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lleting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39초

상추 펠렛종자의 피복물질 탐색과 영양물질 첨가가 발아력에 미치는 영향 (Identification of Pelleting Materials and Effect of Nutrient Addition on the Germination of Pelleted Lettuce Seeds)

  • 강점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15
    • /
    • 2004
  • 상추종자는 크기가 불균일하여 기계화 파종이 어렵다. 펠렛의 목적은 종자크기를 증가시켜 기계화 파종을 가능하게 하여 파종과 솎음노력을 절감하고 종자를 절약하는데 있다. 펠렛 접착제 종류 및 농도에 따라 발아율과 발아일수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사용된 접착제 가운데 polyvinyl alcohol(PVA)에서 전반적으로 발아가 원활하였고 다음이 polyvinyl pyrrolidone(PVP), hydroxyethyl cellulose(HEC), methyl cellulose(MC), tween 80 순으로 나타났다. 펠렛 파복물질의 종류에 따라 발아율이 달랐는데 전반적으로 diatomaceous earth 및 talc + calcium carbonate가 다른 펠렛 피복물질에 비해 발아율도 높고 발아일수도 다눅되어 상추의 종자 펠렛에 적합한 피복물질이었다. 반면 Limestone, calcium oxide, bentonite 등은 발아율이 저조하였다. 상추종자는 펠렛 후 종자의 크기가 33배 증가되었다. 펠렛종자에 영양물질 첨가는 발아율이 약간 감소되었고, 발아일수도 지연되는 경향이었다. 첨가되는 영양물질의 급원에 따라서도 펠렛종자의 발아력에도 차이가 있었는데, 대체적으로 MS medium이 monosodium phosphate 보다 발아억제 정도가 낮았다. Priming 후 펠렛된 종자는 무처리 종자를 펠렛한 경우에 비해 발아율이 높았고 조기발아 하였다.

파 펠렛종자 생산을 위한 접착제 및 피복재료 선발 (Selection of Binder and Solid Materials for Pelleting Welsh Onion(Allium fistulosum L.) Seeds)

  • 강점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721-730
    • /
    • 2002
  • 본 연구는 파 종자의 발아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생장조절제 최적 처리조건을 구명하며, 파 종자 펠렛용으로 적합한 접착제 및 피복재료를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식물생장조절제 종자처리는 발아율을 증진시키지는 못했다. 그러나 50% 발아에 소요되는 일수($T_{50}$)와 MDG는 단축되어 조기발아 하였다. 생장조절제 최적 처리조건은 500$\mu$M의 $GA_3$로 1일간 처리였다. 생장조절제 처리에 의한 발아촉진 효과는 발아적온보다는 저온인 $15^{\circ}C$에서 뚜렷하였다. 종자 펠렛의 접착제 종류 및 농도에 따라 발아율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발아속도는 대조구 종자에 비해 약 0.3~0.5일 지연 되었다. 종자 펠렛용 접착제의 농도가 증가하면 발아율이 약간 감소하였는데, 이러한 경향은 Carboxymethyl cellulose (CMC) 및 Methyl cellulose(MC)에서 뚜렷하였다. 종자 펠렛 접착제 가운데 Polyvinyl alcohol(PVA)와 Polyvinyl pyrrolidone(PVP)에서는 처리농도가 증가하더라도 발아를 크게 억제하지 않아, 파 펠렛종자 제조에 적용될 수 있는 최적 접착제였다. 펠렛 피복재료 중 kaoline, bentonite + kaoline 혼합물질 및 bentonite + CC + DME #300 혼합물질로 펠렛된 종자에서 높은 발아율과 발아세를 보여 파종자의 펠렛에 적합한 피복재료였다.

Growth Performance of Nursery Pigs Fed 30% Distillers Dried Grain with Solubles (DDGS) and the Effects of Pelleting on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 Zhu, Zhengpeng;Hinson, Rodney B.;Ma, Li;Li, Defa;Allee, Gary 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6호
    • /
    • pp.792-798
    • /
    • 2010
  • Four experiments with 2,020 nursery pigs (Triumph-4${\times}$PIC Camborough 22) were conducted at a commercial research site to evaluate the effects of including 30% distillers dried grain with solubles (DDGS) in late nursery diets on pig growth performance and to compare the effects of pelleted and meal diets containing 30% DDGS on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Exp. 1, 312 pigs (10.54${\pm}$0.16 kg) were allotted to two diets: corn-soybean meal based control diet and a corn-soybean meal diet containing 30% DDGS. In Exp. 2, 337 pigs (16.70${\pm}$0.14 kg) were used to validate Exp. 1 with similar diets. In Exp. 3, 665 pigs (11.77${\pm}$0.12 kg) were allotted to diets containing 30% DDGS, but in different forms: meal or pellet. Fecal samples were collected during the final day of the trials to measure nutrient and energy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In Exp. 4, 706 pigs (18.40${\pm}$0.18 kg) were allotted to the same diets as Exp. 3. In Exp. 1 and 2, there was no (p>0.05) effect of DDGS on ADG, ADFI or G:F. In Exp. 3, pelleting improved (p<0.01) ADG (578 vs. 541 g/d) and G:F (714 vs. 674 g/kg), with no difference (p>0.05) in ADFI. The ATTD of most nutrients and energy were improved by pelleting (p<0.05). In Exp. 4, ADG (717 vs. 675 g/d) and G:F (680 vs. 648 g/kg) were improved by pelleting (p<0.01), with no difference (p>0.05) in ADFI. In conclusion, 10-23 kg pigs in late nursery phase can be fed up to 30% DDGS without having a detrimental effect on pig performance, and pelleting the diet will increase nutrient and energy availability.

겉뿌림을 위한 오차드그라스와 톨페스큐 종자의 코팅 및 펠렛팅 기술 비교 (Comparison of Coating and Pelleting Technique for Surface Sowing of Orchardgrass and Tall Fescue Seeds)

  • 김종덕;권찬호;채상헌;김중관;김병완;서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81-286
    • /
    • 2007
  • 초지조성과 개량에서 겉뿌림은 중요한 방법 중의 하나이다. 오늘날 겉뿌림 초지조성에서 종자피복기술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시험은 산지초지에서 겉뿌림조성시 목초의 출현율과 정착율을 높이기 위해 화본과목초종자의 피복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종자 펠렛팅은 피복시간을 단축하고 단위시간당 피복량을 증가시킴으로서 종자피복의 새로운 기술로 평가되었다. 펠렛종자의 건조시간을 단축하고 건조온도를 낮춤으로서 화본과 목초종자의 발아세와 발아율이 증가하였다. 임간초지에서 펠렛종자는 종자의 출현, 정착 및 초기생육을 향상시켰다. 이상의 시험결과를 볼 때 임간초지에서 종자 펠렛팅 기술은 화본과목초의 정착과 초기생육 향상을 위한 새로운 기술로 평가되었다.

성형재료에 따른 담배 펠렛 종자의 물리적 틀성과 발아율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of Pelleted Tobacco Seeds Depending on Moulding Materials)

  • 민태기;박민숙;이석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35-541
    • /
    • 1996
  • 종자가 대단히 미세하여 육묘과정에서 많은 노동력이 소요되는 담배종자를 pelleting하여 육묘과정을 생력화할 목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Pelleting 방법은 종자+pelleting 물질(bentonite, cellulose, clay, vermiculite) + 접착제(polyox, pelgel, CMC, water)를 혼합하여 반죽을 만든 후 성형판을 이용하여 wn조식으로 pellet을 만들었다. 각 재료별 pellet 종자의 특성 및 발아율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ellet종자의 경도는 접착제의 농도에 비례하여 강했고, 재료별로는 bentonite 가 가장 경도가 강했고 어느 재료에서나 접착제의 농도에 비례하여 강했다. 또 200, 400, 600, 800g press/pellet의 경도를 가진 pellet종자의 파괴율은 각각 7.5%, 0.9%, 0.6%, 0.5% 였다. 2. Pelleting 물질 1g으로 지름 및 높이가 각각 2mm인 pellet 종자를 cellulose, bentonite, clay에서 각각266개, 92개, 57개 만들 수 있었다. 3. 담배종자와 재료의 혼합비율에 따라 pellet종자 1입당 포함된 종자의 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었다. 또 pellet 당 2∼3개의 종자를 목표로 했을 때 종자가 포함되지 않은 pellet은 6.9∼16.0% 였다. 4. Pellet 종자의 공기 중 수분흡수율은 재료별로 cellulose>bentonite>clay 순으로 낮았다. 5. Bentonite와 cellulose를 재료로한 pellet 종자의 발아율은 무처리(나종자)와 차이가 없었으나, clay를 재료로한 pellet종자에서는 paper towel 에서나 vermiculite 상토에서 모두 뚜렷한 발아저해 현상이 나타났다.

  • PDF

Inclusion of Dried Bakery Product in High Fat Broiler Diets: Effect on Pellet Quality,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Organ Weights

  • Catala-Gregori, P.;Garcia, V.;Madrid, J.;Orengo, J.;Hernandez, F.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5호
    • /
    • pp.686-693
    • /
    • 2009
  • A 21- to 42-day feeding study was conducted in Ross male broilers to evaluate the use of dried bakery product (DBP) and the influence of adding fat at different point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Six dietary treatments were formulated using a factorial arrangement (3${\times}$2 design) with three levels of fat in the mixer (high: 4.8%, medium: 3.8% and low: 2.8%) with or without DBP (0 and 7%). Additional fat was sprayed on pellets in a post-pelleting liquid application to bring the fat content to a similar level in all diets. Data on pellet quality (before and after post-pelleting fat addition), broiler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organ weights were studied. Pellets made with DBP showed higher hardness values when measured before post-pelleting fat addition (p<0.001), although DBP did not affect final pellet hardness or durability. Higher post-pelleting hardness and durability were shown by diets to which a lower level of fat had been added in the mixer (p<0.001). In general, post-pelleting fat application improved durability (p<0.05). However, broiler performance and ileal digestibility were not affected by any of the factors tested. Dietary treatments had a significant but variable effect on carcass yield (p<0.01),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regarding breast and leg yield, abdominal fat or organ weights. The results indicate that up to 7% DBP could be used in the broiler diet without impairing performance, ileal digestibility or organ weights. The place or point of fat addition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has a strong influence on pellet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