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ssive Sampler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1초

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이동오염원에 의한 대기 중 NO2의 거동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contribution of vehicle emissions to ambient NO2 using stable isotopes)

  • 박광수;김혁;유석민;노샘;박유미;석광설;김민섭;윤숙희;김영희
    • 분석과학
    • /
    • 제32권1호
    • /
    • pp.17-23
    • /
    • 2019
  • 질소산화물(NOx)은 인위적 배출원(화석연료 연소, 이동오염원, 산업배출원 등)과 자연배출원(번개, 생물기원 토양, 산불 등)으로부터 배출된다. 질소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분석 기법은 배출원의 기여도 및 추적 인자로 활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NOx의 특성을 보기 위하여 ${\delta}^{15}N-NO_2$를 측정하였으며 배출원의 동위원소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료채취가 용이한 Ogawa PAS를 이용하여 대기 중 가스상 질소를 포집하여 안정동위원소를 분석하였다. 도심지역 터널내부의 평균 $NO_2$ 농도는 $3808.8{\pm}2656.5ppbv$이며, ${\delta}^{15}N-NO_2$ 값은 $7.7{\pm}1.8$‰를 나타내며 일반적인 이동오염원의 값을 나타냈다. 고속도로의 이동오염원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결과, 고속도로와 인접한 지점의 $NO_2$ 농도는 $965.4{\pm}125.2ppbv$이며 ${\delta}^{15}N-NO_2$$5.9{\pm}1.4$‰이었고, 1.1 km 떨어진 지점의 $NO_2$ 농도는 $372.5{\pm}95.9ppbv$이며 ${\delta}^{15}N-NO_2$$-11.5{\pm}2.9$‰로 고속도로인근의 값이 높게 나타내었다. 고속도로부터 이동오염원 기여율을 보기 위하여 binary mixing model을 수행하였으며 고속도로와 근접할수록 기여율, 농도 및 동위원소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나타냈다.

확산형 시료 채취기와 직독식 기기에 의한 이산화질소와 포름알데히드 농도의 비교 (The Comparison Study on the Concentration of $NO_{2}$, HCHO by Passive Sampler and Direct Reading Instrument)

  • 김경진;박지연;김형아;안규동
    • 한국환경보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보건학회 2005년도 가을학술대회
    • /
    • pp.106-109
    • /
    • 2005
  • 확산형 시료 채취기와 직독식 기기(공정시험법, Nitrogen Oxides Analyzer Model; EC 9841, Ecotech, Australia)에 의한 $NO_2$, 농도를 비교하고, 능동시료채취기(공정시험법)와 확산형포집기에 의한 HCHO(포름알데히드) 농도를 비교하기 위해 서울 ${\cdot}$ 경기 또는 대전, 충남 ${\cdot}$ 북지역에 소재한 11개 시설(종합병원 4곳, 노인 병원 1곳, 보건소 1곳, 복지관 3곳, 보육시설 2곳)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1. 포름알데히드의능동 포집법(공정시험법)에 의한 시료(n=87)의 평균농도는 $11.44{\pm}11.07ppb$이고, 확산형 시료 채취기 의한 시료(n=40)의 평균농도는 $11.91{\pm}7.37ppb$으로 비슷한 값이 나왔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806). 2. 포름알데히드 능동 포집법에 의한 농도와 확산형 시료 채취기에 의한 농도와의 상관계수 r=0.404(p=0.037)로 나타나 이 두 가지의 방법은 특정시간 포름알데히드 측정에 사용하여도 어느 정도 비교하기에는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3. 이산화질소의 노출정도는 직독식 기기(공정시험방법)와 확산형 시료 채취기로 각각 1시간 (오전, 오후 각각 2회), 8시간 측정하였다. 공정시험방법(n=61)에 의한 1시간-시료 평균농도는$44.48{\pm}37.96ppb$이고, 확산형 시료 채취기(n=61)에 의한 1시간-시료 평균농도는 $3.58{\pm}2.07ppb$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0). 직독식 기기(n=61)에 의한 8시간-시료 평균농도는 $34.85{\pm}22.83ppb$이고, 확산형 시료 채취기(n=61)에 의한 8시간-시료 평균농도 $8.32{\pm}4.44ppb$으로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p=0.000). 4. 이산화질소를 직독식 기기(공정시험방법)와 확산형 시료 채취기로 측정한 1시간-시료 농도의 상관계수 r=0.253(p=0.268)이고 8시간-시료 일 때 상관계수 r=0.367(p=0.102)로 나타나 확산형 시료 채취기를 직독식 기기(공정시험방법) 대체 사용방법으로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 PDF

시화산업단지의 블록 별 악취유발물질 특성 (Patterns of Offensive Odor Compounds According to Blocks in Shiwha Industrial Complex)

  • 변상훈;이정근;김정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161-1168
    • /
    • 2009
  • 본 연구는 시화공단 단지에서 발생하는 주요 악취물질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TVOC의 블록 별 분포를 보면 기계블록인 장소 D의 농도가 74 ppb로 가장 높았다. 화학블록인 장소 A가 그 다음으로 높은 50 ppb의 농도를 보였으며, 복합블록과 금속블록, 공원 등은 30 ppb 내외의 유사한 농도 수준을 보였고, 복합블록인 장소 F에서 평균 TVOC가 18 ppb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평균 TVOC 농도는 35 ppb로 나타났다. 아세트알데히드, 뷰티르알데히드 등을 비롯한 알데히드류와 황화수소의 농도가 시화공단 지역의 악취물질 중에서 높게 나타났다. 대표적으로 악취 강도가 높은 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 뷰티르알데히드, 황화수소를 중심으로 블록 별 악취강도를 비교해 본 결과 장소 A, B(화학블록)와 장소 D, I(기계블록), 장소 H(금속블록)에서 세 물질의 악취강도가 모두 1을 넘었다. 아세트알데히드의 경우 악취강도가 2 내외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다. 황화수소의 경우 상관계수의 값이(r) 0.91로 악취강도와 황화수소 성분 사이에 매우 높은 양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뷰티르알데히드도 상관계수가 0.82로 역시 높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악취물질 농도로는 가장 큰 값을 보였던 아세트알데히드는 상관계수가 0.62로 악취강도와 어느 정도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게차 사용 사업장에서 디젤엔진배출물질 노출지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osure Indices for Diesel Engine Exhaust in Forklift Operating Areas)

  • 김상일;박지영;이경민;김승원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8-47
    • /
    • 2016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xposure levels of forklift operators to diesel engine exhaust(DEE) using black carbon(BC), elemental carbon(EC), and nitrogen dioxide($NO_2$) as indicators. Methods: A total of eight forklift operators in six collection companies were assessed over a period of two months from July to September 2015. BC was measured using a real-time monitor and respirable EC samples were analyzed using the NIOSH method 5040. $NO_2$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a passive badge-type sampler. Results: The geometric mean of BC, EC and $NO_2$ were $3.1-19.1{\mu}g/m^3$, $2.1-23.8{\mu}g/m^3$, and 12.5-166.6 ppb at all companies. When forklifts were operating both outside and inside, BC concentrations increased 2.0-5.6 times. The highest increase was observed when forklifts were operating indoors. The increase in BC concentrations varied by company(company A: 2.0 times, B: 3.2 times, C: 5.6 times, D: 2.1 times, E: 5.1 times, F: 2.6 times). The geometric mean of BC, EC, and $NO_2$ for the forklift operators was $9.6{\mu}g/m^3$, $7.9{\mu}g/m^3$, and 48.9 ppb, respectively. The geometric mean of BC, EC, and $NO_2$ for manufacturing workers was $9.3{\mu}g/m^3$, $0.9{\mu}g/m^3$, and 85.2 ppb, respectively. The mean BC and EC exposure levels for the forklift operator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for manufacturing workers, but $NO_2$ levels for manufacturing workers were higher than those for the forklift operators(p>0.05).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diesel exhaust emissions standard, forklift weight and forklift manufacturer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determining worker exposure. Conclusions: In the DEE work environment, workers who perform tasks within the workplace as well as inside forklifts as operators are likely to be exposed to a lack of ventilation. Further study of forklift operators' exposure to DEE indicators should be conducted to include a wider range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situations, such as collection procedures, seasonal situations, types of fuel used, and number of forklifts.

일부 공단지역 내 이산화질소에 의한 개인노출 농도에 관한 연구 (Personal Exposure Level of Nitrogen Dioxide in an Industrial Area)

  • 전용택;양원호;조태진;손부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20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industrial area. The level of nitrogen dioxide was measured indoor, outdoor, work and personal in an study area within 5 km from source of pollution and control area 15 km farther from August, 2006 to September.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is research. The concentration of the indoor and the outdoor $NO_2$ levels in the industrial area are 18.41$\pm$6.35 ppb, 18.51$\pm$3.26 ppb each, and the indoor/outdoor concentration rate is 0.99. The concentration of $NO_2$ in the workplace is 18.59$\pm$10.16 ppb, and the individual exposure rate is 18.80$\pm$5.71 ppb. The concentration of the indoor and the outdoor $NO_2$ levels control area are 12.57$\pm$3.82 ppb, 9.68$\pm$2.16 ppb each, and the indoor/outdoor concentration rate is 1.33. The personal exposure rate is 14.49$\pm$10.06 ppb. The residents of the each area and those of the comparative area spend 80.9% and 76.9% each their time in the indoor. It shows they spend most of their time in indoor. The predictions of the individual exposure rates in the industrial area and the comparative area are 15.10$\pm$6.14 ppb and 10.52$\pm$3.82 ppb each, The concentration levels measured by passive sampler are 18.80$\pm$5.71 ppb and 14.49$\pm$10.34 ppb each.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the analysis of the personal exposure rate in indoor, outdoor and workplace of industrial area. This research may bo used as a basic data to manage and to establish the plan for $NO_2$ gas of the industrial area.

Artificial mussel을 이용한 우리나라 연안환경의 중금속 오염도 연구 (Application of the Artificial Mussel for Monitoring Heavy Metal Levels in Seawater of the Coastal Environments, Korea)

  • 나공태;김종근;김경태;이승용;김은수;이정무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1-14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artificial mussel(AM)을 우리나라 해양환경에 처음으로 활용하여 수환경 내 중금속 오염도를 모니터링 하였다. 조사지역으로는 특별관리해역인 시화호 내측 5개 정점을 선정하였으며, AM과 홍합(Mytilus edulis)을 총 12주간 이식실험을 진행함으로써, AM과 홍합 내 지역 및 시간에 따른 중금속(Cd, Cr, Cu, Pb 및 Zn)의 오염도 및 농축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AM과 홍합 모두 시간에 따라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Zn의 축적이 다른 중금속 원소에 비해 높았다. Cd, Cu 및 Pb는 AM과 홍합간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나, Cr과 Zn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 중 용존 중금속과 AM 및 홍합 내 중금속 간의 상관분석결과, Cd, Cu 및 Zn는 홍합보다 AM과 상대적으로 좋은 상관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주의 이실실험 후 AM이 홍합에 비해 뚜렷한 지역적 차이를 보이고 있어 해수 중 용존 중금속 농도를 직접적으로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AM은 우리나라 해양환경의 시 공간적인 중금속 오염도 연구에 모니터링 도구로 사용가능하며, 물리, 화학적인 요인에 적은 영향을 받으므로, 담수를 포함한 다양한 수 환경 중금속 오염 연구에 활동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