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ency rate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3초

하지동맥 질환의 인터벤션: 전반적 치료 계획 수립 (General Treatment Strategy for Intervention in Lower Extremity Arterial Disease)

  • 원제환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500-511
    • /
    • 2021
  • 하지동맥 질환의 유병률은 고연령 군에서 증가한다. 최근의 기술적 진보로 혈관 내 치료가 점점 더 많은 빈도로 시행되고 있다. 간헐적 파행의 치료 목표는 보행 능력을 향상시키고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해부학적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전략이며 개통률이 치료 평가 기준이 된다. 임계 하지허혈을 가진 환자에서는 병변이 광범위하고 특히 무릎아래동맥을 심하게 침범한다. 임계 하지허혈의 치료 목적은 상처 회복을 촉진하고 주요 절단을 예방하는데 있으며 사지 보존율이 평가의 기준이 된다. 장골동맥 협착의 치료에는 피복 혹은 비피복 스텐트 삽입술이 일차적 치료로 인정된다. 대퇴슬와동맥 질환은 죽종제거술과 함께 약물방출풍선 및 스텐트가 자주 사용되는 반면 무릎아래동맥 질환에서는 풍선확장술이 주요 치료 방법이다. 컴퓨터단층 혈관조영술은 절대적 금기증이 없는 환자에서 혈관 내 치료계획 수립을 하는데 로드맵을 제공한다.

Unconventional shunt surgery for non-cirrhotic portal hypertension in patients not suitable for proximal splenorenal shunt

  • Harilal, S L;Biju Pottakkat;Senthil Gnanasekaran;Kalayarasan Raja
    •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4-270
    • /
    • 2023
  • Backgrounds/Aims: Proximal splenorenal shunt (PSRS) is a commonly performed procedure to decompress portal hypertension, in patients with refractory variceal bleed, especially in non-cirrhotic portal hypertension (NCPH). If conventional methods are hindered by any technical or pathological factors, alternative surgical techniques may be required.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unconventional shunt surgeries performed for NCPH.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NCPH patients who underwent unconventional shunt surgeries during the period July 2011 to June 2022 was conducted.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 minimum of 12 months with doppler study of the shunt to assess shunt patency, and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to evaluate the regression of varices.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130 patients underwent shunt surgery; among these, 31 underwent unconventional shunts (splenoadrenal shunt [SAS], 12; interposition mesocaval shunt [iMCS], 8; interposition PSRS [iPSRS], 6; jejunal vein-cava shunt [JCS], 3; left gastroepiploic-renal shunt [LGERS], 2). The main indications for unconventional shunts were left renal vein aberration (SAS, 8/12), splenic vein narrowing (iMCS, 5/8), portalhypertensive vascular changes (iPSRS, 6/6), and portomesenteric thrombosis (JCS, 3/3). The median fall in portal pressure was more in SAS (12.1 mm Hg), and operative time more in JCS, 8.4 hours (range, 5-9 hours). During a median follow-up of 36 months (6-54 months), shunt thrombosis had been reported in all cases of LGERS, and less in SAS (3/12). Variceal regression rate was high in SAS, and least in LGERS. Hypersplenism had reversed in all patients, and 6/31 patients had a recurrent bleed. Conclusions: Unconventional shunt surgery is effective in patients unsuited for other shunts, especially PSRS, and it achieves the desired effects in a significant proportion of patients.

내시경을 이용한 요골동맥 수확법의 수술 방법과 결과 (Endoscopic Radial Artery Harvest: Techniques & Results)

  • 정영균;이종태;조준용;김규태;장봉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호
    • /
    • pp.35-41
    • /
    • 2006
  • 배경: 관상 동맥 우회로 조성술에서 요골동맥 이식편의 사용빈도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저자들은 전통적 획득방법에 따른 미용상의 문제와 신경학적 증상 등을 줄이고자 내시경을 이용하여 요골동맥 이식편을 획득하였고, 그 사용 방법과 조기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5년 4월까지 관상동맥우회로 조성술을 위해 내시경을 통한 요골동맥 수확을 시행한 8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요골동맥은 비우성의 팔에서 수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손목의 요골부에 2 cm절개를 시행하여 내시경을 삽입 후 요골동맥을 박리하고 전주와 부위에 5 mm 절개를 시행하여 요골동맥을 매듭 후 절제하였다. 결과: 표재 요골 신경 지배 부위의 감각 이상이 23예 있었으며 가쪽 아래팔 피부 신경 지배부위의 감각 이상은 없었으며 수부의 기능 저하 역시 없었다. 창상 내 국소 부위 혈종이 있던 1예를 제외하고는 창상 문제는 없었다. 술 후 7.9$\pm$3.6개월 후 전화 문진을 통해 추적 관찰하였으며 감각 이상을 보이던 23예 중 4예에서 증상이 지속되었으며 창상의 미용적인 측면에서는 모두 만족하였다. 술 후 요골동맥의 조기 개통성 평가를 위해 66예에서 다검출기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하였고, 원위부와 근위부 모두 협착이 2예(3.0$\%$), 폐색이 1예(1.5$\%$)가 관찰되었다. 결론: 내시경을 이용한 요골동맥 수확법은 전통적 개방식 수확법에 비해 수부의 기능 장애 없이 신경학적 합병증의 빈도는 낮았으며 창상의 미용학적 만족도는 매우 뛰어났다. 그리고, 이식편의 단기 개통률도 전통적인 방법과 차이가 없어 적극적으로 추천할 수 있는 우수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2년과 4년 누적 생존율은 A군이 95.4$\%$, 79.9$\%$, B군이 95.4$\%$, 90.1$\%$였다(p=ns). 결론: 70세 이상 고령 환자에서의 관상동맥우회술은 낮은 사망률과 만족할 만한 합병증 발생률로 시행될 수 있어 환자 나이만으로 수술 여부를 결정해서는 안 될 것으로 생각한다.rtening Fraction)은 평균 23.6$\pm$4.7$\%$에서 37.4$\pm$7.9$\%$로 호전되었고, 좌심실의 수축기말의 용적지수(LVEDDI: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dimension index to body surface area)는 수술 전100.8$\pm$25.6 mm/$m^{2}$에서 79.3$\pm$ 15.8 mm/$m^{2}$로 감소한 소견을 보였다. 승모판 성형술은 전 승모판엽 탈출증이 있는 두 환아에서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내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모든 환아에서 단지 경등도 이하의 승모판 폐쇄 부전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유미흉이 한 명에서 있었다. 술 후 10개월째 허혈성 확장성 심근증이 호전되지 않아 Dor 술식을 시행한 후 사망한 예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특이 증상 없이 정상 생활 중이다 결론: 좌관상동맥 페동맥이상 기시증은 드물기는 하나, 영유아기에 심근경색 및 허혈성 심근증 또는 선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신생아에서 변형 Blalock-Taussig 단락술 (Modified Blalock-Taussig Shunt in Neonates)

  • 조광조;성시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4호
    • /
    • pp.378-382
    • /
    • 1997
  • 쇄골하동맥과 폐동맥 사이 에 PTFE 인조혈관으로 연결하는 변형 Blalock-Taussig 문합술은 청색증 심 기 형 환자에 탁월한 고식적 보존 술식으로서 신생 아에서도 적절한 폐혈류를 공급하는 방법이다. 신생아 에서 변형 Blalock-Taussig문합술의 효과와 위험 요소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교실에서는 1991년 12월부 터 1996년 2월까지 본 동아대병원 흉부외과에서 수술받은 21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후향성 조사를하 여 수술 사망율, 단락 개존율, 술후 폐동맥 이상 유무 등을 분석하였다. 수술시 환아들의 연령은 1일에서 30일 사이로 평균 11.7일이었다. 몸무게는 2.4 kg에서 4.5 kg으로 평균 3.1 kg이었다. 주된 병변은 활롯씨 사증후군이 11 례, 폐동맥협착이 있는 단일심 형태가 10례였다. 술 전 Prostaglandin E1 의 지속적 투여가 필요한 환아는 13 명이었다. 술전 평균 말초산소포화도 30. ImmHg 에서 술후 46.2mmHg 로 상승되었다. 단락술은 좌측 개흉술로 11 례가 시행되었고 나머지 10 례는 우측 개흉술로 시행되었다. 사용된 PTFE 인조혈관의 크기는 15 례에서 직경 5 mm를, 나머지 6 례에서 직경 4 mmHg를 사용하였다. 조기 단락 폐쇄율은9.5%(2례)로이\ulcorner은다조기 사망하였다. 통 계학적 검증(Fisher's exact test)에 의하여 위 험 요소를 분석한 결과 몸무개 2.6 kg 이하(p=0.021), 폐동맥 직경 3 mm 이하(p=0.008), 인조혈관 직경 4 mm사용한 경우(p=0.021)등이 조기 단락 실패 및 사망의 위험 요소로 나타났다. 생존한 19 명을 평균 11.3 개월간 추적 조사한 결과 단락 폐쇄는 없었고 이중 10 명에서 심도자 및 폐혈관 조영술을 시행한 결과 폐동맥의 변형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변형 Blalock-Taussig단락술은 신생아에서 청색증 심기형의 보존 요법으로 비교적 안전하 게 사용할 수 있는 술식으로 사료된다.

  • PDF

난관 불임환자에서 난관 개통술시 진단복강경의 효용성 (Efficacy of Diagnostic Laparoscopy for TFTC (Transcervical Fallopian Tube Catheterization) in Tubal Infertility Patients)

  • 박찬우;김혜옥;허걸;양광문;김진영;송인옥;유근재;전종영;이경상;강인수;궁미경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0권2호
    • /
    • pp.141-150
    • /
    • 2003
  • Objective: To evaluate whether diagnostic laparoscopy before transcervical fallopian tube catheterization (TFTC) would improve tubal recanalization rate and pregnancy rate in patients with bilateral proximal tubal blockage in hysterosalpingogram (HSG). Methods: The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in those underwent TFTC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2001. A total of 50 patients with bilateral proximal tubal blockage in HSG were subjected to TFTC sequentially using repeated HSG (rHSG), selective salpingography (SS) followed by tubal catheterization (TFTC). Each procedure was terminated once patency had been achieved without proceding to the next technique. In Group A patients (n=35, 64 tubes), diagnostic laparoscopy was performed before TFTC was taken to exclude the tube combined with peritubal adhesion or distal tubal pathology. In Group B, patients (n=15, 26 tubes) were performed TFTC without diagnostic laparoscopy.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pregnancy rate (45.7% vs 15.4%, p=0.034) but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recanalization rate (75.0% vs 73.1%) and complication rate (8.6% vs 13.3%). Although there is no signficant difference, more tubes were canalized by SS, which means tubal obstruction rather than occlusion, in Group A (25.0% vs 5.3%, p=0.069). Conclusion: Diagnostic laparoscopy would be effective in the selection of tube for the relatively inexpensive and less invasive TFTC or patients in need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With the tubes without combined peritubal adhesion or distal tubal pathology, pregnancy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폐쇄성 하지동맥 경화증에서 동맥 우회술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Arterial Bypass on the Atherosclerotic Occlusive Disease in Lower Extremities)

  • 박성혁;염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2호
    • /
    • pp.195-199
    • /
    • 1997
  • 복부대동맥과 그 이하 주요분지들의 동맥폐쇄에 의한 하지 만성허혈은 동맥경화증이 주원인이며 이 질환의 임상적 중요성은 혈관이 진행적으로 폐쇄됨에 따라 혈류장애가 발생하여 간헐적 파행, 휴식시 동통이 일어나며 더 진행되면 조직의 괴사가 발생,결국괴사된 조직의 절단을 초래하게된다. 본한국보 훈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2년 12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폐쇄성 하지동맥 경화증으로 입원한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동맥간 우회술을 시 행하였다. 임상증상은 괴사및 괴저 9례(45B4), 파행 7례(35%), 안정 시 동통 4례(20%)순이었다. 사용한 혈관은 복부대동맥및 총대퇴동맥의 경우 Y-형및 I-형 인조혈관을 사 용하였고 대퇴동맥이하의 혈관에서는 주로 자가 대복재정 맥을 사용하였다. 술후 합병증은 4례로 20% 를 보였고 이식된 혈관내 혈전증 2례, 창상감염 2례 였다. 술후 혈관개존율은 복부대동맥과 양측 대퇴동 맥간 우회술의 경우 100%였고 대퇴동맥 이하에서는 6개월이 92.6%, 1년 84.2%, 2년 75.4%, 3년 69.4% 였다.

  • PDF

심폐바이패스없이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술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김기봉;임홍국;허재학;안혁;함병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호
    • /
    • pp.38-44
    • /
    • 2000
  • Background: We analyzed the result of the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OPCAB) performed to minimize inflammatory responses to cardiopulmonary bypass and myocardial ischemia during the aortic cross-clamp period. Material and Method : The preoperative diagnosis operative procedure mortality complication and postoperative course of the 50 patients who underwent OPCAB between January 1998 and September 1998 were analyzed. There were 34 males and 16 females with mean age of 60$\pm$9 years. Preoperative clinical diagnoses were unstable angina in 31(62%) stable angina in 16(32%) and clinical diagnoses were unstable angina in 31(62%) stable angina in 16(32%) and postinfarction angina in 3(6%) patients. Preoperative angiographic diagnoses were three-vessel disease in 25(50%) two-vessel disease in 5(10%) one-vessel disease in 7(14%) and left main disease in 13(26%) patients. There were elective operation in 37 cases and urgent operation in 13 cases. Result: The mean number of grafts was 3.2$\pm$1.2 per patient. Grafts used were unilateral internal thoracic artery in 43 greater saphenous vein in 37 radial artery in 7 bilateral internal thoracic arteries in 4 and right gastroepiploic artery in 2 cases Forty sequential anastomoses were performed in 18 cases. Vessels accessed were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in 48 diagonal branch in 41 obtuse marginal branch in 30 right coronary artery in 24 posterior descending artery in 9 ramus intermedius in 5 and posterolateral branch in 5 anastomoses. Predischarge coronary angiography performed in 44 patients demonstrated the patency rate of 89.5%(128/143) Operative mortality was 2%(1/150)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rrhythmia in 5 graft occlusion that needed reoperation in 4. perioperative myocardial infarction in 2 femoral artery thromboembolism developed after the application of IABP in 1 postoperative transient delirium in 1 peripheral compression neuropathy in 1 case. Sixteen patients(32%) were extubated at the operating room and the other patients were extubated at the mean 13$\pm$20 hours after the operation. Mean duration of stay in intensive care unit was 49$\pm$46 hours. Thirteen patients(26%) required blood transfusions perioperatively and the amount of perioperative blood transfusion was mean 0.70$\pm$1.36 pack/patient. Conclusion: OPCAB is suggested to be the ideal technique with less postoperative complication less hospitalization time and less cost.less cost.

  • PDF

하지동맥 폐쇄성 질환에서 자가 대복재정맥 정위 이식편의 이용 (The Use of Greater Saphenous Vein In Situ Graft in Arterial Occlusive Disease of Lower Extremity)

  • 신용철;김미정;송창민;안재범;김인섭;김우식;김병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6호
    • /
    • pp.456-461
    • /
    • 2006
  • 배경: 하지동맥의 협착성 질환에서 슬와동맥 및 그 이하 분지들의 협착이 있을 경우 인조혈관과 슬와 동맥 사이의 크기 불일치가 발생하여 원위부 문합이 곤란하게 된다. 본원에서는 자가 대복재정맥 정위 이식편을 이용하여 하지동맥의 혈류를 복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7월부터 2005년 7월까지 총 26명의 환자에서 대복재정맥 정위 이식편을 이용한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임상 결과들을 환자의 차트 기록에 근거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술 후 원내 사망이나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추적기간 동안 총 6명의 만기 사망이 발생하였다. 수술 도중 및 술 후 합병증으로는 5예의 조기 이식편 폐쇄, 2예의 창상 열개, 1예의 이식편 내 동맥류 형성, 1예의 서혜부 창상 장액종 형성, 1예의 이식편 손상이 발생하였으며, 추적기간 동안 이식편 개통률은 69.3%였다. 결론: 대복재정맥 정위 이식편은 슬와동맥 및 그 이하 분지의 협착을 동반한 하지동맥 폐쇄성 질환에서 유용한 혈관 이식편으로 생각된다.

심폐바이패스 없는 관상동맥우회술의 임상성적 (Clinical Outcomes of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신제균;김정원;정종필;박창률;박순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1호
    • /
    • pp.34-40
    • /
    • 2008
  • 배경: 심폐바이패스 없는 관상동맥우회술의 개발은 심폐바이패스로 일어나는 부작용을 피함으로써 관상동맥우회술의 적용범위를 더 확대할 수 있게 하였다. 특히 심폐바이페스 없는 관상동맥우회술은 심근보호 폐 및 신기능의 보호, 혈액응고 장애 예방, 전신 염증 반응 및 인지기능의 예방 등에서 이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관상동맥우회수술을 좀 더 작대 적용할 수 있는지를 알기 위하여 심폐바이패스 없는 관상동맥우회술의 임상성적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5월부터 2007년 8월까지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한 310예의 한자 중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한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63명, 여자가 37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62{\pm}10$세($29{\sim}82$세)이었다. 수술 전 진단은 불안정성 협심증이 77예, 안정성 협심증이 16예이었으며 급성심근경색증인 경우가 7예이었다. 동반된 질병은 고혈압이 48예, 당뇨병 42예, 신부전증의 경우가 10예이었고 만성폐쇄성폐질환이 5예, 경동맥질환이 동반된 경우가 6예이었다. 수슬 전 평균 심박출률은 $56.7{\pm}11.6%$ ($26{\sim}74%$)였다. 관상동맥조영술에서 심혈관질환이 47예, 이혈관질환이 25예이었고 단일혈관질환이 24예였으며, 이 중 좌주관상동맥협착이 있는 경우가 23예이었다. 내흉동맥은 97예에서 경상이식편으로 획득하였고 요골동맥과 대복재정맥은 각각 70예, 45예이었으며 이 중 내시경을 사용한 혈관 확보는 각각 53예, 41예 이었다. 결과: 평균 $2.7{\pm}1.2$개의 문합을 하였다. 일측 내흉동맥은 95예(95%)에서 사용되었으며 요골동맥이 62예, 대복재정맥이 39예였고 양측 내흉동맥은 2예에서 시행되었으며, 100예 중 연속문합은 46예가 있었다. 각각의 관상동맥별 문합 수는 좌전하행지가 97개소, 둔각변연지가 63개소, 대각지가 53개소, 우관상동맥이 30개소, 중간분지가 11개소, 후하행동맥이 9개소, 그리고 후측방분지가 3개소였다. 수술 중 심폐바이패스로 전환한 경우는 4예 있었다. 전체 100예 중 72예에서 퇴원 전 관상동맥조영술 혹은 다중절편 컴퓨터 단층촬영술을 이용한 관상동맥영상술로 확인하였는데 198문합 중에 184문합(92.9%)에서 개통성이 유지되었다. 수술 후 1예에서 패혈증으로 사망하였으며, 뇌경색 1예와 창상 감염 1예가 있었고 술 후 부정맥과 심근경색증은 없었다. 수술 후 평균 인공호흡기보조시간은 $20{\pm}35$시간이었으며 중환자실 체류시간은 $68{\pm}47$시간이었다. 수술 중 평균 수혈양은 $4.0{\pm}2.6\;pack$이었다. 결론: 저자들은 100예의 심폐바이패스 없는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여 좋은 성적을 얻었기에 관상동맥우회수술의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수술이라 제시할 수 있겠다.

간문부 담관암 환자에서 경피경관 양측성 금속 배액관의 효과 (The Effect of Percutaneous Bilateral Metalic Stent for Hilar Cholangiocarcinoma)

  • 김금래;김주형;박원규;장재천;조재호;김태년;김준환;장병익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2권2호
    • /
    • pp.211-220
    • /
    • 2005
  • 간문부 담관암 환자에서 고식적 치료로 경피경간 금속 자가 팽창성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 2001년 11월부터 2002년 7월까지 간문부 담관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경피경간 양측성 금속 스텐트를 삽입한 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과 전화조사를 이용하여 조기합병증, 기술 및 임상적인 성공률, 스텐트 개통율, 환자 생존율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금속 스텐트의 삽입은 전 예에서 가능하였으며 기술적인 성공률은 100%로 대상환자 48명 모두에서 추적 담관조영술에서 십이지장으로 조영제가 잘 내려가 경피경간 담도배액관을 제거할 수 있었다. 금속 스텐트 삽입 후 1주 배액율은 평균 72.8%, 최종 배액율은 91.1%로 모든 예에서 성공적인 배액이 이루어졌다. 30일 이내에 조기 합병증으로 경미한 복통 이외의 진통제 투여가 필요한 정도의 복통이 12예에서 있었으나 보존적 치료로 2~3일 내에 호전이 되었고, 급성 담도염이 1예서 발생하였으나 적절한 항생제의 사용으로 호전이 되었다. 후기 합병증으로 급성 담낭염이 2예, 간농양이 1예, 담즙종이 1예 발생하였으나 적절한 배액술로 치료가 가능하였다. 생존율과 개통율은 30일 이내에 사망한 3예와 추적이 되지 않은 3예를 제외한 42예에서 구하였다. 42예의 금속 스텐트의 개통 유지기간의 중앙값은 303일(60~815일)이었으며 6개월 개통율은 64%, 1년 개통율은 33%였다(Fig. 2).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338일(60~1175일)이었으며 6개월 생존율은 69%, 1년 생존율은 38%였다(Fig. 3). 근치적 절제가 불가능한 간문부 담관암 환자에서 고식적 치료로 경피경간 금속 스텐트 삽입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시술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