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ssenger Node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5초

A New Approach for Hierarchical Dividing to Passenger Nodes in Passenger Dedicated Line

  • Zhao, Chanchan;Liu, Feng;Hai, Xiaowei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4권3호
    • /
    • pp.694-708
    • /
    • 2018
  • China possesses a passenger dedicated line system of large scale, passenger flow intensity with uneven distribution, and passenger nodes with complicated relations. Consequently, the significance of passenger nodes shall be considered and the dissimilarity of passenger nodes shall be analyzed in compiling passenger train operation and conducting transportation allocation. For this purpose, the passenger nodes need to be hierarchically divided. Targeting at problems such as hierarchical dividing process vulnerable to subjective factors and local optimum in the current research, we propose a clustering approach based on self-organizing map (SOM) and k-means, and then, harnessing the new approach, hierarchical dividing of passenger dedicated line passenger nodes is effectuated. Specifically, objective passenger nodes parameters are selected and SOM is used to give a preliminary passenger nodes clustering firstly; secondly, Davies-Bouldin index is used to determine the number of clusters of the passenger nodes; and thirdly, k-means is used to conduct accurate clustering, thus getting the hierarchical dividing of passenger nodes. Through example analysis, the feasibility and rationality of the algorithm was proved.

서울 수도권 지하철망의 호선별 망 매개 중심성과 승객 흐름 분석 (Network Betweenness Centrality and Passenger Flow Analysis of Seoul Metropolitan Subway Lines)

  • 이강원;이정원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95-104
    • /
    • 2018
  • Using network betweenness centrality we attemp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eoul metropolitan subway lines. Betweenness centralit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 node as a transfer point between any pairs of nodes. This 'transfer' characteristic is obviously of paramount importance in transit systems. For betweenness centrality, both traditional betweenness centrality measure and weighted betweenness centrality measure which uses monthly passenger flow amount between two stations are used. By comparing traditional and weighted betweenness centrality measures of lines characteristics of passenger flow can be identified. We also investigated factors which affect betweenness centrality. It is the number of passenger who get on or get off that significantly affects betweenness centrality measure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f the number of passenger and betweenness centrality, it is found out that Seoul metropolitan subway system is well designed in terms of regional distribution of population. Four measures are proposed which represent the passenger flow characteristics. It is shown they do not follow Power-law distribution, which means passenger flow is relatively evenly distributed among stations. It has been shown that the passenger flow characteristics of subway networks in other foreign cities such as Beijing, Boston and San Franciso do follow power-law distribution, that is, pretty much biased passenger flow traffic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we have also tried to answer why passenger traffic flow of Seoul metropolitan subway network is more homogeneous compared to that of Beijing.

서울 대도시권 지하철망의 구조적 특성 분석 (Network Structures of The Metropolitan Seoul Subway Systems)

  • 박종수;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59-475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다양한 네트워크 분석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는 복잡성 분석을 통하여 수도권 지하철 망의 구조적 특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지하철 망을 점과 선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로 구성하고, 네트워크의 복잡성 분석에서 계산하는 다양 지표들을 산출하여 그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교통카드를 이용해 움직이는 수도권 대중교통이용자의 통행기록을 담고 있는 대용량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도권 지하철망의 구조적 특징을 찾아내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그의 적용으로 얻어진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지하철역과 역 사이의 시간거리와 실제거리에 대해 최단경로를 탐사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통하여 얻어진 최단경로거리와 최단거리의 분포 구조를 분석하였다. 특히 최단 경로거리와 최단 거리의 합을 산출하여 수도권 지하절망을 통하여 각 역에서 다른 모든 역들에 도달하기 용이한 정도를 의미하는 접근성 지표로 삼고, 이를 GIS를 사용하여 수도권의 접근성의 공간적 분포를 나타내고 그의 공간적 구조를 분석하였다.

  • PDF

거리비례제 요금부과에 따른 최소요금경로탐색 (Finding a Minimum Fare Route in the Distance-Based System)

  • 이미영;백남철;남두희;신성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01-108
    • /
    • 2004
  • 서울시 대중교통개편에서 요금부과방안은 기본적으로 거리비례제체제(Distance-Based Fare System)에 근거하고 있다. 거리비례제에서 요금은 일정거리를 주행하는 기본요금과 수단간 환승에서 발생하는 환승요금, 일정거리 이상의 주행에 따른 할증요금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는 거리비례제에 따른 요금부과 시 최소요금경로를 탐색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한 다수의 수단이 존재하는 복합교통망의 환승지점에서 네트워크확장이 필요치 않도록 링크표지을 적용했다. 동일링크에서 복수통행수단의 표현이 가능하도록 수단에 따른 링크확장개념을 활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안하는 최소요금경로 알고리즘은 수단을 표현하기 위한 표식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 기존의 링크표지 최적경로알고리즘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요금부과과정을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위하여 출발지를 기준으로 표현된 연속된 두 링크에 대해 기본요금, 환승요금, 할증요금의 부과과정을 수식으로 표현하였다. 이 수식을 재귀(recursive)형태의 수식으로 전환하여 최소요금경로 탐색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간단한 예제를 통하여 알고리즘 수행과정을 평가하였다.

교통카드 빅데이터 기반의 서울 버스 교통망 시간거리 접근성 산출 (Time-distance Accessibility Computation of Seoul Bus System based on the T-card Transaction Big Databases)

  • 박종수;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39-555
    • /
    • 2015
  • 본 논문의 목적은 서울시버스체계의 시간거리 접근성을 산출하고 공간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인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서 버스 이용객의 시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서울 버스 교통망의 시간거리 접근성을 산출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특히 버스체계 운영 특성을 반영하여 버스 승객들이 출발지에서 승차하여 같은 버스로 목적지에 도착하거나 또는 중간에 다른 버스노선으로 환승하여 목적지 까지 도착하는 통행을 나타낼 수 있는 버스 교통망 그래프를 구성하고,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서 각 승객이 이동하는 시간을 추출해 내어 평균 이동시간을 버스 교통망 그래프의 각 연결선의 가중치로 설정한다. 수정된 Floyd APSP algorithm을 이용하여 얻어진 각 결절점들 사이의 최단경로 이동시간을 바탕으로 각 버스정류장의 접근성을 계산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또한 분석 결과를 정리하고 공간분포를 시각화하여 공간구조를 파악한다. 본 연구는 많은 버스노선과 버스정류장들로 구성되고 환승 등 다양한 통행행태가 내포되어 있는 복잡성 때문에 접근성 측정이 용이하지 않았던 서울 버스 교통망의 시간거리 접근성을 산출하려는 첫 시도라는 측면에서 의의가 크다.

  • PDF

VIRTUAL PREDICTION OF A RADIAL-PLY TIRE'S IN-PLANE FREE VIBRATION MODES TRANSMISSIBILITY

  • CHANG Y. P.;EL-GINDY M.
    •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 /
    • 제6권2호
    • /
    • pp.149-159
    • /
    • 2005
  • A full nonlinear finite element P185/70Rl4 passenger car radial-ply tire model was developed and run on a 1.7-meter-diameter spinning test drum/cleat model at a constant speed of 50 km/h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ire transient response characteristics, i.e. the tire in-plane free vibration modes transmissibility. The virtual tire/drum finite element model was constructed and tested using the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software, PAM-SHOCK, a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code. The tire model was constructed in extreme detail with three-dimensional solid, layered membrane, and beam finite elements, incorporating over 18,000 nodes and 24 different types of materials. The reaction forces of the tire axle in vertical (Z axis) and longitudinal (X axis) directions were recorded when the tire rolled over a cleat on the drum, and then the FFT algorithm was applied to examine the transient response information in the frequency domain. The result showed that this PI 85/70Rl4 tire has clear peaks of 84 and 45 Hz transmissibility in the vertic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This result was validated against more than 10 previous studies by either theoretical or experimental approaches and showed excellent agreement. The tire's post-impact response was also investigated to verify the numerical convergence and computational stability of this FEA tire model and simulation strategy, the extraordinarily stable scenario was confirmed. The tire in-plane free vibration modes transmissibility was successfully detected. This approach was never before attempted in investigations of tire in-plane free vibration modes transmission phenomena; this work is believed to be the first of its k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