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lshenke value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18초

활성 글루텐 첨가가 쌀베이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tive Gluten Supplementation on the Processing and Quality of Rice Bagel)

  • 이영택;박영서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1호
    • /
    • pp.50-55
    • /
    • 2009
  • 활성 글루텐 첨가가 쌀베이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쌀가루에 글루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보수력은 증가한 반면, 알칼리수 흡수율은 감소하였다. Pelshenke값과 침전가는 글루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유의적으로 증가는 하였으나 강력분의 Pelshenke값과 침전가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최고점도와 setback 및 peak height와 peak width는 글루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글루텐을 23% 첨가할 경우 베이글의 부피는 글루텐 11% 첨가 후와 비교할 때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글루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베이글의 경도, 검성 및 씹힘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베이글의 비용적과 물 흡수력, Pelshenke값 및 침전가와는 고도의 정의 상관(r =0.962, r =0.964, r =0.966)을 나타내었다.

산수유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gar Snap-Cookie with Added Cornus fructus)

  • 고희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957-962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rnus fructus addition to suger snap cookies on WRC (water rentention capacity) and AWRC (alkaline water retention capacity). WRC and AWRC increased as more Cornus fructus powder was added, whereas the sedimentation value and Pelshenke value decreased. Regarding cookie color, L value decreased, whereas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As the cookie diameter became smaller, thickness increased and spread factor decreased. Hardness of the cookies decreased, and preference was highest for cookies with 5% added Cornus fructus. The preferences for cookies were in the following order: 7% < 3% < 1% < 0% < 5% addition. In conclusion, addition of less than 5% Cornus fructus powder was the most desirable. To complement cookie appearance, it seems necessary to adjust the water content of Cornus fructus powder or add an emulsifier.

국산 소맥 및 소맥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Varieties)

  • 신현국;장학길;유인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76-379
    • /
    • 1978
  • 최근에 육성된 유망 품종들의 품질을 도입소맥과 대비해 보고자 국내산 3품종과 도입 3품종을 공시하여 소맥 및 소맥분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1. 제분율 및 milling score는 품종에 관계없이 도입소맥이 각각 $1{\sim}4%,\;3{\sim}5%$ 높은 경향을 보였다. 2. 소맥분의 품질을 경연질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연질의 경우 조광이 단백 질함량, 침전가 및 Pelshenke value가 연질로서 갖추어야 할 적정선을 갖고 있으며 도입 연질소맥인 백소맥보다 상기 수치가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고 farinogram특성도 양호하였다. 3. 경질소맥의 경우 수원 210호가 단백질함량, 침전가, Pelshenke value가 높고 소맥분반죽의 물리적성질이 양호하였으며 도입 경질소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적소맥과 유사한 성질을 나타내었다.

  • PDF

당근 분말을 첨가한 Sugar Snap-Cookie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1) - 반죽의 리올로지 특성 -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gar Snap-Cookie Added to Carrot Powder (I) - Rheology Characteristics of Cookie Dough -)

  • 황승환;홍진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22-127
    • /
    • 2010
  • This study involved the making of sugar snap cookies with the addition of carrot powder at two to twelve percent which furnishes modern people with much lacking and needed dietary fiber. The review of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rheology and sensory evaluation of such contents resulted in the following findings: The sedimentation value and Pelshenke value all decreased in weak flour with the addition of more carrot powder,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The water retention capacity (WRC) and alkaline water retention capacity (AWRC) all increased in weak flour with the addition of more carrot powder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As for the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the test samples measured by rapid visco-analysis, the addition of more carrot powder resulted in the initial pasting temperatures increasing in the case of weak flour, yet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carrot-added groups, as well as the maximum viscosity, minimum viscosity and final viscosity all showed the tendency of decreasing. The addition of more carrot powder led to the peak times in the mixographs for weak flour all exhibiting the tendency of decreasing, which might be interpreted as gradually weaker physical properties of the dough as well as less stability in the shape of the dough in turn.

활성글루텐 첨가 쌀 식빵 프리믹스의 저장 중 품질 특성 (Effect of Storage on Physicochemical and Bread-making Properties of Bread Premix Prepared from Rice Flour Containing Vital Gluten)

  • 이영택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4호
    • /
    • pp.311-317
    • /
    • 2011
  • 활성글루텐이 첨가된 쌀 식빵 프리믹스를 5, 25, $35^{\circ}C$의 저장온도에서 4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반죽특성, 호화특성 및 제빵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쌀 식빵 제조 시 활성글루텐의 적정 첨가량은 14-17%로 판단되었다. 쌀 식빵 프리믹스의 pH, 침전가 및 Pelshenke값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Pelshenke 값은 35$^{\circ}C$ 저장시에 그 수치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쌀 식빵 프리믹스의 수분 함량은 변화가 적었으나, 보수력과 알칼리수 흡수율은 저장온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Mixograph의 peak time과 width at 8.00 min은 저장온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Rapid Visco Analyser에 의한 호화 특성 중 peak viscosity와 setback은 저장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다소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짐으로써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프리믹스로 제조한 쌀 식빵의 비용적은 저장전에 비해 저장 중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그 감소 폭이 컸으며, 쌀 식빵의 경도는 증가하여 쌀가루 전분의 노화가 밀가루에 비해 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 밀가루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과 쿠키 제조적성(製造適性) (Relati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okie Baking Potentialities of Korean Wheat Flours)

  • 장학길;신효선;김상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9-152
    • /
    • 1984
  • 한국산 소맥육성계통(小麥育成系統)에 대한 소맥분(小麥粉)의 이화학적(理化享的) 특성(特性)과 쿠키제조적성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AWRC는 침전가(沈澱價). Pelshenke value 및 단백질함량과는 각각 $r=0.50^{**}$, $r=0.45^{**}$$r=0.47^{**}$의 정(正)의 유의상관(有意相關)이 있었고, 구키직경과 AWRC 및 단백질함량은 각각 $r=-0.98^{**}$$r=-0.46^{**}$의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Fa-ninograph absorption과 AWRC 및 쿠키직경과는 $r=0. 77^{**}$$r=-0.73$의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있었으며,Farino graph band width와 AWRC는 $r=-0.49^{**}$,쿠키직경과는 $r=0.44^{**}$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 PDF

환경 변동에 따른 경ㆍ연질 소맥의 등숙 및 품질의 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Grain Filling and Quality Changes of Hard and Soft Wheat Grown under the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 함영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7권
    • /
    • pp.1-44
    • /
    • 1974
  • 본연구는 1972년에 수원에서 그리고 1973년에는 다시 수원, 매리 및 이리 광주의 3개 지역에서 경질 소맥인 NB 68513, Caprock와 중간질 소맥인 영광, 연질 소맥인 수계 169호를 공시하여 시비량 및 재배시기를 각각 3수준의 처리를 두어 등숙 및 품질의 변화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한편 1973년 및 1974년에는 수원에서 중간질 소맥인 영광과 경질 소맥인 NB 68513을 공시하고 온실에서 온도, 습도 및 일사량을 달리하여 이들이 소맥의 등숙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추구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맥립의 등숙: 1) 1립중의 변이폭은 대립종이 소립종에 비하여 크고, 립중별 소맥립의 분포는 대립종이 평균치에 가까이 분포된 율이 높았고, 소립종은 넓은 분산을 보였다. 2) 립중의 증가에 미치는 립장, 립후 및 립폭의 영향의 정도는 립장보다 립후와 립폭이 컸다. 3) 등숙 시기별 립중의 변화에 있어서 영광은 개화후 14일부터 35일까지, NB 68513은 14일부터 28일까지에 급증하였고, 대립종인 영광은 소립종인 NB68513에 비하여 등숙기간이 길었으며 배란비율도 완만한 증가를 보였다. 4) 1000립중은 대체로 저온에서보다 고온에서, 다습보다 건조한 공중습도 조건에서 가벼웠고, 저온이나 고온에서라도 다습 조건하에서는 무거운 경향을 보였다. 또한 서광의 영향은 저온에서보다 고온에서 컸으며, 다습한 경우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5) 등숙기간중 온도, 습도 및 서광의 영향은 소립종인 NB 68513보다 대립종인 영광에서 컸으며, 1000립중의 증감과 등숙일수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다. 6) 1000립중과 1$\ell$중은 시비량의 증가에 따라 무거워졌으나, 보비와 다비구간에는 그 증가율이 비교적 낮았고, 조숙재배는 만파재배보다 무거웠으며, 이와 같은 경향은 수원에서 현저하였고 광주 및 이리에서는 미미하였다. 2. 제분성: 7) 동일 품종에서 1000립중이 무겁게 나타난 저온다습 조건 및 조숙재배가 고온, 건조, 조건 및 만파재배에 비하여 제분율이 높았고, 지역간 차이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8) 제분율은 영광이 가장 높고 수계 169호가 가장 낮았으며, 경질 소립종인 Caprock, NB 68513은 연질 소립종인 수계 169호보다 높았다. 9) 회분 함량은 지역, 시비량 및 재배시기에 따른 차이는 작았고, 품종간 차이는 컸으며, NB 68513 및 Caprock는 영광 및 수계 169호보다 현저히 높았다. 3. 단백질 함량: 10) 단백질 함량은 1000립중이 가벼웠든 고온, 건조 및 서광 조건에서 저온, 다습 조건에서보다 높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영광에서 현저하고 NB 68513에서 적었다. 11) 종질의 단백질 함량은 개화후 1~2주일 사이에 높았는데, 이는 배란에 대한 배와 종피의 비율이 크기 때문이었고, 등숙이 진전됨에 따라 배, 종피의 영향은 감소되며, 달서 단백질 함량도 감소되었으나 개화후 3~4주부터는 다시 단백질함량이 증가되어 개화후 7주에 최대에 달하였다. 등숙 중기(개화후 3~4주) 이후의 단백질함량 증가는 대체로 1000립중의 증가와 비슷하였으나, 성숙된 종실의 단백질 함량의 증감은 등숙기간의 장단의 영향보다는 역일상에 따른 기상적 환경, 특히 기온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보였다. 12) 소맥분의 단백질 함량은 종실의 단백질 함량의 변화와 같아서 이 양자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다. 13) 단백질 함량은 각 품종 모두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또 재배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수원에서는 광주, 이리에서보다 그 경향이 현저하였다. 14) 품종별로 존 단백질 함량은 영광, NB 68513 및 Caprock은 비슷하였으며 비교적 높았고, 수계 169호는 낮았는데 이 품종은 재배법에 따른 단백질 함량의 변이도 적었다. 15) 단위 면적당 단백질 수량은 시비량이 많을수록, 재배시기가 빠를수록 높은 경향이었고, 조숙재배에서는 질소질 비료의 이용율이 높았으며, 영광은 시비량 증가에 따른 단백질 수량 증가가 비교적 컸다. 4. 분의 물리화학적 특성: 16) Sedimentation value는 저온, 다습, 소비 조건에서보다 고온, 건조, 다비 조건에서 컸고, NB 68513 및 Caprock는 그 경향이 현저하였는데 영광 및 수계 169호는 뚜렷하지 않았었고, 광주, 이리보다는 수원에서 Sedimentation value의 변이가 컸다. Sedimentation value의 증감은 단백질 함량의 증감과 관계가 깊으나, 다습조건에서는 Sedimentation value가 감소되었다. 한편 Sedimentation value는 단백질 함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성숙기에 최대에 달하였다. 17) Pelshenke value는 재배방법 및 지역 간의 차이가 Sedimentation value의 경우와 대체로 같은 경향을 보였다. 18) Mixing time은 NB 68513이 4~6분, Caprock가 5~7분 소요되었으며, 영광 및 수계 169호는 NB 68513 및 Caprock보다 지역 및 재배법에 따른 변이가 컸다. Mixing height와 Mixing area는 NB 68513 및 Caprock에서 컸고 영광 및 수계 169호에서는 작았으며, 재배방법에 따른 변이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고, 지역에 따른 차이는 이리, 광주에서 낮고 수원에서 높았다. 19) NB 68513 및 Caprock의 품질에 있어서 제분성은 고온, 건조 조건, 또는 다비, 만파재배에서 떨어졌으나 분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양호하여 제빵 적성이 좋고, 조숙재배는 물리화학적 특성이 다소 불량하였으나 제분성이 높고 단위 면적당 단백질 수량인 높은 경향이었다. 지역간에서 보면 이리, 광주보다는 수원이 NB 68513 및 Caprock의 재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5. 분의 물리화학적 특성의 상호관계: 20) 제분율 및 회분함량과 분의 물리화학적 특성과는 직접적인 상관이 없었으며, 1000립중이 가벼운 것이 단백질 함량이 높았고 분의 물리화학적 특성도 양호하였다. 21) NB 68513 및 Caprock에 있어서 단백질 함량과 Sedimentation value, Pelshenke value 및 mixing height와는 정의 상관이 있었으며, 단백질 함량이 높으면 분의 Gluten strength도 강하고 따라서 제빵 적성도 양호하였다. 영광 및 수계 169호에 있어서는 단백질 함량과 Sedimentation value와는 정의 상관이 있으나 Pelshenke value와 Mixing height와는 상관이 없었다. 따라서 단백질 함량 증가에 따라 Gluten strength 양자와 연결됨이 크고, Pelshenke value와 Mixogram은 Gluten strength와 연관됨으로 경질과 연질의 품종 구분에는 Mixogram, Pelshenke value의 검정이 유리하고, Sedimentation valuer검정은 같은 품종내에서 재배법 차이에 따른 품질 평가에 알맞은 것으로 보았다.

  • PDF

흑미가루 복합분의 이화학적 특성과 스펀지 케이크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Black Rice Flour)

  • 박영서;장학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06-411
    • /
    • 2007
  • 흑미가루 첨가비율(5-30%)에 따른 복합분의 이화학적 특성, 호화특성, mixograph 특성 및 스펀지 케이크의 제조적성을 측정하고, 이들 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고자 일련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흑미 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alkaline water retention capacity, Pelshenke value, sedimentation value는 증가하였으나 water holding capacity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Mixograph peak time, height, width at peak와 Rapid Visco Analyser peak, minimum viscosity도 감소하였다. 스펀지 케이크 반죽의 pH와 비중은 증가하였지만 케이크의 부피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케이크의 경도는 증가하였다.

소맥(小麥)의 성숙(成熟)에 따른 단백질(蛋白質), 리올로지 및 제(製)빵특성(特性)의 변화(變化) (Changes in Protein, Rheology and Bread-Making Properties of Wheat during Kernel Maturation)

  • 장학길;변광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4호
    • /
    • pp.278-283
    • /
    • 1985
  • 본(本) 연구(硏究)는 경(硬), 연질(軟質) 소맥(小麥)의 성숙과정(成熟過程)에 따른 단백질(蛋白質), 리올로지 및 제(製)빵특성(特性)의 변화(變化)와 상호관계(相互關係)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 침전가(沈澱價) 및 Pelshenke값은 경(硬), 연질(軟質) 품종간(品種間)에 차이가 심하였으며, 출수후(出穗後) $35{\sim}40$일에 각 품종(品種)의 안정성(安定性)을 유지하였다. 소맥분(小麥紛)의 Mixogram흡수율(吸水率)을 보면, 연질품종(軟質品種)은 성숙과정(成熟過程)에 따른 차이는 작았으나, 중간질(中間質)과 경질품종(硬質品種)은 종실(種實)이 성숙(成熟)됨에 따라 급격히 증가되었다. 전체적인 Mixogram pattern은 출수후(出穗後) 35일에 각 품종(品種)의 안정성(安定性)을 유지하였다. Farinogram특성과 빵용적(容積)은 성숙초기(成熟初期)부터 품종간(品種間)의 차이가 현저하였으며, 이들 특성은 출수후(出穗後) 40일에 각 품종(品種)의 평균안정성(平均安定性)에 도달하였다. 소맥(小麥)의 성숙(成熟)에 따른 단백질(蛋白質), 리올로지 및 제(製)빵특성(特性)의 상호간(相互間)에는 모두 고도(高度)의 정(正) 또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 PDF

들깨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레올로지 및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Dough Rheological Properties of Pan Bread with Perilla Seed Powder)

  • 지정란;정현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42-155
    • /
    • 2013
  • 들깨분말을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들깨분말 첨가비율을 달리하여 만든 반죽의 물성특성과 식빵을 제조한 후 물리화학적, 기계적, 관능적 품질특성을 분석하여 들깨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최적의 배합비를 찾고 기능성 재료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들깨분말의 일반성분은 수분함량은 6.60%, 조단백은 23.04%, 조지방은 51.62%, 조회분 함량은 3.46%로 나타났다. 들깨분말 첨가 식빵 반죽의 sedimentation value와 pelshenke value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Farinograph 측정 결과 반죽의 consistency, water absorption와 tolerance index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stability와 time breakdown은 감소 하였다. Amylograph 측정 결과 pasting temperature, peak viscosity, hot past viscosity, final viscosity, breakdown과 setback은 첨가물이 증가될수록 감소하였다. 들깨 식빵의 굽기 손실률과 비용적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색도는 L값과 b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a값은 증가하였다. Texture 측정 결과 경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응집성, 탄력성과 씹힘성은 감소하였다. 기호도 검사는 15% 첨가군이 색, 향, 맛, 외관, 질감이 가장 좋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기호도는 15% 첨가군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