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estrian Accident Risk Factor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8초

중고스마트폰 업사이클링을 통한 보행위험요인 인지판단 연구 (A Study on the Cognitive Judgment of Pedestrian Risk Factors Using a Second-hand Mobile Phones)

  • 장일준;정종모;이재덕;안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274-282
    • /
    • 2022
  • 보행자의 보행권 확보를 위해 기존 보행자 교통사고의 원인, 진단, 감소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 기존 조사방식, 분석방법, 진단 등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한 대체방안으로 중고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 CCTV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중고스마트폰을 업사이클링하여 모바일CCTV를 제작하였고 보행사망사고가 다수 발생하는 지역에 설치하여 24시간 이상의 영상데이터를 확보하였다. 영상시각화 기술과 클라우딩 리포팅(Crowding Reporting) 기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인공지능 학습기반의 모델링과 GIS 기반의 진단지도를 통해 더욱 정밀하고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보행안전 위험요인과 횟수를 분석할 수 있었으며, 기존 방식으로는 알 수 없었던 요인까지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중고스마트폰 업사이클링 모바일 CCTV가 보행위험요인을 찾는데 객관적 도구가 될 것인지 검증하기 위해 데이터를 1년으로 환산하여 교통사고 위험지수를 도출하였다. 연구를 통해 새롭게 적용된 중고스마트폰의 업사이클링 모바일 CCTV는 보행자의 보행위험요인을 찾는데 새로운 도구로 활용이 가능하며, 이를 발전시켜 보행자외 교통약자의 안전을 지키는 서비스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생활도로 내 보행자 사고유형별 안전 지표 분석 (Analysis of Safety Indicators by Pedestrian Accident Types in Urban Community Roads)

  • 이정현;안세영;이재덕;노찬우;장일준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34-46
    • /
    • 2024
  • 이 연구는 생활도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유형의 보행자 사고(교통사고, 범죄, 군중 압사 사고, 낙상)에 대한 안전 지표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의 필요성은 이러한 도로의 복잡성과 협소함이 보행자 안전에 큰 위협이 된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사례조사, 현장조사를 통해 보행자 사고의 위험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위험요인들을 계층적 분석법(AHP)을 사용하여 각 안전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를 체계적으로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교통사고의 경우 보행자와 차량의 경로 분리 및 유효 보도 폭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범죄 관련 사고에서는 조명과 CCTV 설치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군중 압사 사고에서는 보행자 통행량과 유효 보도 폭이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낙상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경사도와 유효 보도 폭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생활도로의 안전성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대책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어린이보호구역 내 도로 및 교통안전시설이 보행자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분석: 공간포아송모형을 이용하여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Road and Transportation Safety Facilities Affecting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around School Zones: Using Spatial Poisson Model)

  • 고동원;박승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13-223
    • /
    • 2021
  • 어린이는 행동적, 신체적 특성상 성인보다 교통사고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안전한 보행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에서 제공하는 2016-2018년 서울시 보행자 교통사고 자료로 공간포아송 모형을 활용하여 어린이보호구역 주변 보행자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도로 및 교통안전시설의 특성을 분석했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차로가 많고 근린도로 비율이 높을수록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둘째, 보행자 작동신호기는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 연구에서 고려한 교통안전시설 중 보행자 작동신호기를 제외하고는 어떠한 교통안전시설도 보행자 교통사고 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물리적 시설의 개선뿐만 아니라 교통안전교육 등 비물리적 요인이 뒷받침 된다면 어린이보호구역 내 보행자 교통사고 감소 효과는 더욱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생활도로 안전사고 위험요인 및 위험구간 분석방안 연구 (A Study on Risk Factors and Analysis Methods for Identifying Hazardous Zones of Safety Accidents on Community Roads)

  • 장정진;안세영;이재덕;이상범;장일준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8-33
    • /
    • 2024
  • 생활도로는 교통사고, 낙상, 범죄, 재해 등 다양한 위험요소가 존재하여 보행 안전을 위협하고 있으나, 현재의 도로관리 및 안전체계는 간선도로 위주로 운영되어 생활도로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생활도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보행자 사고를 보다 효과적으로 예측하기 위해, 위험요인의 분포에 따라 구간을 등급화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해 각 사고 유형별로 주요 위험요인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위험요인들의 출현횟수에 따라 위험구간을 분류하고 GIS 활용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서울시 서초1동을 대상으로 이 방법론을 적용하여 실제 사고 데이터와 비교 분석한 결과, 교통사고와 재해사고 부문에서 예측된 위험구간과 실제 사고 구간이 다소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방법론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생활도로에서의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안전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스마트폰 이용행태가 보행안전도의 인적요인에 미치는 영향: 20~30대 사용자들을 중심으로 (Effects of Smartphone Usage Patterns on Human Factors of Pedestrian Safety: Focused on Users in Their 20's and 30's)

  • 유승희;권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79-8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증가하는 보행 중 스마트폰의 이용실태를 파악하고 스마트폰 이용행태가 보행안전도의 인적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보행자의 스마트폰 사용동기 및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20~30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경험은 98.6%로 대부분의 응답자가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 17개의 이용 동기 요소를 추출하여 설문을 실시한 후 요인분석을 통해 2개의 요인으로 추출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F-value는 12.967, P-value는 0.000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어 스마트폰 이용행태는 보행안전도의 인적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스마트폰 이용 동기가 유행성에 있는 응답자들은 보행안전도 인적요인 중 스마트폰사용으로 인한 사고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차로에서의 도로·교통안전시설물의 교통사고 감소효과도 추정 (Estimating Traffic Accident Reduction Effect of Road Safety Facilities in Intersesctions)

  • 윤여일;이수범;임준범;박길수;문정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9-142
    • /
    • 2017
  •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은 교통사고 예방을 위하여 도로상에 도로안전 관련 시설물을 설치함으로써 도로 환경적 요인에 대한 결함을 제거하는 대표적 교통안전개선사업이다. 그러나 개선사업으로 인해 설치된 각 시설물들에 대한 효과평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로 교통안전 관련 시설물의 교통사고 감소효과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최근 2004년부터 2013년까지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 공사가 완료된 4,171개 지점을 대상으로 비교그룹방법을 활용하여 5가지 시설물에 대한 교통사고 감소효과도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교통사고에 대해서는 교통섬 4.45%, 표지병 32.17%, 과속단속카메라 24.13% 사고감소 효과를 나타냈으며, 반면 무단횡단금지시설 0.61%, 미끄럼방지포장은 1.67% 만큼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지병, 무단횡단금지시설, 미끄럼방지포장과 같이 국토교통부의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에서 특정유형의 교통사고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언급된 시설물들의 교통사고 감소효과도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지병은 악천후 시 교통사고에 대해서 52.96%, 무단횡단금지시설은 차대보행자 교통사고에 대해서 62.77%, 미끄럼방지포장은 추돌사고에 대해서 26.60%의 순수 교통사고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퇴원손상심층조사자료를 이용한 노인 입원 환자의 운수사고 유형과 사망 사이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Transport Accident Type And Mortality In Elderly Inpatients : Using Korean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 Dataset)

  • 류한준;강선희;부유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616-62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운수사고 입원 환자의 운수사고 유형과 사망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노인 운수사고 입원 및 사망 환자를 줄이기 위한 운수사고 유형에 따른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정책 개발 및 수립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2013-2017년의 질병관리본부 퇴원손상심층조사 데이터세트 중 운수사고를 입은 노인 입원환자를 추출하여 기술통계분석, 카이제곱검정과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사회학적, 의료기관, 의료이용 특성을 보정한 상태에서 분석한 결과 운수사고로 인한 노인의 입원 사망은 승용차 사고에 비하여 보행자 사고(OR : 2.522 95% CI 1.291-4.927), 자전거/카트 사고(OR : 2.809 95% CI 1.328-5.942), 오토바이 사고(OR : 2.330 95% CI 1.126-4.819)로 인한 사망이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이와 같이 노인의 경우 승용차 사고로 인한 사망에 비하여 다른 유형의 운수사고로 인한 사망의 위험이 높지만, 우리나라 노인의 운수사고 관련 정책은 승용차 사고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증가하는 노인 집단의 운수사고 사망자를 줄이기 위하여 노인 집단의 운수사고 유형별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정책적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충청권 교통사고 특성을 고려한 교통안전기술 제안 (Traffic Safety Technology Proposal for Chungcheong Region)

  • 조중연;김윤식;이용준;이민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524-153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통안전수준의 제고를 위해 충청권을 대상으로 교통사고분석자료를 이용한 요인분석 및 군집분석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충청권 교통사고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충청권 실정에 맞는 교통안전기술을 개발하였다. 충청권 운송업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결과, 충청권의 주요사고 위협요인으로 '보행자 및 고령자 통행'과 '시인성 부족문제'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시설물로서는 '야간 운전시 조명시설'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설물 설치로 인한 기대효과는 비교적 높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통사고분석자료를 활용하여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충청권의 도시유형별 사고특성은 도시형지역보다는 농촌형지역일수록 교통사고위험도가 높아짐을 확인했으며, 특히 보행자사고 및 농기계사고의 위험도가 높음을 확인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충청권 교통안전수준의 향상을 위해 보행자 건널목 인식등, 교통약자 노견용 인식등, 농기계 운행 안전 LED전광판 등의 기술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