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naeus sp.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6초

양식 보리새우 Penaeus japonicus의 아가미에 기생하는 Leucothrix sp.에 대하여 (FUNGUS LEUCOTHRIX SP. GROWING ON THE GILLS OF CULTURED SHRIMP PENAEUS JAPONICUS)

  • 전세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21-124
    • /
    • 1980
  • Microscopical studies of Leucothrix sp. and its histological effect on the gill tissue of Penaeus japanicus have been made. Infection of Leucothrix sp. results in color change of the gills of the shrimp which is mainly due to the brown or black pigments of the filamentous bacteria. Higher degree of the infections makes necrosis and serious histological changes of the gill tissue and this infection affects the respiratory activity of the shrimp.

  • PDF

해양효모의 분류 1 (Studies on Yeasts Isolated from Marine Substrates (I))

  • 전순배
    • 미생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41-150
    • /
    • 1970
  • As a part of taxonomical and ecological studies on the yeasts in marine environments, several kinds of yeasts were isolated from Zostera marina several invertebrates (penaeus, Meretrix and Neptunus) and surface sea water, which are collected at the two established sites of estuarine areas ; Dolsan isaland in Youchun district and Baiksu-ri in Youngkwang district. The obtained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scosporgenous Yeasts. Hansenula sp I and Hansenula sp II were isolated from Zotera marina and Hanse nular sp I from penaeus. 2. Asporogenous Yeasts. Trichoporon fermentans, Torulopsis, ernobii and Toruopsis dattia were isolated from Zostera marina, Candida krusei from Meretrix and Neptunus, Torulopsis pinus from surface sea waters, and Phodotorula aurantiaca from Penaeus. 3. More notable isolations of several species from Zostera marina than the other sources could be assumed as related to the higher sugar concentration of this plant.

  • PDF

Preliminary Study on the Use of Bacillus sp., Vibrio sp. and Egg White to Enhance Growth, Survival Rate and Resistance of Penaeus monodon Fabricius to White Spot Syndrome Virus

  • Yusoff, F.M.;Shariff, M.;Lee, Y.K.;Banerjee,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10호
    • /
    • pp.1477-1482
    • /
    • 2001
  • Research in low cost feeds with high nutritional value and immunogenicity is important to reduce production cost and increase yields in the shrimp industry. In this study, immunostimulants of bacterial origin (peptidoglycan and lipopolysaccharides) and egg white were incorporated in shrimp diets as feed additives to determine the growth, survival and tolerance of Penaeus monodon to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Although the results obtained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among the treatments, shrimp fed with bacterial additives and egg white showed higher weight gain, specific growth rate and survival than those fed on commercial shrimp diet. Shrimp fed with artificial diet showed 100% mortality when challenged with WSSV. However, shrimp fed on peptidoglycan supplemented diet had higher survival than their counterpart, whereas shrimp fed on egg white supplemented diet had a higher specific growth rate and better tolerance when challenged with WSSV.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and optimization of bacterial strains and egg white as feed additives to increase production and enhance the shrimp immune response to diseases.

Bacillus sp. Mk22의 섭취가 Penaeus monodon 새우의 성장증진과 Vibrio parahaemolyticus와 흰반점바이러스(WSSV)의 감염 감소에 미치는 영향 (Growth Enhancement of Shrimp and Reduction of Shrimp Infection by Vibrio parahaemolyticus and White Spot Syndrome Virus with Dietary Administration of Bacillus sp. Mk22)

  • 세카르 아쇼크쿠마;파크얌 마야브;김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61-26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호염성 세균 Bacillus sp. Mk22를 사료에 섞어 투여함으로써 Penaeus monodon 새우의 성장증진과 Vibrio parahaemolyticus 와 흰반점바이러스(WSSV)의 감염 감소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새우는 45일 동안 3가지 먹이를 공급하였 는데, 무첨가(대조구), 시판 프로바이오틱, 그리고 Bacillus sp. Mk22이었다. 호염성세균 Mk22를 투여한 새우들은 다른 그룹들의 새우들보다 성장(7.1 ± 0.21 g), 생존율(94.3 ± 0.58%), 체중증가(178 ± 4.93 g), 그리고 감소된 사료전환효율(0.8 ± 0.03 g)을 보였다. Bacillus sp. Mk22를 투여한 새우들은 다른 그룹의 새우들보다 새우배양 수조안에서 낮은 비브리오 수자(0.02 ± 0.01 × 102 CFU/ml)를 보였다. 이 세 그룹의 새우들을 비브리오나 WSSV로 공격감염을 하였다. 비브리오 감영에서는, 시판 프로바이오틱그룹과 Mk22 그룹에서 배양수조의 물 감염과 경구투여감염에서 치사 새우가 없었다. WSSV 감염에 대해서는, Mk22 그룹의 경우 새우배양 수조 감염에서는 68%의 생존율과 경구투여 감염에서는 20% 생존율이 45일째에 관찰되었고, 대조구와 시판 프로바이오틱 그룹에서는 모두 훨씬 빠른 시간 내에 100% 사망률을 보였다. 산화적 스트레스의 표지인, catalase와 superoxide dismutase와 같은 항산화 효소 활성은 비브리오와 WSSV 감염된 Mk22 그룹 모두에서 다른 그룹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 사실은 Bacillus sp. Mk22는 산화적 스트레스 감소하는데 효과적이었고, 이는 감소된 감염효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양식(養殖)보리새우에 발생(發生)한 Vibrio병(病) (A Vibriosis Occurring in Cultured Kuruma prawn Penaeus japonicus)

  • 김진호;전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9
    • /
    • 1990
  • 새우 양식장(養殖場)에서 Vibrio병(病)으로 여겨지는 보리새우에서 분리(分離)한 6균주(菌株)를 검토(檢討)한 결과(結果) Vibrio sp.로 동정(同定)되었다. 분리균주(分離菌株)는 모두 같은 특징(特徵)을 나타내었으며 같은 군(群)으로 추정(推定)되었다. 분리균(分離菌)으로 보리새우에 재감염(再感染)시킨 결과(結果) 양식장(養殖場)의 병(病)든 새우와 같은 병리학적(病理學的) 변화(變化)를 나타내었다.

  • PDF

황해산 대하(Penaeus chinensis)의 계군분석을 위한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Mitochondrial DNA Analysis of the Fleshy Prawn (Penaeus chinensis) for Stock Discrimination in the Yellow Sea)

  • 황규린;이영철;장정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8-94
    • /
    • 1997
  • 황해 서식 대하(P. chinenesis) 각 개체군의 유전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미토콘드리아 DNA(mtDNA)를 추출한 후 BamHI등 15종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제한효소 절편 다형 현상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er-phisms; RFLPs)을 분석하였으며 보리새우 (P. japonicus)와의 염기 치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본 나가사키 1 집단의 절편 양상도 함께 분석하였다. 한국의 대천, 진도, 나로도 집단과 중국의 발해, 청도 집단 등 5개 집단을 분석한 결과, 대하에서는 3종의 haplotype이 발견되었으나 5개 집단 모두가 하나의 haplotype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타난 변이는 2종류로 Cla I과 Pvu II 인식부위가 부가된 변이가 청도와 나로도 집단에서 출현하였을 뿐 전 집단에 대한 나머지 13종의 제한 효소 절편 양상은 모두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보면 황해산 대하의 각 집단 사이에는 활발한 유전자 교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3개 계군에 대한 지금까지의 구분은 재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하와 보리새우의 mtDNA 공통절편을 이용한 p 값에 의한 염기치환은 $13.7\%$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한 효소별 절편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 대하의 mtDNA의 크기는 평균 16.44kb였고 보리새우는 약 16.31kb였다.

  • PDF

서해연안 조간대에 서식하는 비늘흰발망둑, Acanthogobius lurid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Acanthogobius luridus Inhabiting the Intertidal Zone of the Western Coast of Korea)

  • 김종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09-316
    • /
    • 2000
  • 조간대에서 서식하는 비늘흰발망둑의 섭식 생태를 파악하여 연안 생물 군집의 먹이 사슬에 관한 기초 지식을 얻고자, 1996년 7월부터 1997년 6월까지 충남 서천군 서면 도둔리에서 매월 1회씩 비늘흰발망둑을 채집하여 위 내용물 분석을 통해 섭식 생태를 조사하였다. 위 만복도는 하루 중 오전과 오후에 각각 한 차례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비늘흰발망둑(1.2~5.9cm SL)의 주요 먹이생물은 십각류(유영류 유생, 젓새우, 보리새우 및 보행류 유생), 단각류(카프렐라류, 옆새우류 및 하이페리아류), 요각류(Acartia sp., Calanus sinicus, Corycaeus affinis 및 Microsetella sp.) 등으로 식성이 육식성이었다. 그 외 등각류, 만각류 유생, 다모류 유생 및 구각류 등이 소량씩 위 내용물 중에서 발견되었다. 비늘흰발망둑이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비가 점차 변하였다. 체장이 작은 비늘흰발망둑은 요각류, 십각류 및 단각류 순으로 먹었으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요각류의 비율은 점차 낮아진 반면, 십각류와 단각류가 위 내용물 중 차지하는 비율은 점차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