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article size control

검색결과 619건 처리시간 0.026초

Assessment of the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Potential of Climbing Plants on Green Walls for Air Quality Management

  • Jeong, Na Ra;Kim, Jeong-Hee;Han, Seung Won;Kim, Jong-Cheol;Kim, Woo You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77-387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To improve air quality, particulate matter (PM) can be reduced using green infrastructure. Therefore, in this study, we aimed to determine the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potential of climbing plants used for green walls, an element of vertical green infrastructure. Methods: A sealed chamber with controlled environmental variables was used to assess the PM reduction level caused by climbing plants. PM concentration in the plant chamber was measured after two and four hours of PM exposure, and the reduction potential was assessed based on the leaf area. Results: Compared to the empty chamber (Control), the PM reduction speed per hour was higher in the plant chamber, which confirmed that climbing plants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PM in the air. The PM reduction speed immediately after exposure in the plant chamber was high, but this slowed over time. Additionally, PM has been continuously reduced in plants with large leaves.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level based on leaf area,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y particle size. Actinidia arguta, Parthenocissus tricuspidata, Trachelospermum asiaticum, and 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showed a high reduction effect. The trichomes on the leaf surface of Trachelospermum asiaticum were found to affect PM reduction. Conclusion: PM adsorption on the leaf surface is an important factor in reducing its concentration. It was possible to compare different plants by quantifying the amount of PM reduction during a fixed time period.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to select the plant species suitable for urban green walls in terms of PM reduction.

Influence of palm oil fuel ash on behaviour of green high-performance fine-grained cement mortar

  • Sagr, Salem Giuma Ibrahim;Johari, M.A. Megat;Mijarsh, M.J.A.
    • Advances in materials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121-146
    • /
    • 2022
  • In the recent years, the use of agricultural waste in green cement mortar and concrete production has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because of potential saving in the large areas of landfills and potential enhancement on the performance of mortar. In this research, microparticles of palm oil fuel ash (POFA) obtained from a multistage thermal and mechanical treatment processes of raw POFA originating from palm oil mill was utilized as a pozzolanic material to produce high-performance cement mortar (HPCM). POFA was used as a partial replacement material to ordinary Portland cement (OPC) at replacement levels of 0, 5, 10, 15, 20, 25, 30, 35, 40% by volume. Sand with particle size smaller than 300 ㎛ was used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HPCM. The HPCM mixes were tested for workability, compressive strength, ultrasonic pulse velocity (UPV), porosity and absorption. The results portray that the incorporation of micro POFA in HPCMs led to a slight reduction in the compressive strength. At 40% replacement level,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87.4 MPa at 28 days which is suitable for many high strength applications. Although adding POFA to the cement mixtures harmed the absorption and porosity, those properties were very low at 3.4% and 11.5% respectively at a 40% POFA replacement ratio and after 28 days of curing. The HPCM mixtures containing POFA exhibited greater increase in strength and UPV as well as greater reduction in absorption and porosity than the control OPC mortar from 7 to 28 days of curing age, as a result of the pozzolanic reaction of POFA. Micro POFA with finely graded sand resulted in a dense and high strength cement mortar due to the pozzolanic reaction and increased packing effect. Therefore, it is demonstrated that the POFA could be used with high replacement ratios as a pozzolanic material to produce HPCM.

토양개량제 시용이 토양물리성과 담배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me Soil Conditioners on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Tobacco Growth)

  • 이철환;진정의;한철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85-691
    • /
    • 1996
  • 답전전환지의 잎담배 품질을 밭담배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재배법 개선의 기초자료로 이용 하고자 몇가지 토양개량제를 처리하여 토양의 입단형성량과 안정성등의 물리성 개선효과를 분석하고 잎담배 생육에 미친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양의 내수성 입단형성량은 polyvinylalco-hol(PVA) > perlite > zeolite순으로 많았고 식생에 적당한 크기(0.25~l.0mm)의 입단형성률은 PVA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2. 내수성 입단형성률은 토양수분 함량이 높을 수록 입단화률도 증가하여 50%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형성된 입원은 직경 2mm이상의 큰 입단비률이 높아 식생에 적당한 크기(0.25~l.00mm)의 입단형성량과 실제 농기계의 작업능률등을 고려하면 토양수분은 40%구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3. 토양립단의 안정성, 통기성 및 투수성은 토양개양제 처리로 무처리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고 PVA처리구가 가장 양흐하였으며, 공린률도 무처리에 비해 다소 증가되는 경향이나 개량제종류간에는 대등하게 나타났다. 4. 토양개량제 처리로 토양 3상 비율의 개선효과가 인정되었고, 통기성은 zeolite perlite처리구가, 투수성은 PVA처리구가 높았으며, 무처리구에 비해 전체적으로 보수력이 증대되었다. 5. 연초의 생육량은 전 수량 구성요소에서 개량제처리로 현저히 증가하였고 지상부에 비해 지하부의 생장량 증가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생장양과 연계한 토양개량제의 물리성 개선효과는 PVA > perlite > zeolite순으로 나타났다.

  • PDF

쌀가루로 제조한 쉬폰케이크의 물리적.관능적 품질특성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hiffon Cake Made with Rice Flour)

  • 김지나;신원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69-76
    • /
    • 2009
  • 쉬폰케이크 제조 시 100, 200, 300 mesh의 각기 다른 입도크기를 지닌 쌀가루를 첨가하여 제조한 케이크반죽 및 케이크의 물리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반죽안정성은 200 mesh 쌀가루 100% 첨가군이 100와 300 mesh 쌀가루 100% 첨가군보다 더 좋은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200 mesh 쌀가루의 수분흡착력은 대조군 대비 211% 높게 나타났으며, 지방흡착력은 대조군 대비 86% 낮게 나타났다. 또한 비중과 비용적에 있어서도 200 mesh 쌀가루 첨가군이 대조군 보다는 낮았지만 다른 비교군에 비해 가장 낮은 비중과 가장 높은 비용적을 나타내었는데, 기계적 조직감 측정 시 경도(hardness), 부착성(adhesiveness), 응집성(cohesiveness), 검성(gumminess), 씹힘성(chewiness) 과 같은 5가지 항목에서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관능검사결과 200 mesh 쌀가루 100% 첨가군이 촉촉함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다른 비교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차이가 났으며, 가장 높은 기호도 점수를 나타냈다. 이외의 항목인 향미, 응집성, 부서짐성에 있어서는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일반성분 분석 시 200 mesh 쌀가루가 대조군 및 다른 비교군에 비해 가장 낮은 수분함량을 나타내어 이것이 높은 수분결합력과 가장 좋은 반죽안정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요인이 쉬폰케이크 제조 시 최종 완성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200 mesh 100% 첨가군에 있어서 대조군 보다는 낮지만, 다른 비교군에 비해 높은 비용적을 나타내었다. 또한 관능평가결과, 전반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200 mesh 100% 첨가군이 대조군 및 다른 비교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쌀을 첨가한 쉬폰케이크 제조시 200 mesh 사이즈 쌀가루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림포신티그래피용 $^{99m}TC$를 표지황화안티몬 콜로이드 및 전분의 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99m}TC$ Labelled Antimony Sulfide Colloid and Hydroxyethyl Starch for Lymphoscintigraphy)

  • 박경배;오옥두;김재록;임상무;홍성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1-83
    • /
    • 1989
  • For the development of $^{99m}Tc-labelled$ antimony sulfide colloid and hydroxyethyl starch, various experiments such as preparation of colloid, control of the distribution of particle size, establishment of labelling conditions, determination of labelling yield and radiochemical purity, examination of stability, and organ imagings of rabbits etc. were carried out. 1) Antimony sulfide colloid was readily prepared by the reaction of aqueous solution of antimony potassium tartrate with hydrogen sulfide generated by treating ferrous sulfide with dilute sulfuric acid. The colloid could be stabilized by adding small amount of polyvinylpyrrolidone. 2) Electron microscopy analysis exhibited the distribution of colloid size in the range of $1\sim15nm$ with a major portion of 9 m. The colloid solution was sterilized by membrane filtration $(0.2{\mu}m)$ and then stored at $4^{\circ}C$. This sterilized colloid was so stable that it was usable at least for one year. 3) The antimony sulfide colloid was labelled by adding sodium $pertechnetate-^{99m}Tc$ solution to the reaction vial, followed by adding hydrochloric acid and then boiled for 30 min. The optimal pH of the reaction mixture was found to be in the range of $1.3\sim1.4$. Instant thin layer chromatography (ITLC) analysis showed high labelling yield of above 99.5%. This labelled colloid maintained high radio-chemical purity of above 99% until 10 hours after labelling. 4) Animal studies showed high uptake of $^{99m}Tc-Sb_2S_3$ colloid at lymph vessels and nodes indicating a suitable agent for lymphoscintigraphy. Satisfactory results were also abtained in other clinical studies. 5) Hydroxyethyl starch (HES $0.6\sim1.0%$) was labelled with $Na^{99m}TcO_4$ in the presence of $SnCl_2$ with high labelling yield of above 99.5%. The optimal pH of the reaction mixture was in the range of $1.8\sim2.0$. $^{99m}Tc-HES$ maintained high radiochemical purity of above 99% until 10 hours after labelling. 6) Animal studies showed that $^{99m}Tc-HES$ migrated more rapidly from the injection sites into the lymph vessels than $^{99m}Tc-Sb_2S_3$ colloid while less amount of the former was uptaken at lymph nodes than that of the latter. Similar phenomenon was also observed in other clinical studies. As a result, $^{99m}Tc-Sb_2S_3$ colloid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lymphoscintigraphic agent than $^{99m}Tc-HES$.

  • PDF

Brazilian시험의 수치해석 시뮬레이션을 통한 파괴인성 산정 및 영향변수 분석 (Fracture Toughness Evaluation and Influence Parameter Analysis by Numerical Simulation of Brazilian Test)

  • 신중호;박찬;신희순;정용복;이희근
    • 한국암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암반공학회 2000년도 암반공학문제의 수치해석(Numerical Analysis in Rock Engineering Problems)
    • /
    • pp.67-75
    • /
    • 2000
  • 암석의 파괴인성 측정법으로서 최근에 연구되고 있는 Brazilian 파괴인성 시험을 PFC code를 이용하여 수치해석적으로 시뮬레이션하였다. 이로부터 가압면 형태, 시험편과 모델링 입자의 크기 관계, 가압면 각도 범위, 하중속도 등의 영향 변수에 대한 분석 및 적정 기준에 대해 검 토하였다. 균등한 하중 전달을 위해 가압면이 평면인 Brazilian 시험편을 도입하였는데, 시험편 중앙에서 초기 인장균열을 생성하고 파괴인성 산정에 필요한 안정한 인장균열 진전 시점의 임계하중이 나타나는 하중-변위 곡선을 얻을 수 있는 가압면 각도는 $20^{\circ}C$ -$40^{\circ}C$ 범위로 나타났다. 가압면 각도가 $20^{\circ}C$ 인 경우에, 디스크 시험편의 구성입자 반경이 1 mm 이하이고 하중속도가 0.01 mm/s 이하인 조건에서는 거의 일정한 파괴인성값을 얻을 수가 있었다. 가압면 각도가 $20^{\circ}C$이상이고 하중속도가 0.01 mm/s 이하는 파괴인성 측정에서 중요한 기본 조건인 시험편 중 에서의 인장균열 생성 및 이 인장균열의 안정적인 진전 제어를 위한 조건인 것으로 볼 수가 있다.

  • PDF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 함유 나노에멀젼 및 이의 항균활성 연구 (Nano-emulsion Containing Parthenocissus tricuspidata Stem Extracts for Enhanced Skin Permeation and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Extracts)

  • 조나래;박민아;전소하;박수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20-326
    • /
    • 2013
  • 이전 연구에서 저자들은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의 항산화 및 세포 보호 효과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활성을 갖는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의 피부흡수를 증진시키고자 이를 함유한 나노에멀젼을 제조하고 물리적 특성 및 피부흡수능을 평가하였다. 고압유화기(microfluidizer)를 이용하여 제조한 나노에멀젼은 평균 입자 크기가 302 nm를 나타내었으며 포집 효율은 86% 이상으로 나타났다. 나노에멀젼은 단분산의 입도 분포를 나타내었고 고압유화과정을 거치지 않은 일반 에멀젼보다 2주간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하여 제조된 담쟁이덩굴 추출물 함유 나노에멀젼의 피부흡수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으로 사용된 1,3-butylene glycol 용액이 32.59%의 피부흡수율을 나타내었고, 나노에멀젼은 42.47%의 피부 흡수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의 화장품에 있어 천연 항균제로써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측정하였다. 항균활성 측정결과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은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화장품에 주로 사용되는 항균제인 methyl paraben 보다 높은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이 피부흡수능 증진을 통해 향후 화장품 제형으로서 이용가능성이 큼을 시사한다. 또한 담쟁이덩굴 줄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Gram (+)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바탕으로 이전 연구에서 밝혀진 항산화 활성 및 세포보호효과와 더불어 기능성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큼을 시사한다.

HL에 의한 프로비타민-$B_5$ 액정의 형성과 보습효과 (Formation of Provitamin-$B_5$ Liquid Crystal with Hydrogenated Lecithin and Its Effectiveness of Moisturizing Activity)

  • 김인영;조춘구;유희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1-109
    • /
    • 2003
  • Provitamin $B_5$ liquid crystal ($PVB_5$-LC) was the new emulsion system to enhance moisturizing activity on the skin. In this study, it should be mentioned that PVB5-LC could be prepared with the main compound of hydrogenated lecithin (HL) in oil-in water (O/W) emulsion. The key ingredient of humectants was contained 2% of provitamin $B_5$ ($PVB_5$) into the $PVB_5$-LC. The best suitable compositions of $PVB_5$-LC were made from 4.0 wt% of HL, 4.0 wt% of cetostearyl alcohol (CSA) as emulsifier and gelling agent, 3.0 wt% of 1,3-butylene glycol (1,3-BG) and 2.0 wt% of glycerin as moisturizers, 3.0 wt% of cyclomethicone (CMC), 3.0 wt% of isononanoate (ININ), 3.0 wt% of capric/caprylic triglyceride (CCTG), 3.0 wt% of macadamia nut oil (MNO) as emollients. As the analytical result of $PVB_5$-LC, it could know that the distribution range of particle size was 0.14 to 12.37 m level (mean size 3.24 m). It was certified the multi lamellar phase around the droplet of liquid crystal when observed the droplet particles through a polarization microscope. And it clinically was tested the effectiveness of moisturizing activity (in-vivo) compared with control sample (O/W emulsion). The effectiveness of moisturizing activity of $PVB_5$-LC with Skincon-200EX after 6 hours went up 49.0% (p<0.05, n=20) whereas the effectiveness of moisturizing activity of generally O/W emulsion cream was 25.7% (p<005, n=20). Also, in case of Comeometer CM-825, the moisturizing activity of $PVB_5$-LC after 6 hours rose 36.6% (p<0.05, n=20) whereas the effectiveness of moisturizing activity of generally O/W emulsion cream was 10.8%. Therefore, it was known that the effectiveness moisturizing activity of $PVB_5$-LC with HL was remarkably superior compared with O/W emulsion cream.

미녹시딜과 다이아미노피리미딘옥사이드 성분을 함유하는 니오좀 제형의 물성 및 피부투과 (Physical Properties and Skin Penetration of Niosome Formulations Containing Minoxidil and Diaminopyrimidine Oxide)

  • 김보경;김원형;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27-139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의약품 원료로 잘 알려진 minoxidil과 화장품 원료인 diaminopyrimidine oxide (DAO) 활성성분으로 사용하여 니오좀(niosome)의 물성평가와 더불어 인공피부에 대한 경피투과율을 비교하였다. 나노입자의 니오좀을 제조하기 위해 고압유화(high pressure homogenization)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제타사이저(zetasizer)로 물성평가를 진행하였다. 활성성분을 포함한 니오좀의 입자크기는 HLB에 따라 평균 99 ~ 123 nm, 제타전위(zeta potential)는 -60 ~ -81 mV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DSC (differential scanning colorimetry)를 통해 결정성 성분인 minoxidil이 니오좀 내에 무결정 상태로 균일하게 용해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경피투과량을 확인 및 비교하기 위해 in vitro Franz diffusion cell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니오좀 제형이 대조군인겔 제형보다 minoxidil의 경우 3.4배, DAO의 경우 11.1배 높은 투과율을 보였다. 또한 minoxidil과 DAO 니오좀의 경피투과 비교 시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상대적으로 DAO의 투과량이 많았다. HLB 값을 달리한 니오좀 제형을 Cryo-TEM을 이용하여 형상을 관찰하였으며, 모두 소포체가 형성되었으며 SUV (small unilamella vesicle)와 LUV (large unilamella vesicle)의 중간 형태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탈모에 효과적인 약물인 minoxidil과 화장품 원료인 DAO 성분을 니오좀 제형에 캡슐화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피부에의 전달을 기대할 수 있다.

조피볼락 사료의 어분 대체 단백원으로서 대두박 평가 (Evaluation of Soybean Meal as a Partial Substitute for Fish Meal in Formulated Diets for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이상민;전임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86-594
    • /
    • 1996
  • 조피볼락 사료의 어분 대체 단백원으로서 대두박의 이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북양어분을 주단백원으로 한 대조사료, 0.25mm로 분쇄한 대두박을 $5\%$ 간격으로 $20\%$까지 첨가한 사료, 대두박 $20\%$ 첨가 사료에 아미노산 (met+lys) 보충 사료, 0.5mm로 분쇄한 대두박 $20\%$ 첨가 사료 및 대두박 $10\%$에 콘글루텐 밀과 육골분을 각각 $10\%$ 혼합 첨가한 사료를 제조하여, 22.9g 전후의 조피볼락을 9주간 사육 실험하여 성장 효과, 체성분 조성 및 외견상 소화율을 조사하였다. 0.25mm로 분쇄한 대두박을 $20\%$까지 단독으로 첨가하여도 최종 평균체중, 증체율, 사료효율, 일일사료 섭취율 및 단백질축적율이 대조구와 유의차없이 (P<0.05) 좋은 결과를 보였고, 대두박 $20\%$ 첨가구에 methionine 및 lysine를 각각 $0.5\%$씩 보충한 실험구에서도 성장효과는 개선되지 않았다 대두박의 분쇄 입자에 따른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0.5mm로 분쇄한 대두박을 $20\%$ 첨가한 실험구는 사료효율, 일일사료섭취율 및 단백질축적율에서 0.25mm로 분쇄한 대두박 $20\%$ 첨가구와는 유의차가 없었지만 (P>0.05), 최종 평균체중 및 증체율은 대조구와 대두박 $5\%$ 첨가구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다 (P<0.05). 또한, 대두박 $10\%$+콘글루텐 밀 $10\%$+육골분 $10\%$ 첨가구도 최종 평균체중, 증체율, 사료효율, 일일사료섭취율 및 단백질축적율에서 대조구와 유의차가 없어 (P<0.05), 여러 가지 원료를 적절히 혼합 첨가하는 것이 대두박을 단독으로 첨가하는 것 보다 더 효율적으로 어분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