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ients satisfaction

검색결과 2,307건 처리시간 0.03초

자하거 약침의 지표물질 선정 및 분석법 벨리데이션 (Identification of Standard Compound of Ja-ha-guh Pharmacopuncture and Validation of Analytic Methods)

  • 박상원;이재웅;이진호;하인혁;변장훈;정범환;정화진;이인희;김민정;김은지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3-40
    • /
    • 2016
  • Objectives Despite the increasing use of Ja-ha-guh (Hominis-placenta ) pharmacopuncture in rehabilitative medicine field, its standard compound has yet to be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tandardization for future studies and increase satisfaction of patients by utilizing standard pharmacopuncture. Methods Alanine and leucine were selected as potential standard compounds. LC/MS was used to devise an analytic method. This analytic method was subject to validation. According to validation guideline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he specificity, linearity, precision, range, quantitative limits, detection limits and accuracy were measured. With this analysis, 3 lots of Ja-ha-guh pharmacopuncture were analyzed. Results Because the specificity, linearity, precision, range, quantitative limits, detection limits and accuracy meet criteria of the guideline, the analytic method was validated. It was found that Ja-ha-guh pharmacopuncture contained $211.02{\pm}7.28ug/ml$ of alanine and $372.03{\pm}7.58ug/ml$ of leucine. Conclusions Both alanine and leucine appear to be suitable standard compounds. These results are likely to contribute to further standardization of Ja-ha-guh for medical use.

요추 추간판 탈출증 입원환자 208례를 통한 한방치료의 효과 연구 (The Study on Effectiveness of Oriental Medicine Treatment for Lumbar Disc Herniation Inpatients on 208 Cases)

  • 정재훈;김원우;성익현;이갑수;조창영;금창준;김희정;하인혁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7-86
    • /
    • 2013
  • This study was introduced the short-term effectiveness of Oriental medicine treatment for lumbar disc herniation inpatients. We selected 208 inpatients with a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confirmed lumbar disc herniation since June 2012 until August 2012. Their demographics characterisitics, numeric rating scale(NRS) and Oswestry back-related disability index(ODI) for low or leg pain, lumbar flexion and extension angle were assessed at baseline and when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When it measured the straight leg raisingscale(SLR), the low side of the angle was examined. Treatment every patient has received as follow; herbal medicine, bee venom, acupuncture and physical examination, spinal manipulation. NRS of low back pain and leg pain and ODI is $5.6{\pm}2.3$, $4.9{\pm}2.8$ and $45.5{\pm}20.0$, respectively at baseline and $2.8{\pm}1.8$, $2.7{\pm}1.9$ and $27.2{\pm}14.1$, respectively when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range of motion(ROM) of lumbar flexion and extension angle and SLR is $70.0{\pm}27.1$, $15.4{\pm}7.2$ and $61.3{\pm}23.0$ respectively at baseline and $80.5{\pm}16.9$, $18.25{\pm}4.1$ and $73.2{\pm}14.0$, respectively when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It shows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d(P<0.001). Furthermore, regarding patient satisfaction with the treatment, excellent(33.7%), good(55.4%), normal(10.4%), poor(0.5%), it suggests that most patients(89%) satisfied with the treatment.

구취치료 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견인자 (Factors Related to Patients' Satisfaction Level of Treatment Outcome of Oral Malodor)

  • 이정윤;고홍섭;김영구;정성창;이승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6권1호
    • /
    • pp.27-3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환자들에 의해 구취와 관련이 있다고 일반적으로 믿어지고 있는 여러 요인들이 치료 후의 환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환자의 만족도의 예후를 판단할 수 있는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구강진단과에 구취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 19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구취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항목들을 조사하였다. 조사 항목으로는 1) 본인확인가능여부, 2) 타인확인가능 여부, 3) 구취의 기간, 4) 구취의 빈도, 5) 축농증, 6) 비염, 7) 코수술 병력, 8) 콧물이 목뒤로 넘어감, 9) 코막힘, 10) 비호흡 곤란, 11) 구강건조감, 12) 편도선부종, 13) 가래, 14) 신물의 역류, 15) 소화불량, 16) 흡연여부가 포함되었다. 구취의 평가는 portable sulfide monitor인 $Halimeter^{(R)}$(Interscan Co., Chatsworth, CA, USA)를 이용하여 치료 전, 후에 각각 측정하였고, 혀배면의 세정, 치면 세균막 조절, 0.25% $ZnCl_2$ 양치액의 사용을 내용으로 하는 구취의 치료를 시행한 뒤 자신의 구취개선정도에 대해 %로 질문하여 치료 후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각 조사 항목과 치료 후 만족도 사이의 상관관계 및 실제 $Halimeter^{(R)}$ 수치의 개선정도와 만족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Symptom Checklist - 90 Revised(SCL-90R)의 분석결과에 따라 환자를 두 그룹으로 분류하고 두 그룹 사이의 치료 후 만족도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본인 및 타인 확인가능여부, 구취가 항상 나는지 여부, 구취의 기간, 축농증, 비염, 코수술 병력, 코막힘, 비호흡 곤란, 콧물이 목뒤로 넘어감, 흡연여부에 따른 치료 후 만족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신물의 역류(p=0.003), 소화불량(p=0.007), 구강건조감(p=0.016), 편도선 부종(p=0.018), 가래(p=0.033)에 따른 치료 후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보였다. 3. $Halimeter^{(R)}$ 수치의 개선정도와 만족도 사이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r=0.092, p=0.201).

  • PDF

중 대 범위 전층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관절경 하 봉합술과 소 절개 봉합술의 비교 - 단기 추시 예비 결과 - (Comparison of Arthroscopic versus Mini Open Repair in Medium and Large Sized Full Thickness Rotator Cuff Tear - Short Term Preliminary Results -)

  • 고상훈;조성도;류석우;박문수;곽창렬;우종근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3-80
    • /
    • 2004
  • 목적: 중범위와 대범위 전층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관절경 하의 봉합술과 소절개 봉합술을 비교하기 위함이다. 재료 및 방법: 중범위와 대범위의 전층 회전근 개 파열 34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관절경 하 봉합술을 시행한 13예를 제 1군으로, 소절개 봉합술을 시행한 21예를 제 2군으로 하였다. 파열 크기는 1 cm에서 5 cm까지 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4(범위; 12$\~$36)개월과 28(범위;12$\~$36)개월이었다. VAS (Visual Analogue Scale) 동통 점수를 이용하여 주관적 통증을 비교하였고, ADL (Activity of Dally Living) 일상 생활 지수를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기능 평가는 UCLA (University of California LA)점수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양 군의 만족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에서 동통과 기능 점수는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p>0.05). VAS 동통 점수, ADL 일상 생활 지수, UCLA 점수, 만족도는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 중범위와 대범위 전층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관절경 하의 봉합술과 소절개 봉합술은 VAS, ADL, UCLA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 비슷한 임상적 결과를 보였다.

  • PDF

간호의 질 평가에 관한 국내 간호연구 분석 (The Analysis of Nursing Research in Korea in relation to the Evaluation of Quality of Nursing)

  • 김남영;장금성;류세앙;김윤민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37-352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quality of nursing, thereby obtaining basic data relating to the identification of current situation of instrument development of quality of nursing, and of future research orientation and to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ex of nursing organization.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to December, 2002 through the review of total of 32 research papers which had evaluated quality of nursing among published papers in Korea from 1976 to August 2002. The analysis was done in terms of research period, the periodicals in which research papers were published, domains and the approaches of evaluation of nursing quality. The content analysis of lowest-level items amounting was performed using NIC developed by McCloskey & Bulecheck(1998) and consequential indices of quality of nursing developed by Chi(1995). Results: Twenty-three of 32 papers(71.8%) turned out to be published after 1995, indicating surging interest in the evaluation of quality of nursing from the mid 1990s. Also, ten of 12 research papers dealing with subjects' diseases were published after 1995. In content analysis of lowest-level items of the process-oriented evaluation of quality of nursing, the highest nursing intervention was patient education about procedure and treatment; followed in descending order by patient education about disease process, strengthening of communication, managing environment, infection control, admission care, defecation and urination care. In content analysis of lowest-level items of the outcome-oriented evaluation of quality of nursing, item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ate, of patient and family satisfaction, of knowledge and home care, of change of patients' state, of addressing nursing issues, and of patient recovery were the outcome indicators in more than 60 percent research papers. Conclusion: The findings provided the foundation for their effective use in nursing practice with comparing and presenting various core evaluation items representing process and outcome domains.

  • PDF

시뮬레이션 학습을 위한 호흡곤란증후군 환아 시나리오 개발 및 학습 수행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cenario for Simulation Learning of Care for Children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 이명남;김희순;정현철;김영희;강경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1-11
    • /
    • 2013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호흡곤란증후군 환아 사례의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지식 적용-기술 수행, 문제 해결 능력, 학습만족도를 파악하는 데 있다. 방법 단일군 사후설계를 적용하였으며, 고위험 아동간호학을 수강하고 있는 간호학과 4학년 55명을 대상으로 총 17개조를 구성하여 매주 3개조(4-5명/조)로 시뮬레이션 운영 후 디브리핑을 60분간 실시하였으며, 자신의 실습 수행에 대한 문제해결능력과 학습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시나리오는 간호진단을 포함하여 6단계로 구성하였으며, 20분의 운영 시간 내에 호흡곤란 증후군 환아에 대한 지식 적용 및 기술 수행 능력, OSCE 수행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지식 적용-기술 수행 평가에서 간호진단을 제외한 5개의 범주 중 평가 단계가 지식 적용과 기술 수행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식 적용에서 가장 높은 평균 점수를 보인 항목은 사정 단계에서 산소포화도 관찰, 평가 단계에서 산소분압과 산소포화도 확인이었고, 기술 수행에서는 중재 단계의 호흡곤란 완화 간호가 높았다. 사정 단계의 검사 확인은 지식 적용 및 기술 수행 영역에서 모두 낮게 나타났다. OSCE 수행 평가에서는 흡인 수행 능력에서는 사용한 물품 정리 및 수행 후 손씻기, 산소 공급에서는 급습기 멸균증류수 확인이 가장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잘 수행된 항목보다 수행되지 못한 항목이 흡인과 산소 공급 모두 많은 것으로 나타나 기본간호술기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제 해결 능력과 학습 만족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문제 해결 능력이 높을수록 학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시뮬레이션 교육 시행 후 문제 해결 능력에 따라 학습 만족도가 높으므로 문제 해결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아동간호영역에서 다양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기본간호술기 수행 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더욱 활발히 운영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인터넷시대에서의 생리통과 대체요법이용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Dysmenorrhea and Alternative Medicine among the Internet Age)

  • 박선미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1103-1110
    • /
    • 2013
  • 본 연구는 인터넷시대에서 월경통 대상자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광주시의 5개 보건소 방문자와 A 교회 여성 교인 중 18세 이상 55세 이하의 생리를 하고 있는 200명의 여성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0년 9월부터 2010년 10월 10일까지였다. 연구도구로는 안승덕(2003)의 설문지에서 사용한 문항을 기초로 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7.0을 이용, 빈도분석, 교차분석, 카이제곱검정을 하였고, 연구결과 월경통환자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은 43.4%, 이용장소는 한의원이나 한약방이 56.3%, 대체요법의 종류도 한의원의 한약, 침술, 뜸, 부항(42.5%)의 비율, 이용시 지출비용(1년기준)은 50만원 미만 56.3%, 이용후의 만족도는 만족한다 51%의 분포도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사회활동이 많은 21세기에서 월경통 환자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이 높아지고, 본인스스로 혹은 주위의 권유로 대체요법을 이용하며, 신뢰할 수 있는 의료기관인 한의원과 전통적 민간요법에 의존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보험 혜택이 이루어지도록 연구와 협조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관적 수면평가와 활동기록기를 이용한 수면평가의 비교 - 정신과입원환자를 대상으로 - (Comparison between Subjective and Actigraphic Measurement of Sleep in Psychiatric Inpatients)

  • 정현강;이문수;고영훈;임세원;김승현;정인과;조숙행
    • 정신신체의학
    • /
    • 제18권1호
    • /
    • pp.30-39
    • /
    • 2010
  • 연구목적 : 임상현장에서 주로 환자나 간호사의 주관적인 수면보고에 의존하여 수면을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수면평가와 활동기록을 이용한 수면평가를 비교하고자 한다. 방 법 : 32명의 정신과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대상자들에게 활동기록기를 이용한 수면평가, 수면일지, 주관적인 수면의 질에 대한 시각적 증상 정도 평가, BDI, STAI를 시행하였다. 간호사도 3일 동안 한 시간마다 환자의 수면을 평가하였다. 결 과 : 환자의 보고와 활동기록기를 이용한 수면측정상 입면잠복시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환자는 간호사보다 자고 있음에도 깨어있었다고 더 많이 보고하였다. 주관적 수면평가와 활동기록 수면평가의 차이는 불안, 우울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 주관적으로 수면의 질을 낮게 평가하는 환자일수록 활동기록기로 측정한 입면잠복시간과 더 큰 차이를 보였고, 우울, 불안 증상이 심한 환자의 수면보고는 활동기록 측정값과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런 환자들에게 수면의 질에 대한 질문만으로는 정확한 수면평가가 어려우므로 객관적인 수면평가가 필요하겠다.

  • PDF

병원 급식 및 영양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정보시스템 구축 (An Information System Building to Improve the Food and Nutrition Services in Hospitals)

  • 이재선;신해웅;김성태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9-18
    • /
    • 2002
  • 최근 의료환경의 변화와 함께 병원 간 경쟁이 더욱 심화되어 병원경영의 목표가 새로 정립되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진료지원부서인 병원 급식 및 영양 서비스 분야에서도 혁신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모색된 여러 가지 방안들을 구체적으로 실행하는데 있어 전산화를 기반으로 한 정보시스템의 구축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병원 급식 및 영양서비스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각종 정보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단순 반복적인 업무들을 전산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병원 정보시스템과 유기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해 급식분야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고자 하였다. 이는 병원 경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타 병원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할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최고의 환자 식사 서비스 만족을 도모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병원 급식 및 영양서비스 분야의 정보시스템을 TASTY(Time-based Advanced Service Technology for Yong-Dong Severance Hospital, Nutrition Department)라 명명하였다. TASTY는 식단관리, 구매관리, 임상영양서비스관리, 작업관리, 급식경영분석의 5가지 업무 분야와 이들의 바탕이 되는 기본 정보관리 업무를 수행한다.

  • PDF

가정의학 임상실습과정에 대한 구조화된 평가 (Structured Assessment to Evaluate a Family Medicine Clerkship Program)

  • 박은주;이상엽;임선주;윤소정;감비성;백선용;김윤진;우재석;이정규;정동욱;조영혜;이유현;탁영진
    • 의학교육논단
    • /
    • 제19권1호
    • /
    • pp.47-55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a 3-week family medicine clerkship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an online survey taken by the students (N=127) and a structured interview with a focus group (n=10), aim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lerkship program. The online survey contained questions pertaining to goals, schedule, contents, arrangement, atmosphere, environment, evaluation, and satisfaction regarding the clerkship. The focus group interview addressed the schedule and achievements of the program. Scores were reported on a 5-point Likert scale. Most stud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overall quality of the clerkship. The structured interview results showed that 97.6% of the clerkship program was executed according to the schedule. The focus group reported a perfect score of 5 points on several measures including: accomplishment of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family medicine clerkship, providing many chances to obtain medical histories and perform physical examinations on real patients, experience with various symptoms and diseases, positive attitudes of faculty members when teaching, notification of the guidelines for evaluation beforehand, well-constructed and effective clerkship schedule, and reflection of student feedback. However, the focus group gave low scores on: support for health accidents of students, access to patient information, enough opportunities to practice clinical skills, appropriate rest facilities for students, and fairness of clerkship evaluation process. In conclusion, the structured evaluation performed after the 3-week clerkship program motivated students and helped them ensure an efficient clerkship. This structured evaluation also suggested basic data to make the professor who is subject of the assessment. This study shows that structured assessment is an effective method which can be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clerkshi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