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estrian route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1초

미시적 교통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보행자도로 서비스 수준 평가 (Level of Service Evaluation of Pedestrian Road Using Micro-Simulation)

  • 박순용;조혜림;조가영;윤일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26-36
    • /
    • 2020
  • 보행자도로의 서비스 수준을 판단하는 평가지표인 보행 교통류율, 점유공간, 밀도, 속도 등의 정량적 자료를 산출하는 것은 많은 시간 소요와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적절한 보행자 정책 수립을 위한 대체 대안으로 보행자의 미시적 경로 파악과 이를 활용한 서비스 수준 판단기술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역인 역삼역을 중심으로 미시적 교통류 분석 프로그램인 VISSIM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정산 및 검증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도로용량편람 상의 속도를 활용하여 보행자 도로의 서비스 수준을 판단해 보았다.

Pedestrian Network Models for Mobile Smart Tour Guide Services

  • Jwa, Jeong-W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8권1호
    • /
    • pp.27-32
    • /
    • 2016
  •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enabled mobile phones provide location-based applications such as car and pedestrian navigation services. The pedestrian navigation services provide safe and comfortable route and path guidance for pedestrians and handicapped or elderly people. One of the essential components for a navigation system is a spatial database used to perform navigation and routing functions. In this paper, we develop modeling and categorization of pedestrian path components for smart tour guide services using the mobile pedestrian navigation application. We create pedestrian networks using 2D base map and sky view map in urban area. We also construct pedestrian networks and attributes of node, link, and POI using on-site GPS data and photos for smart pedestrian tour guide in the major walking tourist spots in Jeju.

Space syntax 기법을 활용한 Social Path 효과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Social Path Using the Space Syntax Technique)

  • 최성택;이향숙;추상호;장진영;김수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92-203
    • /
    • 2015
  • 보행자는 일반적인 보행로뿐만 아니라 건물을 통과하거나 넓은 공간을 가로지르는 등의 비정형적인 보행 경로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이동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보행 경로를 social path로 정의하여 보행 네트워크의 범주 안에 포함시켜 정의하였다. 기존의 보행 접근성 연구에서는 이러한 보행 경로를 고려하지 못해 대상지의 공간적 위계 수준과 각 가로의 연결성을 올바르게 평가하지 못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는 대중교통의 요지임과 동시에 상업 시설이 밀집된 서울의 주요 대상지를 선정하여 social path의 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네트워크 공간 분석에서 활용되는 space syntax 기법의 공간 통합도(Integration)를 평가 지표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social path로 인해 각 가로의 연결성이 변화됨과 동시에 보행자의 최적 경로가 합리적으로 바뀌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상지 내부의 주요 가로와 social path의 개선효과가 두드러졌다. 이러한 점을 통해 social path의 연결성이 뛰어나고 보행자의 최적 경로를 보다 현실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하였다.

보행교통류 시뮬레이션 모형을 활용한 보행편의성 지표의 개발 및 분석 (Assessment of Pedestrian Comfort Levels Based on the Microscopic Features of Pedestrian Traffic Flow)

  • 이주용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99-509
    • /
    • 2016
  • 보행교통류의 통행은 다른 교통수단과 비교하여 더 미시적인 움직임을 보인다. 정해진 차선의 구분 없이 통행하므로 2차원적인 움직임을 보일 수 있으며, 자유로운 방향전환 능력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보행교통류의 편의성을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보행교통류의 미시적인 특성이 반영되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만일 보행자만의 행태를 반영하여 편의성을 평가할 수 있다면 보행교통류의 통행 특성을 더 원활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행교통류의 특성을 반영하여 편의성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들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로이탈도, 속도의 변화 크기, 그리고 충돌 횟수라는 세 편의성 지표를 통해 보행교통류의 편의성을 평가할 수 있음을 보였다. 각각의 지표들은 보행교통류의 고유한 통행 특성을 해석할 수 있으면서도, 교통류율의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함수 형태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교통유율이나 속도와 더불어서 LOS를 판단할 수 있는 보조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edestrian GPS Trajectory Prediction Deep Learning Model and Method

  • Yoon, Seung-Won;Lee, Won-Hee;Lee, Kyu-Chu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8호
    • /
    • pp.61-68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모델 기반 보행자의 GPS 경로를 예측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보행자 경로 예측은 보행자의 위험 및 충돌 상황들을 알림을 통해 방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마케팅 등 비즈니스 면에서도 영향을 끼치는 연구이다. 또한 보행자 뿐 아니라 많은 각광을 받고 있는 무인 이동수단의 경로 예측에도 활용될 수 있다. 다양한 경로 예측 방식들 중 본 논문은 GPS 데이터를 활용하여 경로를 예측하는 연구이다. 시계열 데이터인 보행자의 GPS 경로를 학습하여 다음 경로를 예측하도록 하는 딥러닝 모델 기반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보행자의 GPS 경로를 딥러닝 모델이 학습할 수 있도록하는 데이터 셋 구성 방식을 제시하였으며, 예측 범위에 큰 제약이 없는 경로 예측 딥러닝 모델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경로 예측 딥러닝 모델에 적합한 파라메터들을 제시하였으며, 우수한 예측 성능을 보이는 결과를 제시한다.

토공 운반경로 탐색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Dump Truck Route Exploration System)

  • 강상혁;박수현;서종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6호
    • /
    • pp.957-96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건설관리자 및 덤프트럭 운전자에게 효율적인 토사 운반경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덤프트럭 운반경로 탐색 시스템(DRES)'을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은 Esri사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애널리스트(Network Analyst)'를 분석 엔진으로 탑재하고 있으며, 경로 데이터는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을 활용한다. DRES는 사용자가 출발지(현장)와 목적지(사토장 혹은 토취장)를 선정하면 덤프트럭이 효율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경로를 도출해내도록 구현되었다. 이 경로는 덤프트럭의 운행이 금지된, 제한중량이 있는 교량이나 높이제한이 있는 육교 등을 우회하여 생성된다. 개발한 DRES를 사례 현장에 적용한 결과 운행 제약 조건들을 회피하는 경로를 도출하여 운전자에게 더욱 효율적인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량용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이용한 보행 네트워크 및 경로 생성 기법 (Study on the Method to Create a Pedestrian Network and Path using Navigation Data for Vehicles)

  • 가칠오;이원희;유기윤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67-74
    • /
    • 2011
  • 최근 들어 스마트폰 등 모바일 단말기의 활용이 증대되면서 이동 중인 보행자에게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행자 내비게이션 서비스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내비게이션 서비스에서 도로 네트워크는 경로와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데 있어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 하지만, 차량을 위한 도로 네트워크에 비하여 보행 네트워크는 더욱 상세하고 방대한 공간에 대한 모델링 기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기존에 현지 조사와 수동 편집 과정을 통하여 구축하는 방법보다 효율적인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 구축되어 있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행자에게 적합한 보행 네트워크 생성 기법을 제안하였다. 보행 네트워크는 실제 보행자의 이동과 유사한 경로를 생성하기 위하여 보행 공간을 그 특성에 따라 보행 링크(인도, 이면도로, 보행 시설물)와 오픈 스페이스 링크로 구분하고 서로 다른 방법을 적용하여 구축하였다. 이와 같은 기법은 보행 네트워크 생성에 관한 표준 및 방법론이 존재하지 않는 현 시점에서 하나의 효율적인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ocial path를 반영한 보행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destrian Accessibility Considering Social Path)

  • 최성택;이향숙;추상호;김수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0-60
    • /
    • 2015
  • 보행자는 일반적인 보행로를 따라 이동할 뿐만이 아니라 건물을 통과하거나 넓은 공간을 가로지르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동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일반적이지 않은 보행 경로를 social path로 정의하여 보행 네트워크 중 하나로 정의하였다. Social path는 일반적인 보행 네트워크상에서는 구현되지 않지만 현실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이용해 통행하는 경로를 의미한다. 기존의 보행 접근성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실적인 통행 패턴을 구현하지 못함으로 인해 보행로 및 시설의 보행 접근성을 올바르게 평가하지 못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의 코엑스와 고속터미널 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social path의 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효과 분석을 위해서는 서비스 권역 분석과 UNA기법을 활용하였다. 특히, 네트워크의 구현 정도를 3step으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social path가 추가된 step3에서 보행 접근성 개선 효과가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향후 관련 연구에서 보행 접근성을 평가하는데 있어 social path를 고려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social path로 인해 현재 보행 접근성 평가 측면에서 저평가를 받는 다양한 시설물들이 주목받을 것으로 기대한다.

공동주택단지 담장공간을 이용한 보행자도로 설치 가능성 연구 (Pedestrian Road at the Wall Space between Old Apartment Sites)

  • 장희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494-505
    • /
    • 2014
  • 공동주택단지에는 주민편익과 안전을 위해 단지 중심을 관통하는 보행자전용도로가 필요하다. 그러나 과거에 조성된 단지들은 단지 사이가 담장으로 막혀 있고 보행자전용도로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편익시설이용과 안전상의 문제를 안고 있다. 주민들은 담장 주변의 공간을 비공식적인 보행로로 이용하거나 담장을 일부 철거하고 통행문을 만들어 대처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 건설된 택지개발지구에서는 단지 사이에 보행자전용도로를 설치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주민행태와 최근의 계획사례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과거에 조성된 아파트 단지 사이의 담장을 철거하고 담장과 담장 주변의 녹지에 보행자도로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착안하였다. 1990년대에 조성된 광주광역시 첨단지구의 저층 아파트 단지를 사례 대상지로 선택하여 담장과 담장 주변을 실측하여 보행자도로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조사결과 아파트 담장 주변의 공간은 최소 2.4m에서 최대 8m까지 공간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공간에 보행자 전용도로를 설치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담장 공간에 보행자도로 개설을 위한 공간확보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한정되었고, 보행자도로 설치로 인해 피해를 볼 수도 있는 주민의 의견을 파악하지는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탐욕 알고리즘 기반 다중 출구 대피경로 할당 (An Evacuation Route Assignment for Multiple Exits based on Greedy Algorithm)

  • 이민혁;남현우;전철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9-80
    • /
    • 2016
  • 재난 발생 시, 실내 공간에서의 신속한 대피를 위해 총 대피시간 최소화를 목적으로 일부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총 대피시간이 최소화되는 최적 대피경로를 산출하는데 오랜 연산시간이 소요되어 실제 재난 상황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짧은 연산시간으로 총 대피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대피경로 할당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피경로 할당 알고리즘은 다수의 출구가 존재하는 건물에서 대규모 인원 대피 시, 각 출구에 적절하게 대피인원을 할당하여 출구들의 교통 정체 상황을 균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총 대피시간을 단축시키는 알고리즘이다. 각 출구에 대피인원을 할당하는 방법은 그래프 이론을 기반으로 탐욕 알고리즘의 접근방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알고리즘의 검증을 위해 cellular automata 기반 대피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였으며 실제 건물과 유사한 구조에서 다양한 인원분포를 적용한 뒤 실험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최단거리 출구 대피보다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을 때 총 대피시간이 감소되었고 대형 건물 구조에서도 짧은 연산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