출되었다. 불포화지방산은 oleic acid 만 검출되었으며, 총 지방산 함량의 27.9%를 함유하고 있었다. 비타민 A는 0.039 mg%, 비타민 E는 0.096 mg%, 비타민 C는 0.575 mg%로 검출되었다. 무기질은 Ca 함량이 1,892.60 mg%, K 함량이 1,244.90 mg%로 많이 검출되었다. 다음으로 Mg, Na, Mn, Zn 순이었고, Cu 함량은 미량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파잎의 유기산은 succinic acid 함량이 24,343.57 mg/l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citric acid 2,964.87 mg/l, maleic acid 2538.59 mg/l 순으로 검출되었다.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의 기능성을 측정한 결과 총 polyphenol 함량은 500 ppm에서 15.77 mg/ml, 1,000 ppm에서 32.32 mg/ml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1,000 ppm에서 약 2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총 flavonoid 함량은 500 ppm에서 15.58 mg/ml, 1,000 ppm에서 28.65 mg/ml으로 나타났다. 비파잎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500 ppm에서 68.26%, 1,000 ppm에서 80.53% 소거능을 보였으며, 이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도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1,000 ppm에서 대조구인 500 ppm BHT 및 BHA와 비슷한 수준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비파잎은 필수아미노산 및 항산화 비타민,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및 DPPH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비파잎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 개발가치가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적변인삼의 화학적 성분에 관한 연구 (Chemical Components of Rusty Root of Ginseng)

  • 이태수;목성균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77-83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emical components of rusty root for seeking the cause of rust. Na, Fe contents were higher in various tissues of six-year-old rusty root than healthy root. Contents of total sugar in epidermis of rusty root was low but crude lignin and suborn contents were high. Crude lipid content increased with the rate of rusty symptoms in each part of root respectively. Pentadecanoic, stearic, oleic, lignoseric acid contents increased in cortex of tap root with the rate of rusty symptoms but decreased in pith. Total ginsenoside and crude saponin contents increased , in pith and cortex of tap root with the rate of rusty symptoms but decreased in lateral and fine roo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