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ntadecanoic acid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5초

Bioluminescent Assay of ${\alpha}$-Oxidase from Cucumis sativus using Bacterial Luciferase-Coupled Reaction

  • Cho, Ki-Woong
    • BMB Reports
    • /
    • 제33권4호
    • /
    • pp.353-357
    • /
    • 2000
  • A new assay method of ${\alpha}-Oxidase$ (fatty acid : oxygen dioxygenase, 1-decarboxylating) was developed using a bioluminescence reaction system of marine luminous bacterium, Photobacterium phosphoreum. ${\alpha}$-Oxidase was isolated from a cucumber (Cucumis sativus). Pentadecanoic acid was used as a substrate, and the product, tetradecanal, was analyzed with a bacterial luciferase-coupled reaction. Initial light intensity was directly related to the concentration of tetradecanal in the range of 1 nM to 10 ${\mu}M$. Optimal pH and temperature were 7.5 and $25^{\circ}C$, respectively. Optimal pentadecanoic acid concentration in a standard assay of ${\alpha}$-oxidase was 0.1 mM. The Km value of pentedecanoic acid was $85{\mu}M$. This method is straightforward, rapid, convenient, and easy. Its needs no treatment or extraction of reaction mixture.

  • PDF

Purificatio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of Antifungal Phospholipids from a Marine Streptomyces

  • Cho, Ki-Woong;Seo, Young-Wan;Yoon, Tae-Mi;Shin, Jong-He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6호
    • /
    • pp.709-715
    • /
    • 1999
  • A series of antifungal compounds were obtained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the mycelium from marine actinomycetes M428 which was identified as a Stereptomyces species by fatty acid composit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These compounds were purified by combined chromatographic techniques and the structures were characterized with spectroscopic methods including 1D and 2D NMR, and mass spectrometry as sn-l lysophosphatidyl inositols. The side chains were established by chemical degradation followed by GC analysis to be 14-methyl pentadecanoic acid (iso-palmitic acid, i-C16:0, compound A) and 13-methyl tetradecanoic acid (iso-pentadecanoic acid, i-C15:0, compound B). These compounds displayed highly selective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 albicans with MIC values of $5{\;}\mu\textrm{g}/ml$ (compound A) and $2.5{\;}\mu\textrm{g}/ml$ (compound B), while it had almost negligible antibiotic activity against E. coli and P aerogenosa with MIC value higher than $50{\;}\mu\textrm{g}/ml$ and no cytotoxic activities against human myeloma leukemia K562 ($IC_{50}>100{\;}\mu\textrm{g}/ml$).

  • PDF

상백피 추출물이 미생물의 균체성분 및 형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eatment with the Extract from the Root Bark of Morus alba on the Cell Composition and the Shape Change of Microorganisms)

  • 박욱연;성희경;목종수;장동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47-153
    • /
    • 1995
  • The ethanol extract from the root bark of Morus alba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on the growth of almost all the tested microorganisms which were food-borne pathogens and food-related microorganisms. Therefore, fatty acid composition, amino acid composition and shape change of microorganisms treated with the ethanol extract from the root bark of Morus alba were examined. In effects of treatment with the ethanol extract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B. subtilis, S. aureus and E. coli, fatty aicd compositions such as hexadecanoic acid (16:0) and octadecanoic acid (18:2) of the tested strains were increased but pentadecanoic acid (15:0) heptadecanoic acid (17:0) and acid (16:1) and octadecenoic acid (18:1) of E. coli were decreased. The ethanol extrac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aminn acid composition of the tested strains.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s of microorgani는 treated with the ethanol extract exhibited morphological changes that irregularly contracted cell surface in S. aureus and destructed cell walls in B. subtilis and E. coli.

  • PDF

가열 및 건조방법이 새우의 극성지방질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oking and Drying Methods on the Polar Lipids Composition of Shrimp)

  • 김현구;조길석;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5-30
    • /
    • 1989
  • 가열처리 및 건조방법이 새우의 극성지방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하였다. 새우중의 당지방질의 주요성분은 esterified steryl glycoside, monogalactosyl diglyceride 및 steryl glycoside 이었으며, 열풍건조한 것은 동결건조한 것보다 esterified steryl glycoside 함량은 유의적으로 많은 반면에 monogalactosyl diglyceride 함량은 적었다. 새우중의 인지방질의 주요성분은 phosphatidyl enthanolamine, 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ic acid, phosphatidyl inositol, phosphatidyl serine 이었으며, phosphatidic acid 함량은 가열처리 하지 않고 열풍건조한 것은 8.3%, 동결건조한 것은 5.9%로서 전자가 후자보다 유의적으로 많았고, phosphatidyl ethanolamine 함량은 마이크로파 처리 할 경우 동결건조한 것은 열풍건조한 것보다 그 함량이 많은 반면에 phosphatidyl choline함량은 적었다. 생새우의 당 및 인지방질 획분의 주요 지방산은 pentadecano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nervonic acid 및 eicosapentaenoic acid 이었다.

  • PDF

유류된 잠재지문의 지방산조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fatty acids composition by latent fingerprint deposition)

  • 최미정;하재호;박성우
    • 분석과학
    • /
    • 제21권3호
    • /
    • pp.212-221
    • /
    • 2008
  • 사건현장에 잔류하는 잠재지문의 효과적인 탐색 및 감식을 위한 자료를 얻고자 비다공성 증거물에 잔류된 잠재지문의 지방산 조성분석을 실시하고 7개월간의 지문유류에 따른 조성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문시료는 한국인 29-50 세 남성 8인과 여성(36 세) 1명으로부터 제공받았다. 모든 지문에서는 lauric acid (C12:0), myristic acid (C14:0), palmitic acid (C16:0), stearic acid (C18:0), elaidic acid (C18:1n9t), oleic acid (C18:1n9c), linoleic acid (C18:2n6c), arachidic acid (C20:0), linolenic acid (C18:3n3), erucic acid (C22:1n9)와 docosadienoic acid (C22:2)의 11종의 지방산이 검출됨을 확인하였고, palmitic acid (35.45-48.37%), oleic acid (14.84-28.49%), stearic acid (9.71-24.96%)와 linoleic acid (7.68-18.85%)가 확인된 지방산조성의 75%이상을 차지하여 주요 구성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7개월간 온도 $20-25^{\circ}C$, 습도 40-50%의암실환경에서의장기간유류에따라총지방산의함량이 12-25% 감소하였으며, 이는 elaidic acid (C18:1n9t), arachidic acid (C20:0), linolenic acid (C18:3n3), erucic acid (C22:1n9), docosadienoic acid (C22:2)의 장쇄지방산들의 소실과 단쇄지방산인 myristic acid (C14:0), myristoleic acid (C14:1), pentadecanoic acid (C15:0)의 생성에 따른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창포(Acorus calamus L. )뿌리 건조분말의 식품학적 성분 (II)지방산, 유기산, 무기질, 비타민 C, 총페놀 및 사포닌 (Food Nutritional Compositions in Dried Powder of Root of Acorns calamus L. (II) Fatty Acids, Organic Acids, Minerals, Vitamin C, Total Phenolics and Saponin)

  • 김준한;구건효;김종국;이진만;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80-384
    • /
    • 2002
  • 창포의 뿌리를 주근(main root)과 측근(lateral root)으로 분리하여 3$0^{\circ}C$ 열풍건조분말의 주된 포화지방산으로는 caprylic acid, pentadecanoic acid, stearic acid 및 heneicosanoic acid 등 10종이 확인되었고, 이들은 각각 주근과 측근의 경우 caprylic acid가 28.35%, 31.44%이었고, 불포화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 palmitoleic acid 및 linolenic acid 등 6종이 확인되었고 이들 중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인 linoleic acid가 주근에 25.55%, 측근에 23.43%가 함유되어 있었다. 주요 유기산으로는 주근과 측근에 succinic acid, malic acid 및 citric acid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특히 succinic acid가 주근과 측근에서 각각 2,790 mg%, 2,630 mg%로 높은 함량을 함유하고 있었다. 무기질로는 K, Ca, p, Mg, Na, Fe, Zn, Mn, Cu 등 9종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창포뿌리의 주된 무기질로 확인된 K의 함량은 측근에 454 mg%로 주근의 194 mg% 보다 매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Ascorbic acid 함량은 주근과 측근에 각각 113.8 $\mu\textrm{g}$/g, 125.1 $\mu\textrm{g}$/g을 함유하고 있었고, 총페놀성 물질 함량은 주근에 463 mg%, 측근에 474 mg%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으며 조사포닌의 함량은 주근에 2.51%, 측근에 3.39%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한국산 해면의 지질 성분 연구 (Lipids Constituents of the Korean Marine Sponges)

  • 김인규;박선구;박성혜;장성근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5-89
    • /
    • 1991
  • 한국 남해안 소흑산도에서 채집한 해면 V.japonica H.로부터 통상적인tetradecanoic 및 hexadecanoic methyl ester 이외에 탄소가 홀수인 pentadecanoic, heptadecanoic methyl ester와 가지달린 12-methyltetradecanoic, 14-methylpentadecanoic, 15-methylhexadecanoic 및 14-methylhexadecanoic methyl ester가 발견되었으며, 주 sterol 성분으로는 cholesterol과 소량의 ergost-25-ene-3,5,6-triol이 검출되었다. 한편, 여수 돌산도에서 채집한 해면 H.sinapium의 주 sterol성분은 5${\alpha}$-cholestan-3${\beta}$-ol이었고 cholesterol은 소량으로 얻어졌다. 지방산으로는 팔미틴산, 팔미토레인산, 올레인산, 스테아린산 및 리놀레인산 에틸에스터 이외에 상당량의 arachidonic산 에틸에스터가 함유되어 있었다. 상기 지역에서 채집한 또 다른 해면에서는 상당량의 tetradecanoic tetradecyl 및 hexadecyl ester와 sterol 성분으로 cholesteryl acetic 및 fatty acid ester가 함유되어 있었다.

  • PDF

모시잎의 이화학적 성분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Ramie Leaves (Boehmeria nivea L.))

  • 박미란;이재준;김아라;정해옥;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53-860
    • /
    • 2010
  • 모시잎 분말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모시잎 분말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수분 함량 5.42%, 조단백질 28.15%, 조지방 6.95%, 조회분 15.27% 및 탄수화물 54.79%를 함유하였다. 총식이섬유소 함량은 39.66 g/100 g이며, 그 중 불용성 식이섬유소와 수용성식이섬유소 함량은 각각 20.32 g/100 g와 19.34 g/100 g로 나타났다. 구성당은 glucose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lactose, galactose 순으로 총 3종이 검출되었다. 구성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함량이 2,432.53 mg%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glutamic acid, leucine, histidine, phenylalanine, valine, alanine 순이었다. 유리 아미노산은 asparagine이 983.57 mg%로 가장 많아 총 유리 아미노산 함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그 외에는aspartic acid, ${\gamma}$-amino-n-butyric acid, valine, phenylalanine, alanine, threonine, phosphoserine 순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으로 구성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 함량은 caproic acid methyl ester가 58.23%, pentadecanoic acid가 41.77% 검출되었으며, 불포화지방산은 극미량으로 검출되었다. 비타민 함량 분석으로 항산화 비타민 A, E 및 C의 함량은 각각 0.0194 mg%, 0.0184 mg% 및 0.1833 mg%로 검출되었으며, 비타민 C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을 분석한 결과, Ca 함량이 3,135.20 mg%로 가장 많았으며, K이 1,434.60 mg%였고 다음으로 Mg, Na, Mn, Fe, Zn, Cu 순으로 검출되었고 Zn과 Cu의 함량은 미량으로 나타났다. 유기산은 총 3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succinic acid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citric acid, male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천마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nstituents in the Rhizoma of Gastrodia elata)

  • 김용규;이종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5호
    • /
    • pp.455-458
    • /
    • 1997
  • Crude oils in the rhizoma of fresh and dried Gastrodia elata were obtained by a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SDE) method using n-pentane/diethyl ether (1 : 1) as solvent, and their volatile constituent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GC/MS) A total of 39 volatile flavor constituents (11 acids, 13 alcohols,6 hydrocarbons,7 carbonyls,2 esters) and 25 constituents (6 alcohols, 13 acids, 4 hydrocarbons, 1 carbonyl, ester) were identified in the fresh and dried Gastrodia elate respectively. The major volatile components of the fresh and dried sample were hexadecanoic acid(66.78%, 50.72%), 9-hexadecenoic acid(8.07%, 9.58%), heptadecanoic acid(2.01%, 0.13%), pentadecanoic acid(6.41%, 4.94%), p-cresol(1.43%,0.52%) and cyclododecene(1.83%, 6.00%).

  • PDF

여름 느타리 버섯 (Pleurotus sajor-caju) 저장중의 향기성분 변화 (Changes of Volatile Components of Pleurotus sajor-caju During Storage)

  • 정순택;홍재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92-298
    • /
    • 1991
  • Simultaneous distillation-extration method에 의해 국내에서 인공재배되고 있는 여름 느타리 버섯(Pleurotus sajor-caju)을 실온과 냉장하에서 저장하면서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리한 다음 GC-MS 및 GC에 의한 표준품과의 머무름시간 비교에 의해 향기성분의 변화를 검토하여 보았다. 총 aroma contentrates의 함량은 냉장 저장시는 큰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실온 저장시는 큰 감소의 경향을 보였다. 확인된 38종의 휘발성 화합물중 실온 저장시 ${\delta}-decalactone$만 약간증가하였으나 기타의 성분들은 현저히 감소한 반면 냉장 저장시는 2-methyl butanal, 1-octen-3-ol, cis,cis-1,5-octadien-3-ol, pentadecanoic acid등은 감소추세를 보였지만 3-octanone, 1-octen-3-one, 3-octanol, 5-undecanol등은 오히려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중량 감소와 관능적 특성은 실온 저장시 냉장 저장보다 심한 변화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