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lvic radiu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8초

Sagittal Pelvic Radius in Low-Grade Isthmic Lumbar Spondylolisthesis of Chinese Population

  • Zhao, Yang;Shen, Cai-Liang;Zhang, Ren-Jie;Cheng, Da-Wei;Dong, Fu-Long;Wang, J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9권3호
    • /
    • pp.292-295
    • /
    • 2016
  •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pelvic radius and related parameters in low-grade isthmic lumbar spondylolisthesis. Methods : Seventy-four patients with isthmic lumbar spondylolisthesis and 47 control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re were 17 males and 57 females between 30 and 66 years of age, including 30 with grade I slippages and 44 grade II slippages; diseased levels included 34 cases on L4 and 40 cases on L5. Thoracic kyphosis (TK), the pelvic radius (PR), the pelvic angle (PA), pelvic morphology (PR-S1), and total lumbopelvic lordosis (PR-T12) were assessed from radiographs. Results :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the PA, PR-T12, and PR-S1 ($24.5{\pm}6.6^{\circ}$, $83.7{\pm}9.8^{\circ}$, and $25.4{\pm}11.2^{\circ}$, respectively) of the patients with spondylolisthesis and the healthy volunteers ($13.7{\pm}7.8^{\circ}$, $92.9{\pm}9.2^{\circ}$, and $40.7{\pm}8.9^{\circ}$, respectively). The TK/PR-T12 ratios were between 0.15 and 0.75.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ll the parameters between the L4 and L5 spondylolysis subgroups (p>0.05). The TK and PR-S1 of grade II were less than grade I, but the PA was greater. The PR-T12 of female patients were less than male patients, but the PA was greater (p<0.05). Conclusion : Pelvic morphology differed in patients with low-grade isthmic lumbar spondylolisthesis compared to controls. Gender and the grade of slippage impacted the sagittal configuration of the pelvis, but the segment of the vertebral slip did not. Overall, the spine of those with spondylolisthesis remains able to maintain sagittal balance despite abnormal pelvic morphology.

Mahalanobis Taguchi System을 이용한 척추질환 환자의 진단에 관한 연구 (Diagnosis of Spondylopathy Using Mahalanobis Taguchi System)

  • 홍정의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0-15
    • /
    • 2012
  • The Mahalanobis-Taguchi System is a diagnosis and predictive method for analyzing patterns in multivariate cases. The goal of this study is diagnosis of the spondylolisthesis from biomedical data that is derived from the shape and orientation of the pelvis and lumbar spine. The data set has six attributes including pelvic incidence, pelvic tilt, lumbar lordosis angle, sacral slope, pelvic radius and grade of spondylolisthesis and two class including normal and abnormal. From University of California at Irvine machine learning repository, 100 normal and 150 spondylolisthesis patient's data were used for this study. Mahalanobis Taguchi System (MTS) application process and the diagnosis results were described in this paper.

자궁경부암의 고선량률 근접치료 : 분할선량에 따른 결과 비교 (High-Dose-Rate Brachytherapy for Uterine Cervical Cancer : The Results of Different Fractionation Regimen)

  • 윤원섭;김태현;양대식;최명선;김철용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3호
    • /
    • pp.228-236
    • /
    • 2002
  • 목적 : 자궁경부암의 고선량률 근접치료는 각 기관마다 분할선량이 매우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고 각 분할선량에 따른 치료 결과가 임상적으로 비교된 적이 적었던 바 저자들은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고선량률 근접치료의 분할선량에 따른 국소제어율과 합병증 발생을 비교하여 적정한 분할선량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 11월부터 1998년 3월까지 자궁경부암으로 진단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2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A군은 122명(수술 후 방사선치료 67명, 근치적 방사선치료 55명)으로 외부방사선 치료 후 고선량률 근접치료의 분할선량을 line-A (선원으로부터 반경 2 cm를 이은 등량선)에 3 Gy를 주당 3회씩 $6\~10$회 조사한 군이었고 B군는 102명(수술 후 방사선치료 49명, 근치적 방사선치료 53명)으로 외부방사선 치료가 시행된 후 분할선량을 line-A에 4 또는 4.5 Gy를 주당 2회씩 $6\~8$회 조사한 군이었다. 외부방사선치료는 10 MV X-선을 이용하여 전골반부에 $45\~54\;Gy$ (중앙값 54 Gy)를 조사하였다. 고선량률 근접치료는 이리디움(iridium)-192를 사용하였다. 합병증은 RTOG morbidity grading system에 따라 grade 1에서 5까지 나누어서 평가하였다. 결과 : A군과 B군의 5년 국소제어율은 각각 $80\%,\;84\%$였고(p=0.4523) B군에서 더 높은 국소제어율을 보였다. 근치적 방사선치료군에서는 A군과 B군의 5년 국소제어율이 각각 $62.9\%,\;76.9\%$ (p=0.2557),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에서는 A군과 B군의 5년 국소제어율이 각각 $91.7\%,\;91.6\%$ (p=0.8867)였다. A군에서는 22명$(18.0\%)$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고 B군에서는 30명$(29.4\%)$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방광에 대한 합병증은 A군에서 12명$(9.8\%)$이 발생하였고 grade 3 이상이 2명이었다. B군에서는 15명$(14.7\%)$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으며 grade 3이상이 3명이었다. 직장에 대한 합병증은 A군에서 12명$(9.8\%)$에서 발생하였고 grade 3 이상이 1명이었고 B군에서는 22명$(21.6\%)$에서 발생하였고 grade 3 이상이 10명이었다. 합병증에 대한 단일변량분석에서 고선량률 근접치료의 분할 선량이 작으면 전체 합병증(0=0.0405), 직장의 합병증(0=0.0147), 방광의 합병증(0=0.115)이 감소하였고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p=0.0860) 및 근치적방사선치료군(0=0.0370)에서도 분할선량이 작으면 합병증은 감소하였다. 결론 : 근치적 방사선치료 시 고선량률 근접치료의 적절한 분할선량에 대한 평가는 환자의 병기, 예후인자 등을 고려한 다양한 분할선량에 대한 세분화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수술 후 방사선치료 시 고선량률 근접치료의 분할선량은 국소제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합병증에 대해선 분할선량이 커지면 다소 증가하는 면을 보여 분할선량을 3 Gy로 주 3회 시행하는 것이 하나의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