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tern Finding

검색결과 592건 처리시간 0.035초

막 구조물의 재단도 작성과 막재의 손실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tting Pattern Generation of Membrane Structures and The Loss-Ratio of Material)

  • 손수덕;정을석;김승덕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17-127
    • /
    • 2006
  • 경량 연성구조시스템 중 하나인 막 구조물은 대공간 구조물에 많이 사용되어진다. 막 구조물은 축강성이 강하고 휨강성이 매우 작은 재료를 주 구조재로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구조물과 달리 구조설계에서는 형상해석, 응력-변형해석 그리고 재단도 등의 일련의 과정을 필요로 한다. 재단도의 작성에는 구조물의 크기나 곡률 그리고 재료적 강성에 따라 많은 변수가 작용하며 다른 설계과정과는 매우 다르다. 따라서 일반 구조설계용 프로그램은 막 구조물의 구조설계에 부적당하다. 본 연구에서는 막 구조물의 측지선을 이용한 재단도 작성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예제를 통해 재단도 작성결과를 비교 고찰하도록 한다.

  • PDF

발생 간격 기반 가중치 부여 기법을 활용한 데이터 스트림에서 가중치 순차패턴 탐색 (Finding Weighted Sequential Patterns over Data Streams via a Gap-based Weighting Approach)

  • 장중혁
    • 지능정보연구
    • /
    • 제16권3호
    • /
    • pp.55-75
    • /
    • 2010
  • 일반적인 순차패턴 마이닝에서는 분석 대상 데이터 집합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의 발생 순서만을 고려하며, 따라서 단순 순차패턴은 쉽게 찾을 수 있는 반면 실제 응용 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는 관심도가 큰 순차패턴을 탐색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대표적인 연구 주제들 중의 하나가 가중치 순차패턴 탐색이다. 가중치 순차패턴 탐색에서는 관심도가 큰 순차패턴을 얻기 위해서 구성요소의 단순 발생 순서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의 가중치를 추가로 고려한다. 본 논문에서는 발생 간격에 기반 한 순차패턴 가중치 부여 기법 및 이를 활용한 순차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가중치 순차패턴 탐색 방법을 제안한다. 발생 간격 기반 가중치는 사전에 정의된 별도의 가중치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순차정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발생 간격으로부터 구해진다. 즉, 순차패턴의 가중치를 구하는데 있어서 구성요소의 발생순서와 더불어 이들의 발생 간격을 고려하며, 따라서 보다 관심도가 크고 유용한 순차패턴을 얻는데 도움이 된다. 한편, 근래 대부분의 컴퓨터 응용 분야에서는 한정적인 데이터 집합 형태가 아닌 데이터 스트림 형태로 정보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 생성 환경의 변화를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순차 데이터 스트림을 마이닝 대상으로 고려하였다.

한정된 메모리 공간에서 데이터 스트림의 빈발항목 최적화 방법 (Finding Frequent Itemsets Over Data Streams in Confined Memory Space)

  • 김민정;신세정;이원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5D권6호
    • /
    • pp.741-754
    • /
    • 2008
  • 지속적으로 확장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마이닝 수행과정에서는 메모리 사용량을 가용한 범위 내로 제한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스트림 환경에서 한정된 메모리 공간을 이용하여 빈발 항목집합을 탐색하는데 효과적인 프라임 패턴 트리(Prime pattern tree: PPT)구조를 제안한다. 프라임 패턴 트리는 기존의 전위 트리 구조와 비교하여 항목집합들을 하나의 노드로 관리함으로써 트리의 크기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지 임계값 $S_{\delta}$에 따라 노드를 병합하거나 분리하여 동적으로 트리의 크기와 결과 집합의 정확도를 마이닝 수행 중에 조절 할 수 있다. $S_{\delta}$값이 크면 한 노드에서 관리되는 항목집합의 수가 증가하게 되고, 출현 빈도수를 추정해야 하기 때문에, $S_{\delta}$값이 작을수록 결과집합의 정확도가 높다. 이처럼 PPT에는 트리의 크기와 정확도의 trade-off 가 존재한다. PPT의 이러한 특성에 기반하여, 데이터 스트림에서 갑자기 데이터 집합에 변화가 생겨 빈발항목이 될 가능성이 높은 항목들이 많이 출현하는 경우에도 마이닝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본 논문에서는 프라임 패턴 트리를 이전 연구에서 제안한 데이터 스트림에서 최근 빈발 항목 탐색 방법인 estDec 방법에 적용하여 한정된 작은 양의 메모리 공간을 이용하여 온라인 데이터 스트림에서 빈발항목을 탐색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가용 메모리 범위에서 최적의 메모리를 사용하여 최적의 마이닝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 사용량에 대한 적응적 방법을 제시한다. 끝으로, 여러 실험을 통한 효율성 검증을 통해 제안된 방법의 여러 특성을 확인한다.

IMPLEMENTATION OF SUBSEQUENCE MAPPING METHOD FOR SEQUENTIAL PATTERN MINING

  • Trang, Nguyen Thu;Lee, Bum-Ju;Lee, Heon-Gyu;Ryu, Keun-H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627-630
    • /
    • 2006
  • Sequential Pattern Mining is the mining approach which addresses the problem of discovering the existent maximal frequent sequences in a given databases. In the daily and scientific life, sequential data are available and used everywhere based on their representative forms as text, weather data, satellite data streams, business transactions, telecommunications records, experimental runs, DNA sequences, histories of medical records, etc. Discovering sequential patterns can assist user or scientist on predicting coming activities, interpreting recurring phenomena or extracting similarities. For the sake of that purpose, the core of sequential pattern mining is finding the frequent sequence which is contained frequently in all data sequences. Beside the discovery of frequent itemsets, sequential pattern mining requires the arrangement of those itemsets in sequences and the discovery of which of those are frequent. So before mining sequences, the main task is checking if one sequence is a subsequence of another sequence in the database. In this paper, we implement the subsequence matching method as the preprocessing step for sequential pattern mining. Matched sequences in our implementation are the normalized sequences as the form of number chain. The result which is given by this method is the review of matching information between input mapped sequences.

  • PDF

현행 ATO 시스템 전동차 운행패턴의 문제점 분석을 통한 ECO 운행패턴 도출방안 연구 (ECO Driving Pattern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of the Current Driving Pattern of Electric Multiple Unit in ATO System)

  • 김규중;이근오;김주용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3-28
    • /
    • 2013
  • This study focuses on finding ways to derive train's optimal ECO driving pattern, which can improve the ride quality and reduce driving energy consumption with keeping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stations. As research method, we compared difference of currently operating train's ATO and MCS driving patterns, and concentrated upon the things need to consider in simul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existing pattern of ATO driving pattern's issues with securing the train operation safety. Determining driving pattern minimizing energy consumption by controlling powering within speed limit and controlling switching to coasting at appropriate point considering the track conditions for each section, and determining braking control starting time considering ride comfort and precise stopping is considered to be most important.

Implementation of Subsequence Mapping Method for Sequential Pattern Mining

  • Trang Nguyen Thu;Lee Bum-Ju;Lee Heon-Gyu;Park Jeong-Seok;Ryu Keun-Ho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57-462
    • /
    • 2006
  • Sequential Pattern Mining is the mining approach which addresses the problem of discovering the existent maximal frequent sequences in a given databases. In the daily and scientific life, sequential data are available and used everywhere based on their representative forms as text, weather data, satellite data streams, business transactions, telecommunications records, experimental runs, DNA sequences, histories of medical records, etc. Discovering sequential patterns can assist user or scientist on predicting coming activities, interpreting recurring phenomena or extracting similarities. For the sake of that purpose, the core of sequential pattern mining is finding the frequent sequence which is contained frequently in all data sequences. Beside the discovery of frequent itemsets, sequential pattern mining requires the arrangement of those itemsets in sequences and the discovery of which of those are frequent. So before mining sequences, the main task is checking if one sequence is a subsequence of another sequence in the database. In this paper, we implement the subsequence matching method as the preprocessing step for sequential pattern mining. Matched sequences in our implementation are the normalized sequences as the form of number chain. The result which is given by this method is the review of matching information between input mapped sequences.

An Efficient Approach to Mining Maximal Contiguous Frequent Patterns from Large DNA Sequence Databases

  • Karim, Md. Rezaul;Rashid, Md. Mamunur;Jeong, Byeong-Soo;Choi, Ho-Jin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0권1호
    • /
    • pp.51-57
    • /
    • 2012
  • Mining interesting patterns from DNA sequences is one of the most challenging tasks in bioinformatics and computational biology. Maximal contiguous frequent patterns are preferable for expressing the function and structure of DNA sequences and hence can capture the common data characteristics among related sequences. Biologists are interested in finding frequent orderly arrangements of motifs that are responsible for similar expression of a group of genes. In order to reduce mining time and complexity, however, most existing sequence mining algorithms either focus on finding short DNA sequences or require explicit specification of sequence lengths in advance. The challenge is to find longer sequences without specifying sequence lengths in adva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approach to mining maximal contiguous frequent patterns from large DNA sequence dataset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approach is memory-efficient and mines maximal contiguous frequent patterns within a reasonable time.

가중치 집합 최적화를 통한 효율적인 가중 무작위 패턴 생성 (Efficient Weighted Random Pattern Generation Using Weight Set Optimization)

  • 이항규;김홍식;강성호
    • 전자공학회논문지C
    • /
    • 제35C권9호
    • /
    • pp.29-37
    • /
    • 1998
  • 가중 무작위 패턴 테스트에서 적은 수의 가중 무작위 패턴을 사용하여 높은 고장 검출율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최적화된 가중치 집합들을 찾아내야만 한다. 따라서 최적화된 가중치 집합을 찾아내려는 많은 연구가 행해져 왔다. 이 논문에서 결정론적인 테스트 패턴에 대한 샘플링 확률을 기반으로 하여 최적화된 가중치 집합을 효율적으로 찾는 새로운 가중치 집합 최적화 알고리듬을 제한한다. 아울러 시뮬레이션을 통해 적당한 최대해밍거리를 구하는 방법도 소개된다. ISCAS 85 벤치마크 회로에 대한 실험결과는 새로운 가중치 집합 최적화 알고리듬과 적절한 최대 해밍거리를 구하는 방법의 효율성을 뒷받침해 준다.

  • PDF

패턴 테이블을 이용한 코드 최적화 (Code Optimization Using Pattern Table)

  • 윤성림;오세만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556-1564
    • /
    • 2005
  • 원시 프로그램에 대한 컴파일 과정 중 최적화 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의 실행 속도를 개선시키고 코드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최적화 기법을 수행한다[17]. 최적화 패턴 매칭 방법 중 스트링 패턴 매칭 방법은 중간 코드에 대응하는 최적의 패턴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과다한 최적화 패턴 검색 시간으로 비효율적이다. 트리 패턴 매칭은 패턴 결정시 중복 비교가 발생할 수 있으며, 코드의 트리 구성에 많은 비용이 드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 방법들이다[16,18].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최적화 방법들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DFA (Deterministic Finite Automate) 최적화 테이블을 이용한 코드 최적화기를 제안하려고 한다. 이 방법은 다른 패턴 매칭 기법보다 결정적인 오토마타(Automata)로 구성하기 때문에 비용은 적어지고, 오토마타를 통해 결정적으로 패턴이 확정됨에 따른 패턴 선택 비용이 줄어들며, 최적화 패턴 검객 시간도 빨라지는 효율적인 방법의 최적화기이다.

  • PDF

카드뮴 급성폭로에 의한 Metallothionein 생성과 독성작용 (Induction of Metallothionein and Toxicity in Acute Cadmium Intoxicated Rat)

  • 민경준;박정덕;홍연표;장임원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6권2호
    • /
    • pp.231-250
    • /
    • 1993
  • Thirty five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treated with cadmium chloride solution ranging from 0.2 to 3.2mg $CdCl_2/kg$ by intravenous single injection. At 48 hours after administration of cadmium, total cadmium, MT bound cadmium and histopathologic finding in liver, kidney, lung, heart, testis, metallothionein in liver, kidney and total cadmium in bleed were examined. Tissue cadmium concentration was highest in liver, followed by in kidney, heart, lung and testis. Cadmium bound to rnetallothionein (MT-Cd) and ratio of MT-Cd to total cadmium were increased in liver and kidney dependently of cadmium exposure dose, but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other organs. On histopathologic finding, the most susceptible organ was heart in considering cadmium exposed dose, but testis in considering cadmium concentration. Blood cadmium concentration was increased with dose-dependent pattern,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issue cadmium concentration, so that we may estimate tissue cadmium concentration by measurement of blood cadmium concentration. Metallothionein in liver and kidney was increased with dose-dependent pattern, higher in liver than in kidney, an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issue cadmium concentration. However, metallothionein induction efficiency of tissue cadmium(${\mu}g\;MT/{\mu}g\;Cd$) was eater in liver than in kidney, and reverse to tissue concentration or exposed dose of cadmiu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