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lvic radiotherapy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5초

골반부 방사선 치료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의 골밀도 변화와 관련 인자 분석 (Analysis of Bone Mineral Density and Related Factors after Pelvic 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 이순신;정태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7권1호
    • /
    • pp.15-22
    • /
    • 2009
  • 목적: 골반부 방사선 치료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골밀도 검사 부위인 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에서 방사선 치료 범위에 인접한 부위와 원격 부위의 골밀도 양상 및 골밀도 관련 인자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방사선 종양학과에서 골반부 방사선 치료를 받고 외래에서 추적 관찰하면서 2002년 1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골밀도 검사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중 96명을 대상으로 제 1 요추부위, 제 4 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 전체 부위에서 T-score와 Z-score를 조사하여 각 평균치가 각 부위별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환자군의 특성과 관련하여 연령, 체중, 체질량 지수(BMI), 방사선 치료 종료 후 골밀도 검사일까지의 경과 기간, 자궁강내 근접치료(ICR) 추가 유무, 여성 호르몬 치료(HRT) 여부에 따른 T-score와의 관계를 각 부위별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연령대의 각 부위별 T-score의 평균치는 제 1 요추부위가 -1.94, 제 4 요추부위가 -0.42, 대퇴골 경부 전체가 -0.53이었고 각 부위별 Z-score의 평균치는 제 1 요추부위가 -1.11, 제 4 요추부위가 -0.40, 대퇴골 경부 전체가 -0.48이었다. 제 4 요추부위 및 대퇴골 경부의 T-score와 Z-score는 제 1 요추부위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제4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0세 미만의 연령군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각 부위별 T-score 모두에서 연령, ICR 여부 변수에 대해서 유의한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p<0.05), 체중, HRT 여부 변수에 대해서는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p<0.05). 체질량 지수에 대해서는 제 4 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의 T-score와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p<0.05). 각 변수들이 각 부위별 T-score에 미치는 고유한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다중 회귀 분석에서 연령은 제 1 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의 T-score와 유의한 음의 연관을 보였으나(p<0.05) 제 4 요추부위와는 유의한 연관이 없었다. 체중은 각 부위 모두에서 T-score와 유의한 양의 연관을 보였다(p<0.05). ICR 여부 변수는 제 1 요추부위의 T-score와만 유의한 음의 연관을 보였다(p<0.05). HRT 여부 변수는 제 4 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의 T-score와 유의한 양의 연관을 보였다(p<0.05). 결론: 본 연구에서는 제 4 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의 T-score와 Z-score가 제 1 요추부위의 값보다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는데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일부 연구와는 다른 결과였다. 각 부위 간의 의미있는 차이에 대해서 노화나 다른 요인의 영향을 고려해 볼 수 있으며 방사선 치료 범위에 인접하거나 포함된 부위에서 더 높은 T-score와 Z-score를 보인 점에서 그 중 방사선의 영향도 부분적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방사선 치료 환자군의 골밀도 특성의 임상적인 의미에 대한 장기간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서 방사선 치료 환자에서 골밀도 검사에 의한 골다공증의 진단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Whole pelvic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for high-risk prostate cancer: a preliminary report

  • Joo, Ji Hyeon;Kim, Yeon Joo;Kim, Young Seok;Choi, Eun Kyung;Kim, Jong Hoon;Lee, Sang-Wook;Song, Si Yeol;Yoon, Sang Min;Kim, Su Ssan;Park, Jin-Hong;Jeong, Yuri;Ahn, Hanjong;Kim, Choung-Soo;Lee, Jae-Lyun;Ahn, Seung Do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1권4호
    • /
    • pp.199-205
    • /
    • 2013
  • Purpose: To assess the clinical efficacy and toxicity of whole pelvic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WP-IMRT) for high-risk prostate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ith high-risk prostate cancer treated between 2008 and 2013 were reviewed. The study included patients who had undergone WP-IMRT with image guidance using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s and/or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The endorectal balloon was used in 93% of patients. Patients received either 46 Gy to the whole pelvis plus a boost of up to 76 Gy to the prostate in 2 Gy daily fractions, or 44 Gy to the whole pelvis plus a boost of up to 72.6 Gy to the prostate in 2.2 Gy fractions. Results: The study cohort included 70 patients, of whom 55 (78%) had a Gleason score of 8 to 10 and 50 (71%) had a prostate-specific antigen level > 20 ng/mL. The androgen deprivation therapy was combined in 62 patients. The biochemical failure-free survival rate was 86.7% at 2 years. Acute any grade gastrointestinal (GI) and genitourinary (GU) toxicity rates were 47% and 73%, respectively. The actuarial rate of late grade 2 or worse toxicity at 2 years was 12.9% for GI, and 5.7% for GU with no late grade 4 toxicity. Conclusion: WP-IMRT was well tolerated with no severe acute or late toxicities, resulting in at least similar biochemical control to that of the historic control group with a small field. The long-term efficacy and toxicity will be assessed in the future, and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is needed to verify these findings.

Small Bowel Displacement System을 이용한 골반부 방사선조사에서 치료간 및 치료중 중심점 위치변동에 관한 분석 (Analysis of the Inter- and Intra-treatment Isocenter Deviations in Pelvic Radiotherapy With Small Bowel Displacement System)

  • 김문경;김대용;안용찬;허승재;임도훈;신경환;이규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2호
    • /
    • pp.114-119
    • /
    • 2000
  • 목적 : small bowel displacement system (SBDS)을 이용한 골반부 방사선 치료시 치료간(intertreatment) 및 치료중(intratreatment) 중심점 위치변동의 편차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임상적으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자궁경부암 7명, 직장암 4명의 총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 (EPID)를 이용하여 302건의 후-전문(postero-anterior port) 영상과 232건의 측문(lateral port) 영상을 얻었다. 모든 환자는 복와위 자세로 하복부에 SBDS를 사용하였다 방사선 조사야의 중심점과 배율을 맞추기 위하여 5개의 금속 기준점을 영상탐지판(image detection unit)에 부착시켰으며, EPID 영상의 골 기준점(bony landmark)을 정하여 모의치료시 촬영한 영상과 비교하여 정렬시킨 후 우-좌문, 두-미문, 그리고 후-전문 방향으로 중심점의 이동방향 및 거리를 분석하였다. 결과 : 우-좌문, 두-미문, 그리고 후-전문 방향으로의 치료간 중심점 이동의 평균값은 각각 1.2 mm ($\pm$1.6 mm), 1.0mm ($\pm$3.0 mm), 0.9 mm ($\pm$4.4 mm)이었으며, 각 방향으로의 5 mm 이상의 치료간 중심점 이동은 각각 2, 12, 24$\%$, 그리고 10 mm 이상의 치료간 중심점 이동은 각각 0, 0, 5$\%$이었다 큰 폭의 위치변동을 보인 방향은 후-전문 방향이었으며, 최대값은 11.5 mm 이었다. 우-좌문, 두-미문, 그리고 후-전문 방향으로의 치료중 중심점 이동의 평균값은 각각 0 mm ($\pm$0.9 mm), 0.1 mm ($\pm$1.9 mm), 0 mm ($\pm$1.6 mm)이었다. 5 mm 이상의 치료중 중심점 이동은 각각 0, 1 , 1$\%$이었다. 결론 : SBDS를 이용한 골반부 방사선 조사시 폭과 빈도가 가장 큰 치료간 위치변동은 후-전문 방향이므로, 측면의 후-전문 방향으로 추가적인 여유를 두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Hypofractionated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localized prostate cancer: a preliminary study

  • Kang, Hye Jin;Kay, Chul-Seung;Son, Seok Hyun;Kim, Myungsoo;Jo, In Young;Lee, So Jung;Lee, Dong Hwan;Suh, Hong Jin;Choi, Yong Su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4권1호
    • /
    • pp.45-51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work was to assess the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hypofractionated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IMRT) in patients with localized prostate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irty-nine patients who received radical hypofractionated IMRT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Based on a pelvic lymph node involvement risk of 15% as the cutoff value, we decided whether to deliver treatment prostate and seminal vesicle only radiotherapy (PORT) or whole pelvis radiotherapy (WPRT). Sixteen patients (41%) received PORT with prostate receiving 45 Gy in 4.5 Gy per fraction in 2 weeks and the other 23 patients (59%) received WPRT with the prostate receiving 72 Gy in 2.4 Gy per fraction in 6 weeks. The median equivalent dose in 2 Gy fractions to the prostate was 79.9 Gy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alpha}/{\beta}$ ratio is 1.5 Gy. Results: The median follow-up time was 38 months (range, 4 to 101 months). The 3-year biochemical failure-free survival rate was 88.2%. The 3-year clinical failure-free and overall survival rates were 94.5% and 96.3%, respectively. The rates of grade 2 acute genitourinary (GU) and gastrointestinal (GI) toxicities were 20.5% and 12.8%, respectively. None of the patients experienced grade ${\geq}3$ acute GU and GI toxicities. The grade 2-3 late GU and GI toxicities were found in 8.1% and 5.4% of patients, respectively. No fatal late toxicity was observed. Conclusion: Favorable biochemical control with low rates of toxicity was observed after hypofractionated IMRT, suggesting that our radiotherapy schedule can be an effective treatment option in the treatment of localized prostate cancer.

암환자의 방사선치료에서 흉부 및 전골반강 조사직후 백혈구 및 림프구아헝 변화에 대한 연구 (Postirradiation Changes of White Blood Cells and Lymphocyte Subpopulations in Cancer Patients)

  • 안성자;정웅기;남택근;나병식;노영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53-59
    • /
    • 1996
  • 목적 : 암환자에서 방사선치료에 의한 면역기능의 저하에 대해서는 많은 보고가 되어 있다. 저자들은 방사선치료부위중 비교적 활동성 골수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 흥부 및 골반강조사 직후 어느정도 면역력의 저하가 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1월부터 1995년 4월까지 등록된 61 명의 환자중 48 명을 대상으로 분석 하였다. 이중 흉부(조사문, >$150cm^2$)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는 29명이었고 전골반강부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는 19명 이었다. 연령분포는 36세에서 73세 였으며 평균 및 중간값 모두 57세 였으며 남녀비는 1.3(27/21)이었다. 환자의 면역기능의 지표는 말초혈액검사에서 전혈구 및 감별혈구계산(CBC with D/C), 간기능검사, 신장기능검사 및 림프구아형검사(CD3, CD4, CD8, CDl6, CD56, CDl9)를 시행 하였으며, 검사시기는 방사선치료 직전과 4500 cGy - 5000 cGy 선량에서 동일 검사를 반복시행 하였으며, 1980cGy에서는 전혈구 및 감별혈구계산만 시행하였다. 결과 : 전체환자의 치료전 백혈구 총수는 7017이었으며 방사선치료직후 평균 4470으로 감소하였다(p=0.0000). 감별혈구계산에서는, 림프구수는 평균 2047 에서 537 로(p=0.0000) 로 감소하였고, 호중구, 호염구세포의 절대수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단핵세포는 변화가 없었으며, 호산구세포는 오히려 방사선치료후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인 의의는 없었다. 림프구아형에 대한 검사결과는, 모든아형의 절대수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CD4/CD8비는 치료전 평균 1.09에서 0.99로 감소 하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전체 림프구에 대한 비율의 변화를 보면, B림프구(CD 19)는 감소하였으나, 그외 아형의 비율은 방사선치료후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면역글로불린은 초기 Ig, G, Ig A, Ig M 모두 정상값보다 눌은 수치였으며, 방사선치료에 따른 변화는 Ig M에서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Ig G, A는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결론 : 흉부나 골반강부위의 방사선치료는 림프구의 급격한 저하를 초래하는 반면 단핵구등은 비교적 잘 유지 되었으며, 호산구는 오히려 증가 됨을 알수 있었으나, 인체의 면역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림프구의 기능변화가 함께 연구 되어져야 하겠다.

  • PDF

Concurrent Chemoradiation with Weekly Paclitaxel and Cisplatin for Locally Advanced Cervical Cancer

  • Kalaghchi, Bita;Abdi, Robab;Amouzegar-Hashemi, Farnaz;Esmati, Ebrahim;Alikhasi, Afsane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sup3호
    • /
    • pp.287-291
    • /
    • 2016
  • Cervical cancer is one of the most common gynecological cancers in Iranian women. This study was initiated to assess whether the combination of paclitaxel and cisplatin with radiation might feasible for these patients. The aim was to assess tumor response and toxicity of weekly cisplatin and paclitaxel along with radiotherapy in the treatment of cervical cancer. Women with primary untreat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cervix with FIGO stages IB2 to IIIB were treated with weekly injections of cisplatin 30 mg/m2 and paclitaxel 35 mg/m2 for 5-6 weeks along with radiotherapy. A total of 25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ho completed the intended treatment. Disease was assessed prior to treatment by pelvic examination and contrast enhanced MRI of the abdomen and pelvis. Response was assessed 1 month after completion of treatment by physical examination and 3 months after also by MRI.Toxicity was assessed and was graded using RTOG grading. There was a complete response rate of 84% after 3 months. The major toxicity was grade 1 and 2 anemia (92%). The mean duration of treatment was 58 days. In conclusion, combination chemotherapy with cisplatin and paclitaxel along with 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cervixwas well tolerated, in contrast to other studies, but it seems that there was no increase in tumor response and progression free survival with this treatment regimen.

Concurrent Chemoradiation with Weekly Gemcitabine and Cisplatin for Locally Advanced Cervical Cancer

  • Hashemi, Farnaz Amouzegar;Akbari, Ehsan Hamed;Kalaghchi, Bita;Esmati, Ebrahi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9호
    • /
    • pp.5385-5389
    • /
    • 2013
  • Background: For more than 80 years, the standard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cervical cancer was radiotherapy. However, based on several phase III randomized clinical trials in the past decade, concurrent cisplatin-based chemoradiotherapy is the current standard for this disease. Gemcitabine has potent radiosensitizing properties in preclinical and clinical trials, so it can be utilized simultanously with radi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women with untreated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cervix of stage IIB to stage IVA were enrolled in the study in the Radiation Oncology Department of Imam Khomeini Hospital in Tehran from September 2009 to September 2010. Sixty $mg/m^2$ gemcitabine followed by $35mg/m^2$ cisplatin were concurrently administered with radiotherapy to the whole pelvic region on day one of each treatment week for five weeks. One and three months after treatment, patients underwent a complete physical examination and MRI to determine the response to treatment. Results: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58.1{\pm}11.8$ (29-78) years. After 3 months of treatment, 73.3%had complete and 26.7% demonstrated partial response to treatment. Grade 3 anemia was seen in 10%, grade 3 thrombocytopenia in 3.3% and grade 3 leukopenia in 10% of the patients.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positive results of this study in stage IIB, further phase II and III clinical trials are suggested to evaluate the role of chemoradiation using Gemcitabine for advanced cervical cancers.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treated with radiotherapy after surgery for cervical cancer

  • Yang, Kyungmi;Park, Won;Huh, Seung Jae;Bae, Duk-Soo;Kim, Byoung-Gie;Lee, Jeong-Wo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5권1호
    • /
    • pp.39-47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linical outcomes from cervical cancer and stratify patients into risk groups for prognostic factors for early-stage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patients with stage IB or IIA cervical cancer treated with adjuvant radiotherapy (RT) or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CRT) following primary surgery at Samsung Medical Center from 2001 to 2011. Adjuvant RT was added for patients with intermediate-risk factors, and adjuvant CCRT was performed on high-risk patients after surgery. Results: We reviewed 247 patients-149 in the high-risk group and 98 in intermediate-risk group. The median follow-up was 62 months. Loco-regional failure (LRF) alone occurred in 7 patients (2.8%), distant metastasis alone in 37 patients (15.0%) and LRF with DM in 4 patients (1.6%). The 5-year disease-free survival (DFS) and overall survival (OS) rates for both groups were 79.7% and 87.6%, respectively. In the high-risk group, the 5-year DFS and OS probabilities were 72.5% and 81.9%, respectively. Histologic type, pathologic tumor size, and the number of pelvic lymph node (PLN) metastasis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DFS and OS. We suggest a scoring system (0-3) using these prognostic factors to predict poor prognosis in high-risk patients. Using this system, patients with higher scores have higher recurrence and lower survival rates. Conclusion: In the high-risk cervical-cancer group who received primary surgery and adjuvant CCRT, non-squamous type, large tumor size and the number of PLN metastasis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and the number of these factors was associated with survival rates.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 후 급성 장관 합병증 (Early Bowel Complications Following Radiotherapy of Uterine Cervi)( Carcinoma)

  • 김원동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7권2호
    • /
    • pp.129-135
    • /
    • 1999
  • 목적 : 저자는 자궁경부암으로 외부 방사선치료와 고선량 강내치료를 받은 신선 증례에서 급성 장관 방사선 합병증에 대하여 관찰하고 이와 연관된 여러 인자들을 밝히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4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56례를 대상으로 급성 장관 합병증에 대하여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환자는 본과의 치료원칙에 따라 4cm 미만의, 병기 IB1 와 IIA 경우는 41.4Gy의 체외조사후 30Gy의 강내조사를 A점 기준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이외에는 50.4Gy의 체외조사후 24Gy의 강내조사를 실시하였다. 급성 장관 합병증의 기준으로는 EORTC/RTOG morbidity criteria를 이용하였으며 이 기준에 따라 치료 첫날부터 90일까지 발생한 합병증을 급성으로 간주하였다. 급성 합병증의 빈도 및 경중을 파악하였으며 급성 장관 합병증과 연관된 여러 치료전 임상 요인을 밝히기 위하여 단변수 분석과 다변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총 66 명의 환자 중 30명(46$\%$)에서 급성 장관 합병증이 발생하였고 그 중 25명(38$\%$)은 grade 1, 2의 경미한 합병증이었으며 4명(6$\%$)은 grade 3, 1명(2$\%$)은 grade 4의 중증 합병증이었다. 거의 모든 합병증은 방사선 치료 시작 3주 후에 발생하였으며 누적 발생빈도는 10주에 41$\%$였다. 고연령과 복부 및 골반부 수술 과거력이 급성 장관 합병증과 유관한 인자였으며 3명의 환자에서는 급성 장관 합병증으로 전체 치료기간이 약 2주 증가하였으며 결국 3명 모두 골반 내 재발을 경험하였다. 결론 : 46$\%$의 환자가 급성 장관 합병증을 경험하였으며 대부분은 경미하여 임상적인 문제를 야기하지 않았다. 다만 고연령 및 수술병력이 있는 환자에서는 급성 장관 합병증으로 인하여 방사선치료에 대한 환자의 순응도(compliance)가 낮아질 수 있으므로 보다 더 적극적인 주의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 PDF

방사선치료 후 재발한 골반암에서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고식적 재치료 (Palliative Irradiation Using Helical Tomotherapy in Recurrent Pelvic Tumors with Prior Radiotherapy)

  • 계철승;유은정;김지훈;노덕영;김기준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8권3호
    • /
    • pp.133-140
    • /
    • 2010
  • 목 적: 방사선 치료 후에 방사선조사범위내에서 재발한 골반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나선형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재 치료를 시행한 후 그 효과 및 안전성에 대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 1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녀 비는 1 : 1이었고, 평균연령은 51세였다. 직장암이 8명, 자궁경부암이 5명, 원발부위를 알 수 없는 경우가 1명이었다. 13명의 환자들이 재발 전에 수술을 받은 적이 있고, 환자들의 골반부위에 조사된 방사선량의 중앙값은 50.4 Gy였다. 재발 당시 종양크기의 중앙값은 3.5 cm (2.0~7.5cm)였으며, 재발이 발견된 후 항암화학요법을 먼저 받은 경우가 9명, 고강도초음파치료를 받은 경우가 1명이었다. 나머지 4명은 재발 후에 다른 치료는 시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재치료를 받았다. 재치료 당시 종양으로 인한 통증을 호소한 환자는 7명이었으며, 종양 표지자가 증가해있던 경우는 8명이었다. 최초 방사선 치료와 재치료의 간격은 중앙값 19.9개월(5.0~75.4개월)이었다.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재치료시 육안적종양체적, 임상적표적체적 및 계획용표적체적에 총4~5주간 20~25회에 걸쳐, 각각 중앙값 50 Gy, 47.8 Gy 그리고 45 Gy의 방사선이 조사되었다. 치료 전 매일 초고압전산화단층촬영(megavoltage computed tomography)을 통하여 X, Y, Z축 및 회전각도에 대한 online correction을 시행하였다. 치료 후 반응평가는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rs ver. 1.0을 이용하였으며, 국소종양조절기간은 치료 종료 후 Kaplan-Meyer법으로 계산하였고, 치료 후 합병증의 평가는 Common Terminology Criteria for Adverse Event ver. 3.0을 이용하였다. 결 과: 추적기간의 중앙값은 17.3개월(3.0~38.3개월)이었으며, 영상학적반응율은 64.3%(완전관해, 7.1%; 부분관해, 57.2%)였다. 치료 전 통증이 있었던 7명의 환자 중 6명에서 통증이 완화되어 85.7%의 통증완화율을 보였으며, 종양 표지자가 증가되어 있던 8명 중 5명(62.5%)에서 감소가 일어났다. 국소종양조절기간은 중앙값 25.8개월(95% 신뢰구간, 6.12~45.5개월)이었으며, 치료 후 국소재발이 8명(57.1%), 원격전이가 3명(21.4%) 그리고 국소재발과 원격전이가 동시에 일어난 경우가 1명(7.1%)이었다. 합병증으로는 대부분 grade I 혹은 II의 급성 피부염, 직장염, 방광염 등이 나타났지만, 만성 합병증이나 grade IV 이상의 급성 합병증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 론: 방사선치료 후 방사선조사 범위 내에서 재발한 골반암에서 나선형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재치료는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인 고식적 치료법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치료 효과를 좀 더 높이기 위해서 혹은 적은 환자수, 다양한 질환 그리고 후향적 분석이라는 본 연구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임상연구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