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iococcus sp.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3초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Sauce-type Kimchi

  • Jung, Suk-Hee;Park, Joung-Whan;Cho, Il-Jae;Lee, Nam-Keun;Yeo, In-Cheol;Kim, Byung-Yong;Kim, Hye-Kyung;Hahm, Young-Ta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7권3호
    • /
    • pp.217-222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LAB) from naturally fermented sauce-type kimchi. Sauce-type kimchi was prepared with fresh, chopped ingredients (Korean cabbage, radish, garlic, ginger, green onion, and red pepper). The two isolated bacteria from sauce-type kimchi were identified as Pediococcus pentosaceus and Lactobacillus brevis by 16S rDNA sequencing and tentatively named Pediococcus sp. IJ-K1 and Lactobacillus sp. IJ-K2, respectively. Pediococcus sp. IJ-K1 was isolated from the early and middle fermentation stages of sauce-type kimchi whereas Lactobacillus sp. IJ-K2 was isolated from the late fermentation stage. The resistance of Pediococcus sp. IJ-K1 and Lactobacillus sp. IJ-K2 to artificial gastric and bile acids led to bacterial survival rates that were 100% and 84.21%, respectively.

Antibiosis of Pediocin-Producing Pediococcus sp. KCA1303-10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in Mixed Cultures

  • Ahn, Cheol;Kim, Chung-Hoi;Shin, Hyun-Kyung;Lee, Young-Min;Lee, Yeon-Sook;Ji, Geun-Eo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3호
    • /
    • pp.429-436
    • /
    • 2003
  • Pediocin K1 is a bacteriocin produced by Pediococcus sp. KCA 1303-10, isolated from traditionally fermented flatfish in Korea. Pediocin K1-dependent antibiosis and pediocin K1-independent antibiosis against Listeria monocyrogenes were investigated by comparing antibiosis potential of the ped+ wild-type strain of Pediococcus sp. KCA1303-10 with that of the ped- mutant strain in 3 different media at 3 different temperatures. In the synthetic MRS-APT medium, bacteriocin (pediocin K1)-dependent antibiosis (BDA) acted as the major driving force of overall antibiosis at the initial stage before the pH of the media was not sufficiently lowered, while bacteriocin-independent antibiosis (BIA) took over the major role at the late stage of antibiosis by killing otherwise resistant cells in the modium. The role of BDA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of the system decreased. The antibiosis potential of BDA among the overall antibiosis of Pediococcus against Listeria at $37^{\circ}C$ was calculated as 46%, and as 75% at $25^{\circ}C$. In the skim milk medium, antibiosis of Pediococcus against Listeria was weakened more than 4 log cycles compared to that of the synthetic medium; however, BDA worked as the main antibiosis force regardless of the culturing temperature in the skim milk medium. In the bean soup medium, BDA also worked as the major killing mechanism against Listeria, but BIA played as another suppressing mechanism against otherwise pediocin-resistant Listeria popu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large portion of the inhibitory action of the ped+Pediococcus sp. KCA1303-10 was attributable to the bacteriocin produced by the strain and that viable Pediococcus sp. KCA1303-10 was superior to the purified bacteriocin in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the bacteriocin-resistant Listeria monocytogenes in food systems.

김치의 Pediococci에 존재하는 Plasmid DNA 분리 (Isolation of Plasmid DNA in Pediococci from Kimchi)

  • 박연희;류욱상;조도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1호
    • /
    • pp.33-37
    • /
    • 1988
  • 김치에서 분리한 Pediococci를 동정한 결과 Pediococcus pentosaceus, Pediococcus acidilactici 및 Pediococcus halophilus의 세종으로 밝혀졌다. 이 Pediococci의 미생물 생육저해 작용을 조사한 결과 P. pentosaceus는 모두 Streptococcus faecalis와 Pseudomonas sp., P20에 대하여 생육저해작용을 나타내었다. P. acidilatici는 S. faecalis와 Vibrio parahaemolyticus의 생육을 저해하였으나 P. halophilus는 4종의 test organism에 대하여 저해작용이 없었다. 이들 Pedicocci는 균주에 따라 한개로 부터 일곱개의 plasmid DNA를 가지고 있으며 그 분자량은 약 1 Mdal에서부터 약 60 Mdal 사이의 여러 크기의 plasmid DNA가 존재함이 밝혀졌다.

  • PDF

저염 오징어젓갈 숙성중 젖산균의 변화 (Changes in Lactic Acid Bacteria of Squid with Low Salt during Fermentation)

  • 조진호;오세욱;김영명;정동효;김정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208-1212
    • /
    • 1997
  • 수분활성을 조절한 오징어육으로 제조한 저염 오징어젓갈의 우점 미생물을 분리 동정하고 숙성중 변화를 조사하였다. 우점미생물은 젖산균으로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brevis, Leuconostoc sp., Pediococcus sp., Streptococcus sp.,로 동정되었으며 총균수의 80%를 차지하였다. 숙성중 Leuconostoc, Streptococcus, Pediococcus는 초기에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숙성적기 이후에 급속히 감소하였으며 Lactobacillus는 숙성적기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한편, yeast는 숙성중기 이후에 검출되었으며 숙성말기에 급격히 증가하여 주로 부패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가자미 식해 발효에서 Lactobacillus brevis GS1022과 Pediococcus inopinatus GS316의 균총 변화 연구 (Change in Lactobacillus brevis GS1022 and Pediococcus inopinatus GS316 in Gajami Sikhae Fermentation)

  • 임수정;배은영;설민경;조영제;정희영;김병오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91-500
    • /
    • 2020
  • 유산균은 장 건강, 심장질환, 우울증, 비만 등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다고 널리 알려져 있고, 특히 한국은 다양한 발효식품에서 유산균을 섭취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 발효식품에서 분리된 유산균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김치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대표적인 어류 전통 발효식품인 식해류의 유산균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발효식품인 가자미 식해의 발효에 관여하는 유산균의 배양일에 따른 균총의 변화를 관찰하고, 가자미 식해로부터 프로바이오틱스로 이용 가치가 있는 균을 분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포항의 가정집에서 제조된 가자미 식해에서 유산균을 제조일로부터 50일까지 5일 간격으로 분리하고 동정하였고, 동정 결과 P. pentosaceus, P. inopinatus, Lc. mesenteroides, L. brevis, L. plantarum 5개 균주가 발효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초기 발효에는 Pediococcus sp.가, 중기 이후부터는 Lactobacillus sp.가 우세하게 발효에 관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리한 유산균 중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가지는 균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산내성, 담즙산 내성 시험을 통해 균주를 선별한 뒤 응집능, 표면 소수성,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가자미 식해 분리 균주 중 최종적으로 선택된 소화액 내성이 뛰어난 L. brevis GS1022와 응집능이 뛰어난 P. inopinatus GS316은 프로바이오틱 균주로 이용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사료된다.

전통 명태식해 숙성중의 미생물 및 효소학적 특성 (Microbiological and Enzymatic Characteristics in Alaska Pollack Sikhae during Fermentation)

  • 차용준;김소정;정은정;김훈;조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1709-1714
    • /
    • 2004
  • 숙성온도 조건(5$^{\circ}C$, 2$0^{\circ}C$ 및 변온조건)을 달리한 명태식해에서 숙성에 지배적으로 관여하는 미생물상의 변화 및 효소학적 특성을 구명하였다. 2$0^{\circ}C$조건의 숙성초기에는 단백질분해균이나 Lactobacillus속 및 Pediococcus속이 총균수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숙성 10일 이후에는 단백질분해 3, Leuconostoc속, Streptococcus속 및 Pediococcus속의 감소가 총균수의 감소에 기여하였고 숙성 10일 이후의 총균수는 Lactobacillus속, Pediococcus속 및 효모가 대부분이었다. 변온조건의 경우 숙성 10일 이후에도 총균수가 일정수준을 유지하였는데, 이는 Lactobacillus속, Pediococcus속 및 Streptococcus속이 변온 이후에도 균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2$0^{\circ}C$와 변온에서 숙성 10일 이후의 균증식 양상은2$0^{\circ}C$의 경우효모의 증식이 우세한 반면에, 변온에서는 Streptococcus속의 증식이 우세하였다. 반면 5$^{\circ}C$의 경우 Lactobacillus속이 숙성초기에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특히 Leuconostoc속이 다른 조건의 비해 오래 지속되었다. 산성단백질분해효소 및 지방분해효소 활성은 온도에 민감하여 2$0^{\circ}C$일 때가 5$^{\circ}C$보다 활성이 높은 반면 중성 단백질분해효소와 지방분해효소는 온도에 따른 활성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변온조건에서는 단백질분해효소의 경우 실활 되었고, 지방분해효소는 온도변화에 적응력이 존재하여 활성 이 유지되었다.

저염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3. 저염정어리젓의 미생물상의 변화 (Studio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s 3. Changes of Microflora during Fermentation of Low Salted Sardine)

  • 차용준;정수열;하재호;정인철;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1-215
    • /
    • 1983
  • 식염 $8\%$$10\%$에 에틸알코올 $6\%$, sorbitol $6\%$, 젖산 $0.5\%$를 첨가하여 담근 저염정어리젓의 숙성중의 미생물상의 변화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숙성기간중의 수분함량은 식염을 $20\%$ 첨가한 대조시료의 경우, 숙성 20일 경에 $57.2\%$에서 숙성 80일경에 $62.8\%$로 증가하였으며, 식염을 $8\%$$10\%$ 첨가한 저염정어리젓에서는 $63\%$ 내의로 큰 변화는 없었고 pH는 전시료 모두 다 6.0 부근이었다. 2. 식염농도 $8\%$$10\%$ 정어리젓의 경우, 숙성기간중 식염농도 $20\%$의 정어리젓 보다 생균수가 적은 이유는 알코올, sorbitol, 젖산첨가에 의한 미생물생육억제효과라 생각된다. 3. 정어리젓 숙성중에 분리동정된 균은 Bevibacterium marinopiscosum, Bacillus subtilis, Micrococcus sp., Halobacterium sp., Pseudomonas sp., Flavobacterium marinovirosum, Pediococcus cerevisiae의 7종의 세균과 1종의 효모인 Torulopsis sp.으로 추정되었으며, 숙성초기에 Brevibacterium, Pseudomonas, Flavobacterium, Baciilus 속의 균이 분리되었으나 숙성후기에는 대조시료에서는 Halobacterium, Micrococcus, Pediococcus 속 및 Torulopsis 속의 균이 분리되었고, 식염을 $10\%$$8\%$를 첨가한 저염정어리젓에서는 Brevibacterium, Micrococcus, Pediococcus 속의 균이 분리되었다.

  • PDF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Lytic Pediococcus Bacteriophage from the Fermenting Cucumber Brine

  • Yoon, Sung-Sik;Baprangou-Poueys Roudolphe;Jr Fred Breidt;Fleming Henry P.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262-270
    • /
    • 2007
  • Of the twelve lytic bacteriophages recovered from five different fermenting cucumber tanks that were inoculated with Pediococcus sp. LA0281, a lytic phage, ${\phi}ps05$, was characterized in the present study. The plaques were mostly clear and round-shaped on the lawn of starter strain, indicating lytic phage. Overall appearance indicated that it belongs to the Siphoviridae family or Bradley's group B1, with a small isometric head and a flexible noncontractile tail with swollen base plate. The average size was found to be 51.2 nm in head diameter and 11.6 nm wide ${\times}$ 129.6 nm long for the tail. The single-step growth kinetics curve showed that the eclipse and the latent period were 29 min and 34 min, respectively, and an average burst size was calculated to be 12 particles per infective center. The optimum proliferating temperature ($35^{\circ}C$)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cell growth ($35\;to\;40^{\circ}C$). The structural proteins revealed by SDS-PAGE consisted of one main protein of 33 kDa and three minor proteins of 85, 58, and 52 kDa. The phage genome was a linear double-stranded DNA without cohesive ends. Based on the single and double digestion patterns obtained by EcoRI, HindIII, and SalI, the physical map was constructed. The overall size of the phage genome was estimated to be 24.1 kb. The present report describes the presence of a lytic phage active against a commercial starter culture Pediococcus sp. LA0281 in cucumber fermentation, and a preliminary study characterizes the phage on bacterial successions in the process of starter-added cucumber fermentation.

저염 물김치의 미생물균총 특성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ow Salt Mul-kimchi)

  • 오지영;한영숙;김영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02-508
    • /
    • 1999
  • 염 농도$(0{\sim}3%)$와 발효 온도$(4,\;15,\;25^{\circ}C)$를 달리 하였을 때 물김치의 미생물 균총의 특성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 물김치의 경우 총 균수는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염 농도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나, 배추 물 김치의 경우 염 농도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Lactobacillus, Lenconostoc 속 균수는 염 농도 1.0% 숙성 김치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배추 물김치는 $4^{\circ}C$에서 염 농도 3.0% 시료가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그 외 시료들은 온도별, 염 농도별 큰 차이가 없었다. Streptococcus 속과 Pediococcus 속은 Leuconostoc, Lactobacillus속 보다 낮은 분포를 보였고, 염 농도 1.0% 숙성 김치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배추 물김치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대장균수와 Gram (-)균수는 염 농도 3.0% 김치가 균수도 적었고 초기에 증가하였다가 젖산균이 증식하여 산도가 증가하면 그 수가 감소되었다. 효모는 발효 초기에는 발견되지 않다가 발효 후기에 증가하였으며 온도와 염 농도가 높을수록 균수가 증가하였다. 배추 물김치에서도 $15,\;25^{\circ}C$에서 염 농도가 높은 시료에서 비교적 높게 계수되어 무 물김치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배추 물김치의 경우 초기부터 효모가 계수되어 주재료간 차이를 보였다. 각각의 선택배지에서 순수분리, 동정된 균은 무 물김치의 경우 젖산균류는 염 농도 0.2% 김치에서는 Lactobacillus plantarum, L. pentosus, Leuconostoc citrum, 염 농도 1.0% 김치에서는 L. plantarum, L. pentosus, Leu.mes.ssp.mesenteroides/dextranicum, Streptococcus facium이 동정되었고, 염 농도 3.0% 김치에서는 L. plantarum, L. brevis, Leu. mes.ssp.mesenteroides/dextranicum, Str. facium이 각각 분리 동정되었으며 Pediococcus는 미확인되었다. Gram (-)균과 효모는 공통적으로 Gram (-)균으로는 Aeromonas hydrophila, 효모로는 Candida pelliculosa가 각각 분리 동정되었다. 배추 물김치의 경우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citrum, Leu. mes.ssp.mesenteroides/dextranicum, Streptococcus facium이 동정되었으며, Pediococcus는 역시 미확인되었다. Gram (-)균은 Pseudomonas fluorescens, Pseu. aureofaciens가 각각 분리 동정되어 주재료간 차이를 보여주었다.

  • PDF

Characteristics of Bacteriocin and Mucin Production Phenotypes in Lactobacillus plantarum 27

  • Kim, Wang-Jung;Ha, Duk-Mo;Ray, Bibe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권2호
    • /
    • pp.96-101
    • /
    • 1991
  • Phenotypic changes after plasmid curing experiment suggested that the bacteriocin production phenotype ($Bac^{+}$) might be linked to a chromosomal DNA and the mucin production phenotype ($Muc^{+}$) might be linked to a 62.5 kilobase (kb) plasmid (pMUC62) in Lactobacillus plantarum 27 isolated from meat starter culture. The non-mucoid ($Muc^{-}$) variants were missing pMUC62 but they produced bacteriocin as the wild strain ($Bac^{+}$). There was no difference in antibiotic resistance and sugar fermentation patterns between the wild strain ($Bac^{+}$ $Muc^{+}$) and the nonmucoid ($Bac^{+}$ $Muc^{-}$) variants. Antimicrobial spectrum of bacteriocin produced by both wild strain and $Muc^{-}$ variant of Lb. plantarum 27 included strains of Pediococcus acidilactici (A, M, H), Pediococcus sp. isolated from meat, Lactobacillus sp. isolated from meat, Lb. plantarum NCDO 955 and Staphylococcus aureus 485. Neither of the tested Gram negative bacteria were inhibited by bacteriocin. Antimicrobial activity of crude bacteriocin was retained after autoclaving, DNase or catalase treatment and exposure from pHs 4 to 9 but was lost after treating with several proteolytic enzymes and exposure at pH 10.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