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estrian Crosswalk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41초

신호교차로 횡단보도 보행량 추정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f Crosswalk Pedestrian Volume at Signalized Intersection)

  • 하태준;김정현;박제진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21-134
    • /
    • 2003
  • 횡단보도의 안전성과 교통 소통을 동시에 고려하면서 횡단보도 보행자사고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보행자사고 예측모형이 꾸준히 연구되어 왔으나, 기존의 예측모형에서는 횡단보도 보행자사고의 당사자에 해당하는 보행량이라는 변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보행량과 관련한 자료가 구축되어 있지 않고. 보행량 추정방법 역시 없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준년도 신호교차로 주변의 토지이용특성과 횡단보도 보행량을 조사하여 횡단보도 보행유출입량 추정모형을 구축하였다. 다음으로, 추정된 횡단보도 보행유출입량을 중력모형의 마찰계수와 구역간 조정계수, 그리고 대각횡단 보행비율을 적용하여 횡단보도 보행경로별로 보행량을 분포시킴으로서 목표년도(보행자사고 발생 시점 또는 장래)의 횡단보도 보행량 추정방법을 제시하였다.

횡단보도의 교통사고 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The Setting in the Range of Traffic Accident on the Crosswalk)

  • 김장욱;정민영;강동수;홍지연;이수범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20-126
    • /
    • 2011
  • Under the current law or system, the range of traffic accident on the crosswalk does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 and the pedestrian's walking pattern. Thus, this study conducted a video recording survey on the 250 spots which are high to traffic accident rate of pedestrian-vehicle to reset the range of traffic accident on or near the crosswalk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 and the pedestrian's walking pattern.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rough a video recording survey, this study analyzed the pattern of pedestrians and extracted the variables influenced in the pedestrian's walking pattern. After conducting th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made the model of measuring the range of traffic accident on the crosswalk. Through all processes these, this study reset the range of traffic accident on the crosswalk which could minimize the disadvantages of pedestrian when they have an accident on the crosswalk and ensure the right of way of pedestrian.

운전자 인지특성 분석을 통한 횡단보도 디자인 연구 (Pedestrian Crosswalk Design based on the Assessment of Driver Recognition)

  • 이주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61-369
    • /
    • 2020
  • With the increasing role of environmental design in promoting urban safety, new design attempts have been made to improve pedestrian safety in crosswalks. This study proposes an evidence-based design solution for improving crosswalk function by conducting simulations and field experiments. Drivers with more than one-year driving experie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ur different crosswalk design patterns were prepared: (1) a zebra pattern, (2) zebra pattern with colored triangles, (3) 3D pattern, and (4) art pattern with unique colors and design. The results supported that the zebra pattern with colored triangles could be the most effective solution for crosswalk design by increasing visibility, attention, deceleration, and landscape aesthetics. This study provided objective data to support the performance of various crosswalk patterns and suggested the need to reevaluate the present crosswalk design guidelines.

횡단보도에서 무선제어가 가능한 도로표지병 도입효과 (Effects of Wireless Controlled In-Pavement Flashing Light System at Pedestrian Crosswalk)

  • 진희채;이종호;최석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09-115
    • /
    • 2012
  • 보행자의 안전은 교통 및 도로행정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되어지고 있다. 국가에서도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특히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안전은 매우 절실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횡단보도상에서의 보행자 사고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무선제어가 가능한 도로표지병 시스템을 설계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무선제어 도로표지병 시스템은 보행자와 운전자의 가시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보행자를 보호하고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비용측면에서도 기존에 이용되는 유사한 도로표지병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보다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횡단보도의 시인성 향상을 위한 기준검토 및 검증 테스트를 통한 보완 기준(안) 연구 (The Study of Complementary Standards to Improve Visibility on Crosswalk throughout Verification Studies after Reviewing Standards)

  • 이미애;이동희;이윤경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8권8호
    • /
    • pp.14-23
    • /
    • 2014
  •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rosswalk pedestrian accidents, accidents that occur at night represent 70% of all deaths among crosswalk pedestrians when compared to accidents occurring in the daytime. This is due to the poor visibility that hinders drivers to recognize pedestrians at night. Illuminance on the horizontal plane of the road and the current state of crosswalk lighting are not sufficient enough to comply with standards. Thus, we analyzed factors derived from lighting environment studies on improving crosswalk visibility, domestic and foreign crosswalk lighting standards, and subsequently proposed solutions which are needed to raise domestic crosswalk lighting standards, and a means to uphold those standards through proper verification.

조건부가치측정법에 의한 횡단보도 복원 및 육교 개량의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Restoring Crosswalk and Improving Pedestrian Overpass by Contingent Valuation Method)

  • 이환진;오윤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4D호
    • /
    • pp.323-333
    • /
    • 2012
  • 본 논문의 목적은 도로교통에서 보행자 중심의 세계적 흐름에 맞추어 현재 부산시에서 추진 중에 있는 육교 철거에 따른 횡단보도 복원, 육교 개량 그리고 과거 지향적인 육교설치 운영의 지속적 추진 등 서로 상반된 정책들에 대한 다양한 사회계층별 인식 경향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 시설별 이용 효용이 어느 정도로 평가될 것인가를 조건부가치측정법(CVM : Contingent Valuation Method)을 이용하여 분석하는데 있다. 그 결과 응답자들은 기존육교보다는 횡단보도나 개량된 육교를 선호하였고, 기존육교 철거에 따른 횡단보도 복원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이 가구당 연평균 42,452원, 기존 육교 개량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이 가구당 연평균 36,793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횡단보도 복원이 육교 개량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지불의사금액을 보였고, 이는 정책입안자들이 보행자 횡단시설을 개선함에 있어 횡단보도를 복원하는 것이 육교를 개량하는 보다 우선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두 가지 배광을 갖는 LED 횡단보도 조명장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Novel LED Lighting Fixture for Crosswalk Having Two Different Light Distributions)

  • 김형진;이동규;곽준섭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7권9호
    • /
    • pp.606-611
    • /
    • 2014
  • Recently, LED lighting fixtures for crosswalk become popular in order to recognize the pedestrians at crosswalk, which can enhance the safety of the pedestrian at crosswalk.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related to the LED lighting fixtures for crosswalk, such as a lot of energy consumption due to a constant illumination during night and glaring of pedestrians at the opposite side of crosswalk. In this study,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we have investigated a novel LED lighting fixture for crosswalk, which has two modules with different angles ($60^{\circ}$, $120^{\circ}$). Illuminance of min and max at four-line city street crosswalk shown 50 Lux, 125 Lux, respectively. Illuminance of min and max at eight-line city street crosswalk shown 150 Lux, 200 Lux, respectively. Simulation investigation was optimized design using optical program. Prototype was verified measurement by goniometer system.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한 효율적 스마트 보행신호등 메커니즘 구축 (Constructing Effective Smart Crosswalk Traffic Light Mechanism Through Simulation Technique)

  • 이현준;문소영;김영철;손현승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13-118
    • /
    • 2016
  • 현재 교통약자(장애인, 고령자, 어린이 등)의 보행 속도는 일반인 보다 느려, 기존 신호등의 제한된 시간 동안 안전하게 횡단이 불가능하다. 단지 기존의 보행신호등의 시간을 늘려 해결할 수 있지만 교통약자의 구분 없이 신호 대기 시간만 늘리면 신호등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본 논문은 스마트 보행신호 등과 보행자의 스마트기기 연동 메커니즘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교통약자와 일반인을 구분하여 교통약자에게 추가 보행 시간을 제공으로 교통체증을 최소화 하고자 한다. 스마트 보행신호등은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하여 교통약자를 식별하는 교통약자 중심의 보행신호등 메커니즘이다. 또한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한 효율적 스마트 보행신호등 메커니즘 구축에 필요한 Data를 추출하고 스마트 보행신호등의 효율성 확인을 위해 가상의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여러 종류의 신호등을 구축하여 인원 증가에 따른 신호대기시간 비교 분석 통해 효율적 시간을 검증한다.

HigherHRNet 기반의 발추정 기법을 통한 횡단보도 보행자 인식 (Pedestrian Recognition of Crosswalks Using Foot Estimation Techniques Based on HigherHRNet)

  • 정경민;한주훈;이현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71-177
    • /
    • 2021
  •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extract features of pedestrian because the pedestrian is photographed at a crosswalk using a camera positioned higher than the pedestrian. In addition, it is more difficult to extract features when a part of the pedestrian's body is covered by an umbrella or parasol or when the pedestrian is holding an object. Representative methods to solve this problem include Object Detection, Instance Segmentation, and Pose Estimation. Among them, this study intends to use the Pose Estimation method. In particular, we intend to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of pedestrians in crosswalks by maintaining the image resolution through HigherHRNet and applying the foot estimation technique. Finally, we show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 by applying and analyzing several data sets covered by body parts to the existing method and the proposed method.

설험용 횡단보도에서 교통약자 가로횡단시간 분석 (An Analysis of the Vulnerable-Pedestrian Crossing Time in Test Crosswalk)

  • 김태호;허억;황의표;원제무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90-98
    • /
    • 2008
  • Presently, pedestrian's signal time models in korea are not considering Vulnerable-Pedestrian. So, the safety of Vulnerable-Pedestrian is being threatener and the number of accidents is increasing. Besides, the existing operational system for pedestrians can't offer the cross signal time in road corresponded the changing environment when the school zone is revitalized and the Silver zone is introduced for Vulnerable-Pedestrian. Conclusively, Vulnerable-Pedestrian's signal time models which are able to consider classified Vulnerable-Pedestrian speed, Vulnerable-Pedestrian perception-reaction time, Vulnerable-Pedestrian Spare(congestion-delay) time are suggested by the result of experiment in virtual crosswalk. the application of suggested models in this study to the site. It is possible to use as a basic stuff on study of pedestrian's signal time and expected to contribute the safety and mobility in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