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bS

검색결과 1,662건 처리시간 0.022초

황화납/산화아연 나노선을 이용한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 (Quantum Dot Sensitized Solar Cell Using PbS/ZnO Nanowires)

  • 김우석;용기중
    • 청정기술
    • /
    • 제16권4호
    • /
    • pp.292-296
    • /
    • 2010
  • 황화납(PbS)을 감응물질로 하는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를 제작하고 효율을 측정해 보았다. 기판에 산화아연(ZnO) 나노선을 기른 후 SILAR(Successive ionic layer adsorption and reaction)법으로 PbS 양자점을 합성하고 이를 주사전자현미경(SEM), X-선 회절(XRD)을 통해 확인하였다. SILAR를 통해서 형성된 나노이종구조는 PbS 나노입자들이 ZnO 나노선 위에 균일하게 성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 PbS을 이용한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의 최고 효율은 one sun에서 0.075%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의 다른 감응 물질에 비해 비교적 낮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요인으로는 i) ZnO와 PbS의 밴드갭 배열이 Type-I 형을 이룰 수 있는 가능성, ii) 다양한 크기의 밴드갭을 가지는 PbS에 의한 전자이동 방해 효과, iii) 전해질에 의한 PbS의 안정성 저하 등의 이유를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PbS의 크기분포 조절과 새로운 전해질에 대한 연구가 향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CBD 방법에 의한 PbS-CuS 박막의 전기적 특성 (Electrical Properties of PbS-CuS Thin Films Prepared by Chemical Bath Deposition)

  • 정수태;조종래;조정호;정재훈;김강언;조상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423-429
    • /
    • 2001
  • PbS, CuS and (Pb,Cu)S thin films were chemically deposited on glass from alkaline baths containing lead acetate, copper chloride, thiourea and triethanolamine. The deposition, optical, resistivity and thermal electric properties of these films were studied. PbS thin films showed a hexagonal structure and CuS thin films showed amorphous. The crystalline of (Pb,Cu)S thin films was obtained by heat treatment at 200$\^{C}$ and the deposition ratio of Pb to Cu showed 7:3. The energy gap of PbS, CuS and (Pb,Cu)S thin films were 1.7, 2.1 and 2.4 eV, respectively. Sheet resistance of PbS thin films was less affected on thermal annealing, but hose of (Pb,Cu)S and CuS thin films were more reduced about 3 orders of magnitude. All of those thin films indicated p type semiconductor in temperature ranging 30$\^{C}$ to 150$\^{C}$.

  • PDF

식이 Selenium 함량이 납중독 흰쥐 간조직의 항산화계와 세포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elenium Levels on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and Oxidative Damage of Liver Tissue in Lead Administered Rats)

  • 임정교;이순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59-267
    • /
    • 2001
  • 납중독에 따른 식이내 Se 함량이 간조직의 산화적 손상을 방어할 수 있는 가를 관찰하기 위해 140g 내외의 흰쥐 Sprague-Dawley종 수컷을 정상군과 식이 내에 납 함량을 2,000 ppm 투여한 납투여 실험군으로 나누고 다시 식이내 Se 수준에 따라 0 ppm(Pb0군), 0.5 ppm(PbS군), 1.0 ppm(PbSS군) 식이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한 후 간장 중 SOD. GSH-Px, GST 등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측정하고, GSH 및 비타민 E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전자현미경을 통하여 간세포의 소기관을 관찰하였다. 1. 간장 중 SOD는 Pb0군이 다른 군에 비해 다소 높았다. GSH-Px 활성은 Pb0군은 정상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나 PbS군과 PbSS군간은 Pb0군에 비해 증가되었다. GST활성은 Pb0군만 정상군에 비해 감소되었고 PbS, PbSS,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2. GSH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Pb0군에서 낮았으나 정상군과 PbS. PbSS군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GSSG는 GSH와 반대로 Pb0군에서 증가되었으며 GSH/GSSG는 GSH함량과 같은 경향이었다. 또한 간조직 중의 비타민 E함량은 Pb0군은 정상군에 비해 약 50% 정도의 수준이었고 PbSS군과 PbS군은 Pb0군에 비해 증가되었다. 3.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는 RER의 감소, 라이소솜의 증가, 미토콘드리아의 종창 등을 나타내었는데 그 정도는 PbSS, PbS, Pb0군 순으로 심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식이 중 Se의 다량 첨가는 납중독으로 인한 간조직의 항산화계를 강화시키고 세포 소기관들의 산화적 손상을 현저하게 완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CBD 방법에 의한 (PbS)$_{1-x}-(CuS)_{x}$ 박막의 전기적 특성 (Electrical Properties of (PbS)$_{1-x}-(CuS)_{x}$ Thin Films by Chemical Bath Deposition)

  • 조종래;조정호;김강언;정수태;조상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16
    • /
    • 2000
  • (PbS)$_{1-x}$ -(CuS)$_{x}$ thin films(x=0, 0.5, 1) were grown on glass substrates by using a chemical bath deposition method. The molecular ratio of Pb to Cu for the PbS-CuS thin films(x=0.5) was measured about 7:3 by using EDX and XRF. The resistivity of non-annealed (PbS)$_{1-x}$ -(CuS)$_{x}$ thin films was about 10 $\Omega$ . cm. However, after annealing, the resistivity of PbS showed a little change, while PbS-CuS and Cu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range of 0.002 to 0.005$\Omega$.cm. PbS was p-type and CuS was n-type.-type.

  • PDF

Saccharomyces cerevisiae에 의한 Pb 생체흡착 (Pb Biosorption by Saccharomyces cerevisiae)

  • 안갑환;서근학
    • KSBB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173-180
    • /
    • 1996
  • S. CereVlSWe를 이용하여 Pb 이온의 흡착 능력을 조사하였다. 살아있는 S. CereVlSWe 및 멸균된 S. cereVlswe 보다 건조분쇄 된 S. cerevisiae가 Pb 흡착 능력이 가장 좋았다. 통일의 중금속 농도에서 중금 속 단위 흡착량은 미생물 농도가 높아짐에 감소하였다. 살아있는 S. cereVlsiae의 흡착 능력 순서는 Pb > >Cu> Cd = Co>Cr > Zn = Ni순이었다. 중금속 흡 착에서 0.1 M NaOH로 24시간 전처리하여 흡착량을 1.5배 증가시킬 수 있었다. 0.1 M HCl 및 0.1 M $H_2S_O4$ 로 Pb이온을 효과적으로 탈착시킬 수 있었다. Pb 이온의 흡착평형은 Freundlich 흡착등온식과 Langmuir 흡착등온식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 PDF

낙동 비소-비스무스 광상의 Pb-Ag-Bi-S계 광물의 산출양상과 화학조성 (Occurrence and Mineral Chemistry of Pb-Ag-Bi-S System Minerals in the Nakdong As-Bi Deposits, South Korea)

  • 신동복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6호
    • /
    • pp.643-651
    • /
    • 2006
  • 낙동 비소-비스무스 광상에서 산출되는 Pb-Ag-Bi-S계에 광물로는 방연석-마틸다이트(matildite) 고용체, 코살라이트(cosalite) 및 헤이로브스카이트(herovskyite)가 있다. 방연석-마틸다이트 고용체의 경우 자연비스무스와 더불어 황철석내의 틈을 채우면서 산출되는데, 불규칙한 모양을 이룬다. 코살라이트는 석영맥내에서 자연비스무스, 헤이로브스카이트 및 Bi-Te-S계 광물들을 포함하며, 타형의 독립된 결정으로 산출된다. 낙동광상에서 산출되는 마틸다이트는 $Ag_{1.07-1.11}Bi_{1.12-1.20}S_2$의 단성분 조성을 이루는 것므로 이상화학조성에 비해 $0.3{\sim}2.4$mole%의 $Bi_2S_3$가 초과 함유되어 있다. PbS와 $AgBiS_2$를 단성분하는 고용체의 경우 PbS는 약 54 mole% 이하의 함량을 나타내고, 그 이상의 경우는 관찰되지 않는다. 연구지역 코살라이트의 평균화학소성은 $Pb_{1.79}Bi_{2.29}Ag_{0.12}S_5$로서 순수한 코살라이트에 비하여서는 Pb가 결핍되어 있으며, Ag와 Cu를 각각 최대 1.47 wt.%와 0.27 wt.% 함유하고 있다. 헤이로브스카이트는 $Pb_{5.01}Ag_{0.26}Bi_{2.70}S_9$ 조성을 보이는데 $2Pb^{2+}$에 대한 $Ag^++Bi^{3+}$의 쌍치환과 더불어 $3Pb^{2+}$에 대한 $2Bi^{3+}$의 치환이 함께 일어난 것으로 여겨진다. 낙동광상의 Pb-Ag-Bi-S계 광물들의 생성 조건은 대략 $220{\sim}270^{\circ}C$ 온도와 200bar 미만의 압력인 것으로 해석된다.

화학 반응에 의한 PbS 박막의 열기전력 특성 (Properties of Thermoelectric Power in PbS Thin Films by Chemical Bath Deposition)

  • 조종래;조정호;김강언;정수태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0년도 영호남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24
    • /
    • 2000
  • Properties of thermoelectric power in PbS thin films by chemical bath deposition were investigated The qualified PbS thin film was gained with the amounts of Thiourea($4-8ml/{\ell}$ ), Triethanolamine (1-2ml) and NaOH(l0ml). The molecular ratio of Pb and S was 3 : 7. Satisfied crystallization rate and deposition rate of PbS were greater at $50^{\circ}C$ than at $30^{\circ}C$. The constant of thermoelectric power in PbS was nearly $ 500uv/^{\circ}k$. The PbS thin film was changed from p-type to n-type semiconductor at around $200^{\circ}C$. In case of heat treatment at $300^{\circ}C$, the sample kept the characteristic of p-type semiconductors up to $250^{\circ}C$.

  • PDF

해조류, Sargassum sagamianum을 이용한 Pb 흡착 및 탈착 (Biosorption and Desorption of Pb by Using Sargassum sagamianum)

  • 서근학;안갑환;공인수
    • KSBB Journal
    • /
    • 제14권5호
    • /
    • pp.611-615
    • /
    • 1999
  • 우리나라 인근 해역에서 가장 쉽게 채취할 수 있는 해조류 중의 하나인 S. sagamianum을 이용한 Pb의 생체흡착 실험을 수행하였다. Pb는 1시간 내에 흡착 평형에 도달하였으며, Pb의 평형흡착량은 각각 224.5 mg Pb/g biomass 였다. Pb 흡착시에 경금속인 Ca 및 Mg가 500 mg/L 이하로 존재할 때 Ca는 약간 흡착되었으나 Mg는 전혀 흡착되지 않아 Pb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Pb 흡착 후에 0.1M HCl, 0.1M HNO$_3$,0.1M EDTA 및 0.1 M NaOH를 이용하여 탈착 실험을 수행하고 다시 재흡착을 시키는 과정을 6회 반복한 결과, 탈착율은 EDTA가 100%로 가장 높았으나, S. sagamianum의 재생성을 고려해 볼 때 HNO$_3$및 HCl가 효과적인 탈착 용액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특히 HNO$_3$를 이용하였을 때 Pb의 누적흡착량이 736.8 mg/g biomass로서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부터 S. sagamianum 은 매우 우수한 생체흡착제로 연속공정에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Pb(Sb1/2Sn1/2)O3-PbTiO3-PbZrO3 세라믹스의 유전 및 압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electric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of the Pb(SbS11/2TSnS11/2T)OS13T-PbTiOS13T-PbZrOS13T Ceramics)

  • 정장호;류기원;이성갑;이영희
    • 대한전기학회논문지
    • /
    • 제41권5호
    • /
    • pp.517-524
    • /
    • 1992
  • In this study, 0.10Pb(SbS11/2TSnS11/2T)OS13T-(0.90-x)PbZrOS13T (0.25 x 0.40) ceramics were fabricated by the atmospheric method. The sintering temperature and time were 1250[$^{\circ}C$] and 2[2hr], respectively. The structureal, dielectric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with composition of PbTiOS13T were studied. As the results of XRD ans SEM, the crystal structure of a specimen was rhombohedral, lattice constant and average grain size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tents of PbTiOS13T. Relative dielectric constant and Curie temperature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tents of PbTiOS13T, 0.10PSS-0.40PT-0.50PZ specimen had the highest values of 904 and 265[$^{\circ}C$], respectively. In increasing of PbTiOS13T contents form 25[mol%] to 40[mol%], piezoelectric charge constant and electromechanical coupling factors were increased form 114[pC/N] to 142[pC/N], 17[%] to 24[%] and mechanical quality factor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tents of PbTiOS13T. In the 0.10PSS-0.40PT-0.50PZ specimens, those values were 14.2[kV/cm] and 9.43[x10S0-6TC/cmS02T], resectively.

투광성 Ba(La1/2Nb1/2)O3-PbZrO3-PbTiO3세라믹의 강유전 및 전기광학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erroelectic and Electrooptical Properties of the Transparent Ba(LaS11/2TNbS11/2T)OS13T-PbZrOS13T-PbTiOS13T Ceramics)

  • 김준수;류기원;박영희;박창엽
    • 대한전기학회논문지
    • /
    • 제41권8호
    • /
    • pp.858-868
    • /
    • 1992
  • 0.085Ba(LaS11/2TNbS11/2T)OS13T-0.915Pb(ZrS1yTTiS11-yT)OS13T (0.45$\leq$y$\leq$0.65) transparent electrooptic ceramics were fabricated by two-stage sintering method. The structural, ferroelectric and electrooptic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varying composition and second sintering time. Also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to electrooptic device was studied. If we increase the PbZrOS13T contents, dielectric constants were increased and Curie temperature was decreased. In the composition of 0.55[mol] PbZrOS13T, electromechanical coupling factor and piezoelectric charge constant were the highest values of 43[%] and 173x10S0-12T[C/N], respectively. Mechanical quality factors were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PbZrOS13T contents. Light transmittance was increased with wavelength when measured from 300[nm] to 900[nm], and with PbZrOS13T contents in the range of 0.50[mol]-0.65[mol], and had the highest value of 67[%] in the composition of 0.65[mol] PbZrOS13T. From the results of ferroelectric hysteresis loop and transmitted light intensity with electric field, the specimens with compositions of 0.65,0.60,0.55[mol] PbZrOS13T were applicable to electrooptic memory device and those with compositions of 0.50,0.45[mol] PbZrOS13T were applicable to linear electrooptic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