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cle Acceleration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4초

SED modelling of broadband emission in the pulsar wind nebula 3C 58

  • Kim, Seungjong;An, Hongjun
    • 천문학회보
    • /
    • 제44권2호
    • /
    • pp.55.1-55.1
    • /
    • 2019
  • We investigate broadband emission properties of the pulsar wind nebula (PWN) 3C 58 using a spectral energy distribution (SED) model. We attempt to match simultaneously the broadband SED and spatial variations and emission about 3C 58 in X-ray band. We further the model to explain a possible far-IR feature of which a hint is recently suggested in 3C 58: a small bump at ~10^11 GHz in the PLANCK and Herschel band. While external dust emission may easily explain the observed bump, it may be internal emission of PWNe implying an another additional population of particles. Although significance for the bump in 3C 58 is not higher than other PWNe, here we explore possible origins of the IR bump using the emission model and find that a population of electrons with GeV energies can explain the bump. If it is produced in the PWN, it may provide new insights into particle acceleration and flows in PWNe.

  • PDF

Electron Preacceleration at Weak Quasi- Perpendicular ICM Shocks: Effects of Shock Surface Rippling

  • Ha, Ji-Hoon;Kim, Sunjung;Ryu, Dongsu;Kang, Hyesung
    • 천문학회보
    • /
    • 제45권1호
    • /
    • pp.55.2-55.2
    • /
    • 2020
  • Radio relics in the outskirts of galaxy clusters are interpreted as synchrotron radiation due to the relativistic electrons produced via diffusive shock acceleration (DSA) in shocks with low sonic Mach numbers, Ms ≤ 3 in high beta ICM plasma. Electron injection into the DSA process at such weak shocks is one of the key elements, which has yet to be fully understood. In this study, we explore the nature of kinetic microinstabilities excited in weak quasi-perpendicular shocks through 2D particle-in-cell simulations. We find Alfven-ion cyclotron (AIC), whistler, and mirror instabilities can be triggered by ion and electron temperature anisotropy in the immediate downstream of supercritical shocks with Ms > Mcrit ~ 2.3. In particular, AIC instability causes rippling of the shock surface, which in turn generates plasma waves on multi-scales and faciliates the electron preacceleration. Our results may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origins of radio relics.

  • PDF

생분해성 폐기물 입경이 MBT시스템과 연계된 호기성안정화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odegradable Waste Particle Size on Aerobic Stabilization Reactions in MBT System)

  • 권상혁;반종섭;김수진;배재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523-529
    • /
    • 2011
  • 본 연구는 MBT시스템과 연계된 호기성안정화장치에서 입경 크기가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반응기내 생분해성 폐기물(음식물류 폐기물 60%, 종이류 폐기물 25%, 목재류 폐기물 2% 및 퇴비 5%)을 동일한 조성으로 충전하고, 각각의 입경을 5 mm, 10 mm, 20 mm, 50 mm, 100 mm 및 미선별 등으로 조절하여 충전한 후에 안정화 정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온도변화에서는 50 mm 이하의 입경에서 최고 온도가 $65^{\circ}C$ 이상을 보였으며, 100 mm와 미선별 반응기에서는 최고온도가 약 $50^{\circ}C$를 보였다. $CO_2$ 가스의 발생량은 입경의 크기에 따라 발생량이 비례하는 현상이 관찰되지 않고, 오히려 100 mm 이상에서 높은 발생량을 보였다. 반응과정중 습윤 및 건윤기준의 무게변화는 입경 크기가 가장 작은 5 mm에서 각각 30% 및 46%의 감소율을 보였으며, 입경이 클수록 감소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물용출 $COD_{Cr}$ 및 TOC는 입경 크기가 50 mm 이하인 반응기에서는 반응초기 대비 감소율이 약 80%로 나타난 반면 입경이 100 mm 및 미선별 반응기에서는 약 60%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생분해성 폐기물의 입경이 작을수록 유기물의 분해율이 높아져 생분해성 물질의 분해 안정화가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능한 50 mm 이하로 입경을 조절하여 반응시키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휘발유 연료용 함산소 첨가제 종류에 따른 성능 특성 연구 Part 1. 연료물성 및 증발가스 배출 특성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uel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oxygenated additive type for gasoline fuel Part 1. Fuel properties and evaporative emission characteristics)

  • 이민호;김종렬;김기호;하종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8-128
    • /
    • 2016
  • 대기오염에 관한 관심은 국내 외에서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자동차와 연료 연구자들은 청정(친환경 대체연료) 연료와 연료품질 향상 등을 이용하여 새로운 엔진 설계, 혁신적인 후 처리 시스템 등의 많은 접근을 통하여 차량 유해 배기가스를 감소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가솔린 자동차의 배출가스 및 가솔린 차량의 PM 입자 배출 등의 두 가지 이슈로 진행되고 있다. 자동차의 배출가스 및 PM(입자상 물질) 입자는 환경오염과 인체에 악영향을 주는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추가로, 함산소 첨가제로서 연료에 포함된 MTBE (Methyl Tertiary Butyl Ether)에 대한 환경 문제점을 연구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MTBE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높은 MTBE 용량에서 잠재적인 발암 물질 임을 결론짓고 있다. 함산소 연료첨가제 유형 (MTBE, 바이오 ETBE, 바이오 에탄올, 바이오 부탄올)에 기초하여, 본 논문은 가솔린 연료 물성 및 증발가스 배출 특성에 대해 산소함량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또한, 연료물성에 대한 휘발유 차량의 가속 및 출력 성능을 평가하였다.

단분산 가교 고분자 미립자의 무전해 니켈도금 연구 (Electroless Ni Plating of Monodisperse Polymer Particles)

  • 김동옥;손원일;진정희;오석헌
    • 폴리머
    • /
    • 제31권3호
    • /
    • pp.184-188
    • /
    • 2007
  • 산성 도금조에서 차인산나트륨을 환원제로 하는 무전해 도금법을 사용하여 직경 $4{\mu}m$의 PMMA(poly-methylmethacrylate)/HDDA(1,6-hexanedioldiacrylate) 단분산 가교 고분자 미립자에 니켈층을 코팅할 시 1) 전처리 조건변화, 2) 도금조 온도변화, 3) 도금조 pH 변화, 및 4) 초기 도금조 pH 조절 등에 따라서 도금속도, 도금면의 상태 및 도금 재현성을 관찰하였다. 무전해 도금에서의 전처리 과정은 모든 단계가 중요하였으나 특히 conditioning 및 acceleration 과정이 균일한 도금층을 형성하는데 중요하였고, 도금조 온도 및 pH의 상승에 따라서 도금속도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초기 도금조의 pH의 조절이 도금 재현성을 확보하는데 매우 중요하였다.

지반진동 규제기준에서 진동레벨과 진동속도의 상호관계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Vibration Level and Peak Particle Velocity in Regulation of Ground Vibration)

  • 최병희;류창하
    • 화약ㆍ발파
    • /
    • 제30권2호
    • /
    • pp.1-8
    • /
    • 2012
  • 국내에서 발파풍과 지반진동을 취급하는 유일한 법규가 바로 환경부의 소음진동관리법이다. 하지만 이 법규는 생활소음과 생활진동을 주로 취급하고 있으므로 지반진동에 대한 안전기준을 dB(V) 단위의 진동레벨에 의해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발파로 발생되는 지반진동은 충격진동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그 지속시간도 기계류나 장비류, 시설물 등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비교하여 매우 짧은 특성이 있다. 그러므로 발파작업에 대한 진동법규에서는 통상 구조물 손상에 대한 지반진동의 영향을 고려하여 안전기준을 최대입자속도(peak particle velocity; PPV)로 설정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동파동의 주파수 스펙트럼에 대한 충분한 고려도 없이 PPV로부터 진동레벨(vibration level; VL)을 예측하거나 $m/kg^{1/2}$이나 $m/kg^{1/3}$ 단위의 환산거리에 따라 VL을 추정하려는 시도들이 있다. 이 시도들은 주로 발파공사 과정에서 소음진동관리법을 충족시키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전체 주파수 스펙트럼 상에서는 속도나 가속도 피크치 사이에는 아무런 상관관계도 존재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상관관계나 추정식의 유도작업은 반드시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지니는 파동들에 한해서 수행되어야 한다.

SiCp/6061Al합금복합재료의 시효거동 (Age-Hardening Behavior of SiCp Reinforced 6061 Aluminum Alloy Composites)

  • 안행근;유정희;김석원;우기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0권12호
    • /
    • pp.793-798
    • /
    • 2000
  • 석출경화형 6061Al기지합금과 SiC입자크기를 0.7$\mu\textrm{m}$ 및 7.0$\mu\textrm{m}$로 변화시켜 강화한 SiCp/6061Al 합금복합재료의 시효 거동을 경도측정, DSC 시험 및 TEM관찰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17$0^{\circ}C$에서 등온시효시 6061Al기지합금에 비하여 복합화한 0.7$\mu\textrm{m}$SiCp/6061Al합금복합재료 및 7.0$\mu\textrm{m}$SiCP/6061Al합금복합재료에서 최고경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았으며, 또한 강화재의 크기가 큰 7.0$\mu\textrm{m}$SiCp/6061Al합금복합재료에서 시효촉진이 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것은 복합화 및 SiC입자크기 증가에 따른 전위 밀도 상승에 기인한다. 6061Al기지합금 및 복합재료에서 최고시효처리시의 주강화상은 봉상의 중간상 $\beta$(Mg$_2$Si)이며,$\beta$상 생성의 활성화에너지는 복합화 및 SiG입자크기의 증가에 따라 감소되었다

  • PDF

수치해석적 기법을 활용한 골재 도로의 콜루게이션 발생 및 진전 분석 (Numerical Analysis of the Initiation and Development of Corrugation on a Gravel Road)

  • 윤태영;정태일;신휴성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9-18
    • /
    • 2018
  • PURPOSES : In this research, the initiation and development of corrugation on a gravel road with certain wheel and boundary conditions were evaluated using a coupled discrete-element method (DEM) with multibody dynamics (MBD). METHODS : In this study, 665,534 particles with a 4-mm diameter were generated and compacted to build a circular roadbed track, with a depth and width of 42 mm and 50 mm, respectively. A single wheel with a 100-mm diameter, 40-mm width, and 0.157-kg mass was considered for the track. The single wheel was set to run slowly on the track with a speed of 2.5 rad/s so that the corrugation was gradually initiated and developed without losing contact between the wheel and the roadbed. Then, the shape of the track surface was monitored, and the movement of the particles in the roadbed was tracked at certain wheel-pass numbers to evaluate the overall corrugation initiation and development mechanism. RESULTS : Two types of corrugation, long wave-length and short wave-length, were observed in the circular track. It seems that the long wave-length corrugation was developed by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surface particles in the entire track, while the short wave-length corrugation was developed by shear deformation in a local section. Properties such as particle coefficients, track bulk density, and wheel mas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itiation and development of long-wave corrugation. CONCLUSIONS : It was concluded that the coupled numerical method applied in this research could be effectively used to simulate the corrugation of a gravel road and to understand the mechanism that initiates and develops corrugation. To derive a comprehensive conclusion for the corrugation development under various conditions, the driver's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with various particle gradations and wheel-configuration model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imulation.

변동진폭하중 하에서 균열성장 예측의 실험적 검증 (Experimental Validation of Crack Growth Prognosis under Variable Amplitude Loads)

  • 임상혁;안다운;임체규;황웅기;최주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267-27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모드 I의 변동진폭하중 하에서 평판의 두께관통 균열성장을 예측하고 예측결과를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균열성장 모델을 위해 과하중으로 인한 균열가속과 지연효과를 고려하는 Huang의 모델식을 이용하였다. 실험적 검증을 위해 Al6016-T6 평판 균열을 제작하여 변동하중을 부여하고 균열길이를 일정 주기로 육안 측정하였다. 측정데이터로부터 모델 변수를 추정하기 위해 베이지안 접근법에 기반한 파티클 필터 방법을 이용하였고, 이를 통해 위험크기까지의 미래 거동 및 잔존수명을 확률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이를 실제 실험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변동하중에 의한 균열지연이 잘 예측됨을 확인하였고, 측정 데이터가 증가할수록 예측된 중앙값(median)이 실제와 점점 더 일치하였다.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Propofol-loaded Polymeric Micellar System: Nanoparticular Stability

  • Cho, Jae-Pyoung;Cho, Jin-Cheol;Oh, Eui-Chaul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8권6호
    • /
    • pp.393-398
    • /
    • 2008
  • A propofol delivery system was prepared using two biocompatible polymeric surfactants, poloxamer 407 and PEG 400. The nanoparticular stability of the micellar system was evaluated in terms of temperature change, storage time and composition. The particle size of the system was slightly increased with elevating temperature from $4^{\circ}C$ to $25^{\circ}C$, but its distribution was unimodal. At $40^{\circ}C$, the system presented a bimodal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the increase in the fraction of particles larger than 15 nm. This result might be due to the expansion of the nanoparticles through micellar swelling at the high temperature. It was found that propofol was gradually come out of the system, stored for a month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s (4, 25 and $40^{\circ}C$). The drug loss was apparently dependent on temperature and the system composition. Increasing temperature induced the acceleration of the drug loss of $7{\sim}10%$ at $4^{\circ}C$ and $14{\sim}16 %$ at $40^{\circ}C$. This may be owing to the high diffusivity resulting from the swelling of the hydrophilic surface of the nanoparticle at high temperature. However, the addition of PEG 400 to the system led to the reduction of the drug loss. This result is associated with the previous investigation that PEG coverage decreased diffusion coefficient because of the formation of the denser structure on the surface of nanoparticulate. Nevertheless, the limited amount of PEG, less than 2% (w/v), should be used to prevent the precipitation and discoloration of th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