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iococcus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25초

누룩으로부터 오르니틴 생성능을 갖는 Pediococcus 속 균주의 분리 및 오르니틴 함유 막걸리의 3T3-L1 세포의 중성지질 축적 억제 효과 (Isolation of Pediococcus Strain from Nuruk and Anti-Lipid Accumulation Effect of Ornithine-Containing Makgeolli on 3T3-L1 Cells)

  • 육진선;오석흥;김수곤;이요셉;문은경;차연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9호
    • /
    • pp.1264-126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누룩에서 ornithine 생성능을 보유하고 있는 Pediococcus 속 균주를 동정하고, ornithine 생성 유산균인 Pediococcus pentosaceus TNO-4를 이용하여 막걸리를 제조하였다. Ornithine의 전구물질인 arginine과 Pediococcus pentosaceus TNO-4를 첨가하여 제조한 ornithine 함유 막걸리의 ornithine 함량을 측정하고 세포 수준에서의 지방구 형성 억제 효과를 통한 항비만 효과를 평가하였다. Ornithine 막걸리의 ornithine 함량은 일반 막걸리에 비하여 3배 증가되었으며, 세포 실험 결과 0.05 mg/mL 농도의 ornithine 막걸리를 3T3-L1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독성이 없는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지방구 형성을 억제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기능성 물질이 강화된 우리나라 전통술인 막걸리를 통하여 지질축적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더 나아가서 기능성이 부각된 막걸리의 개발을 통하여 막걸리 시장에 새로운 판로를 개척할 수 있고, 누룩에서 분리된 ornithine 생성능을 가진 유산균은 막걸리 이외에 여러 가지 발효식품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치로부터 분리한 Helicobacter pyroli 억제능 유산균 Pediococcus pentosaceus MD1의 흰쥐에 대한 반복투여독성 연구 (Repeated-Dose Toxicity Study of Pediococcus pentosaceus MD1, an Anti-Helicobacter pyroli Activity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in Rats)

  • 이재준;이유미;장해춘;이명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975-982
    • /
    • 2007
  • 본 연구는 H. pyroli 억제능을 지닌 김치 유래 유산균인 Pediococcus pentosaceus MD1을 가지고 궤양 예방효과를 지닌 김치를 개발하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독성평가 실험을 수행하고자 4주 반복 투여 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시험에서 설정한 최고 용량 투여군인 2,000 mg/kg에서도 일반증상관찰, 체중변화, 사료섭취량 및 물 섭취량을 측정한 결과, 모두에서 시험물질과 관련된 유의성 있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혈액학적, 혈액생화학적 검사 및 장기의 육안적 관찰 및 장기 중량변화에서도 대조군과 유의성이 있는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없었으며, 모두 정상범위를 벗어나지 않아 시험물질에 기인하는 이상소견을 발견할 수 없었으므로, 최대 무해 용량은 2,000 mg/kg 이상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상의 결과 4주 반복 투여 독성시험 결과 H. pyroli 억제능을 지닌 유산균인 Pediococcus pentosaceus MD1은 저독성물질로 판정되었으며, 유산균이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안전성 확인을 통하여 소비자들에게 소화성 궤양 예방효과를 지닌 안전하고 차별화된 경쟁력 있는 김치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백합(Meretrix meretrix) 식해에서 분리한 Pediococcus pentosaceus SH-10에 의한 병원성 세균의 억제 기작 (Inhibition of Pathogenic Bacteria by Pediococcus pentosaceus Strain SH-10 Isolated from Hard Clam Meretrix meretrix Sikhae)

  • 신동민;김희대;구재근;박권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600-605
    • /
    • 2012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echanism of inhibition of pathogenic bacteria by Pediococcus pentosaceus strain SH-10 isolated from hard Clam Meretrix meretrix sikhae. When P. pentosaceus SH-10 was co-cultured in MRS broth with pathogenic bacteria, including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choleraesuis and Staphyloccus aureus, no viable pathogenic cells were detected after 18 h of incubation. However, pediocin or a pediocin-like bacteriocin was not detected in cultures of P. pentosaceus SH-10 by the agar diffusion method. Organic acids were produced in MRS broth in proportion to the incubation time of P. pentosaceus SH-10.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 pentosaceus SH-10 inhibited the growth of pathogenic bacteria by lowering the pH of the growth medium through the production of organic acids, including sodium lactate, sodium acetate, and sodium citrate.

Pediococcus halophilus로부터 생성한 $\alpha$-Glucosid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alpha$-Glucosidase from Mococcus halophilus)

  • 민해기;이호근;문지웅;강국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3-149
    • /
    • 1992
  • 호화전분이 포함된 김치로부터 유산을 생성하는 6균주를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균주는 soluble starch가 포함된 APT 액체배지에서 분리균주의 생육과 $\alpha$-glucosidase 활력이 우수한 No.2 균주를 선별하였다. 이 분리균은 Pediococcus halophilus 또는 그 유연균으로 동정되었다. 효소의 정제는 protamine sulfate에 의한 핵산의제거, ammonium sulfate 분획, gel filtration 및 ion exchange 등의 4단계 정제과정을 거친 결과 20.17배 정제되어 단일 band 효소로 분리되었다.

  • PDF

프로바이틱스 Lactobacillus helveticus와 Pediococcus pentosaceus의 조합에 의한 진세노사이드의 발효적 형질전환 (Fermentative transformation of ginsenosides by a combination of probiotic Lactobacillus helveticus and Pediococcus pentosaceus)

  • ;;김진만;양승환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36-441
    • /
    • 2018
  • 인삼은 우수한 약리 활성 작용을 보이는 전통적인 약초이다. 본 연구에는 프로바이오틱스 Lactobacillus helveticus KII13과 Pediococcus pentosaceus KID7 균주를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조 인삼 추출물을 발효시켜 진세노사이드를 형질전환 시키는데 사용되었다. 발효삼 추출물의 TLC(Thin-layer chromatography) 분석 결과, 5일간의 발효 후 주요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 Rg3, Rh1 및 Rh2로 변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HPLC 분석을 수행하여 주요 및 미량 진 세노사이드를 정량화하였다. 3일째에는 Rg3가 나타나고, 5일째에는 Rh2 및 Rh1이 나타난다. L. helveticus KII13과 P. pentosaceus KID7의 공동 배양은 주요 진세노사이드(Rb1과 Rg1)를 미량 진세노사이드(Rg3, Rh2, Rh1)로 전환시키는 것을 학인하였다.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Pediococcus pentosaceus strains from kimchi in weaned piglet challenged with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enterica

  • Dongcheol Song;Jihwan Lee;Kangheung Kim;Hanjin Oh;Jaewoo An;Seyeon Chang;Hyunah Cho;Sehyun Park;Kyeongho Jeon;Yohan Yoon;Yoonjeong Yoo;Younghyun Cho;Jinho C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3호
    • /
    • pp.611-626
    • /
    • 2023
  • Escherichia coli (E. coli) and Salmonella enterica (SE) infections in pigs are major source associated with enteric disease such as post weaning diarrh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diococcus pentosaceus in weaned piglets challenged with pathogen bacteria. In Experiment.1 90 weaned piglets with initial body weights of 8.53 ± 0.34 kg were assigned to 15 treatments for 2 weeks.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wo trials in a 2 × 5 factorial arrangement of treatments consisting of two levels of challenge (challenge and non-challenge) with E. coli and SE, respectively and five levels of probiotics (Control, Lactobacillus plantarum [LA], 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WK1 [38W], Pediococcus acidilactici K [PK], Lactobacillus reuteri PF30 [PF30]). In Experiment.2 a total of 30 weaned pigs (initial body weight of 9.84 ± 0.85 kg) were used in 4 weeks experiment. Pigs were allocated to 5 groups in a randomized complete way with 2 pens per group and 3 pigs per pen. Supplementation of LA and 38W improved (p < 0.05)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pathogen bacteria count, fecal noxious odor and diarrhea incidence.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38W strains isolated from white kimchi can act as probiotics by inhibiting E. coli and SE.

김치 유래 젖산균의 세포외 효소활성의 측정 (Extracellular enzyme activities of the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최신양;정병문;김현정;성승희;김왕준;박완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9-61
    • /
    • 2000
  • The various extracellular enzymes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were assayed to improve the shelf-life of kimchi. Peroxidase was not detected in all tested lactic acid bacteria and small amount of ascorbic acid oxidase was detected in Pediococcus pentosaceus and Lactobacillus brevis. In case of $\alpha$-amylase, 27.8 and 20.9 unit/mg were shown in Pediococcus acidilactici and Pediococcus pentosaceus, respectively but $\beta$-amylase and protease activities were very low. The enzyme related to textural property of kimchi, pectinesterase showed low activity but polygalacturonase activity was 0.28 unit/mg in Lactobacillus homohiochii and 0.27 unit/mg in Lactobacillus plantarum.

  • PDF

Plasmid Linkage of Bacteriocin Production and Sucrose Fermentation Phenotypes in Pediococcus acidilactici M

  • Kim, Wang-June;Ha, Duk-M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권3호
    • /
    • pp.169-175
    • /
    • 1991
  • Pediococcus acidilactici strain M produced a bacteriocin which was proteinaceous, heat stable, and exhibit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lactic acid bacteria, variety of food spoilage and pathogenic bacteria.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not caused by $H_2$$O_2$ and organic acid, and was remained between pHs of 4.0 to 9. Molecular weight of crude bacteriocin was approximately 2, 500. Phenotypic assignment after plasmid cruing experiment demonstrated that a 53.7 kilobase (kb) plasmid, designated as pSUC53, was responsible for the sucrose fermentation phenotype ($Suc^+$) and a 11.1 kb plasmid, designated as pBAC11, was associated with bacteriocin production phenotype ($Bac^+$). Neither of the two plasmids were linked to antibiotic resistance.

  • PDF

Use of Bacteriocinogenic Pediococcus acidilactici in Sausage Fermentation

  • Kim, Wang-June;Hong, Seok-San;Cha, Seong-Kwan;Koo, Young-J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권3호
    • /
    • pp.199-203
    • /
    • 1993
  • The bacteriocin produced by Pediococcus acidilactici KFRI 168 exhibited a wide antimicrobial spectrum including many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and Enterococcus faecium by both disk and deferred assay methods. Inhibition of Lis. monocytogenes and Stph. aureus were observed only from deferred assay. Gram-negative bacteria were not inhibited. Bacteriocin production was observed at 10 h, and was maximized at 16 h in MRS broth incubated at $37^{\circ}C$. In a beaker sausage fermented with P. acidilactici KFRI 168, viable counts of Stph. aureus, Salmonella, Escherichia coli, Clostridium perfringens, and Lis. monocytogenes were reduced by 2.8, 2.3, 2.4, 0.7, and 0.5 log CFU/g, respectively. Inoculated P. acidilactici KFRI 168 maintained its viable count of more than $10^8$ CFU/g during the whole fermentation period, and it took less than 8 h to reduce sausage pH below 5.

  • PDF

가자미 식해 발효에서 Lactobacillus brevis GS1022과 Pediococcus inopinatus GS316의 균총 변화 연구 (Change in Lactobacillus brevis GS1022 and Pediococcus inopinatus GS316 in Gajami Sikhae Fermentation)

  • 임수정;배은영;설민경;조영제;정희영;김병오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91-500
    • /
    • 2020
  • 유산균은 장 건강, 심장질환, 우울증, 비만 등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다고 널리 알려져 있고, 특히 한국은 다양한 발효식품에서 유산균을 섭취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 발효식품에서 분리된 유산균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김치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대표적인 어류 전통 발효식품인 식해류의 유산균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발효식품인 가자미 식해의 발효에 관여하는 유산균의 배양일에 따른 균총의 변화를 관찰하고, 가자미 식해로부터 프로바이오틱스로 이용 가치가 있는 균을 분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포항의 가정집에서 제조된 가자미 식해에서 유산균을 제조일로부터 50일까지 5일 간격으로 분리하고 동정하였고, 동정 결과 P. pentosaceus, P. inopinatus, Lc. mesenteroides, L. brevis, L. plantarum 5개 균주가 발효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초기 발효에는 Pediococcus sp.가, 중기 이후부터는 Lactobacillus sp.가 우세하게 발효에 관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리한 유산균 중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가지는 균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산내성, 담즙산 내성 시험을 통해 균주를 선별한 뒤 응집능, 표면 소수성,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가자미 식해 분리 균주 중 최종적으로 선택된 소화액 내성이 뛰어난 L. brevis GS1022와 응집능이 뛰어난 P. inopinatus GS316은 프로바이오틱 균주로 이용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