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cipating intention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4초

농촌지역개발사업 참여주민의 사회적 자본 인식유형 연구 -Woolcock의 사회적 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ypes of Social Capital Perception of Residents Participating in Rural Area Development Projects -Focused on Woolcock's Social Capital Theory-)

  • 전미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9권1호
    • /
    • pp.1-18
    • /
    • 2022
  • The government is in the process of pursuing various resident-driven rural development projects for rural development. Accordingly, the government is promoting various software projects to enhance social capital in order to effectively involve residents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However, residents' participation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is still passive, while passive residents' involvement creates various problems such as conflicts among residents in the process of project implementation and poor operation after project implementat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be a basis for inducing voluntary community participation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by disclosing the intention of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ty's internal solidarity with social capital and connection with external communit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195 rural residents, three group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ocial capital awareness. While individualist groups with low integration and social capital were 25.1%, they were more integrated, but the average family-oriented group was 42.5%, and social-development groups with high integration and linked social capital were 32.3%.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at the social capital of the resident commun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both the internal solidarity (integrity) and the external community connection (connectivity) in the rural area development project.

Moderating Effects of Mindset Typ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and Perceived Quality in VR Contexts

  • KIM, Juran;BAE, Joonheui;KANG, Seungmook
    • 산경연구논집
    • /
    • 제13권11호
    • /
    • pp.21-30
    • /
    • 2022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set types on experience and perceived quality in virtual reality (VR) contexts and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mindset types, experience, perceived quality, attitude, and purchas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Using a survey, a total of 250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South Korea. Participants were asked whether they have been VR users who had experienced VR before participating in the survey. We used the partial least squares method to test the hypotheses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experience, including spatial, reality, and sensory experiences, has positive effects on perceived quality. Additionally, the mindse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and perceived quality such that consumers with experience are more likely to have greater perceived quality when they have a growth mindset compared to those with a fixed mindset. The VR context's perceived quality exerts positive effects on attitude toward the VR context, while attitude has positive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e consumer's mindset might work as an essential moderating factor that influe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and perceived quality. Our findings can help marketers plan promotion strategies more effectively and cater to the different objectives of their contexts.

Antecedents of Consumer Participation in Sharing Economy at Distribution Markets

  • CAI, Yunwei;CHOI, Nak-Hwan
    • 유통과학연구
    • /
    • 제20권9호
    • /
    • pp.127-139
    • /
    • 2022
  • Purpose: As sharing economy is becoming increasingly relevant to people's lives, we want to understand why people participate in the sharing economy. We propose and validate three factors that are likely to influence consumers' choice of participating in the sharing economy at distribution market. Also, we found antecedents that affect these variables. These antecedents include appointment and return convenient, extended operating time, variety-seeking need, usage irregularity, other's clean usage, and feeling of membership between use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research collected 341 questionnaire data from participants in China. These participants were asked about the usage of DiDi, the most popular shareware in China. The data analysis and hypothesis testing were conducted using SPSS and Amos. Results: Usage convenience, usefulness of short-term usage, and trust in other use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consumer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sharing economy. In addition, we found that all the antecedents affect these variables positively. Conclusions: This research provides new driving factors for consumer participation in the sharing economy. Moreover, these findings will help managers develop marketing strategies for inducing the consumers to participate in the sharing economy.

오픈 소스 개발자들의 참여 의도 강화 기제 및 참여 지속 의도에 관한 연구: 사회 정체성 이론과 조직시민행동 이론에 기반하여 (The Reinforcing Mechanism of Sustaining Participations in Open Source Software Developers: Based on Social Identity Theor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ory)

  • 최정홍;최주희;이혜선;황보환;이인성;김진우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3권3호
    • /
    • pp.1-23
    • /
    • 2013
  • Open Source Software Development (OSSD) differentiates itself from traditional closed software development in that it reveals its source codes online and allows anyone to participate in projects. Even though its success was in doubt, many of the open collaborative working models produced successful results. Academia started to get interested in how developers are willing to participate even when there are no extrinsic rewards for their efforts. Many studies tried to explain developers' motivations, and the pursuit of ideology, reputation, and altruism are found to be the answers. Those studies, however, focused mostly on how the first contribution is made out of a certain motivation. Nowadays, OSSD reaches at its maturity and 70% of professional developers have used or utilized open source software or code in their works. As the proportion of people experiencing OSS, the accounts from previous studies are expected to be weakened. Also, extant literature fails to explain how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ng in OSS evolves over time and experiences. Given that changing over time or over experiences is the natural in the perception of motivation, studies in an attempt to understand how the motivation changes or evolves are in need. In this study, we aimed to explain how the perception about OSS from past usage or related experiences leads to the intention to sustain OSS participations. By doing so, we try to bridge the gap between previous studies and the actual phenomenon. We argued that perceived instrumentality about OSS learned from past experiences will first affect the formation of organizational identity towards general OSS community. And once the organizational identity is formed, it will affect the one's following behaviors related to OSS development, most likely to sustain the favoring stance toward OSS community. Our research distinguishes itself from previous one in that it divides the paths from organizational identity formed to the intention to sustain the voluntary helping behaviors, by altruistic and conforming intentions. Drawing on this structural model, we could explain how organizational identity engages in forming the sustaining intention from past experiences, and that the intention to help at individual level and organizational level works at different level in OSS community. We grounded our arguments on Social identity theor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theory. We examined our assumption by construct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d had 88 developers to answer our online surveys. The result is analyzed by PLS (partial least square) method. Consequently, all paths but one in our model are supported, the one which assumed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instrumentality and altruistic intention. Our results provide directions in designing online collaborative platforms where open access collaboration is meant to occur. Theoretically, our study suggests tha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an occur from organizational identity, even in bottom-up organizational settings. More specifically, we also argue to consider both organizational level and individual level of motivation in inducing sustained participations within the platforms. Our result can be interpreted to indicate the importance of forming organizational identity in sustaining the participatory behaviors. It is because there was no direct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instrumentality from past experiences and altruistic behavior, but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identity bridges the two constructs. This means that people with no organizational identity can sustain their participations through conforming intention from only the perception of instrumentality, but it needs little more than that for the people to feel the intention to directly help someone in the community-first to form the self-identity as a member of the given community.

대학생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신입생 Orientation 기업가정신 교육을 중심으로 (University Students' Starts-up Intention and Its Antecedents: Focusing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Freshman Orientation)

  • 유점석;서창수;유연호;김영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5호
    • /
    • pp.91-104
    • /
    • 2016
  • 본 연구는 창업교육이 대학생들의 창업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상황에 맞는 역할을 할 줄 아는 유연하고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SCH대학교에서 신입생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가정신 교육을 받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SPSS와 SmartPls 2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성취욕구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습몰입과 기업가정신이 학생들이 창업교육을 받음으로써 미래의 삶과 자신의 목표를 위하여 달성 가능한 목표를 세우고, 예측가능 하지 않은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제시해주고 있다. 둘째, 창의성은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기업가정신은 창업교육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창의성이 높을수록, 학습몰입보다는 기업가정신이 더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학습몰입은 기업가정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창업의도에는 직접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나, 기업가정신은 창업의도는 창업교육으로 인하여 학습몰입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기업가정신이 높아지고, 그 결과 창업의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은 표본이 SCH대학교의 1학년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연구되었다. 향후 창업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모든 대학교의 참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비교분석할 필요가 있다.

  • PDF

흡연 청소년의 암 예방행위 관련요인 (일개지역 금연학교 참여자를 대상으로) (The related factors of adolescent smoker's cancer preventive behaviors)

  • 조은주;김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287-5295
    • /
    • 2015
  • 본 연구는 흡연청소년의 암 예방행위와 관련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B광역시소재 W병원에서 운영하는 금연학교에 참석 중인 흡연 청소년 200명으로,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9월 1일부터 2013년 3월 31까지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암 예방행위 정도는 학년, 종교, 유익성, 장애성, 건강상태, 일상생활, 음주, 운동, 니코틴의존도, 흡연시작 나이, 흡연기간 및 금연의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암 예방행위 정도는 암에 대한 지식(r=-.166, p<.05)과 미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태도(r=.212, p<.01)와는 미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암 예방행위를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는 일상생활, 장애성, 학년, 운동, 유익성, 암에 대한 지식, 금연의도의 순이었고, 전체 설명력은 30.6%였으며, 일상생활(${\beta}=25.8$)이 가장 설명력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흡연청소년들의 암 예방행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상생활과 학교생활에서 흡연을 대체할 수 있는 건전한 취미와 운동 등을 보급하고 암 예방행위의 유익성을 강조하고 장애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보건교육과 학년과 금연의도 등의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암 예방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개인의 네트워크 위치가 지식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Exploring Impact of Individual Network Position toward Knowledge Sharing Intention)

  • 배순한;백승익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9-5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세 개의 중심성 변수(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그리고 매개중심성)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내에서의 개별 구성원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가 개별 구성원들의 팀 내 외 지식공유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팀 내 지식공유 의도에 있어서 연결중심성과 근접중심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매개중심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팀 외 지식공유에 있어서는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근접중심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결중심성이 높은 구성원들은 네트워크 내의 허브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은 그 위치를 유지하고자 팀 내 뿐만 아니라 팀 외 지식공유에도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접중심성이 높은 구성원들은 네트워크 내의 다른 구성원들과 폭넓은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팀 외 지식공유보다는 팀 내 지식공유에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는 것으로 입증되었고, 매개중심성이 높은 구성원들은 네트워크 내보다는 네트워크 외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팀 외 지식공유에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네트워크 내에서의 관계를 통하여 자연적으로 형성되어진 위치는 개별 구성원들의 지식공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한려해상국립공원 탐방객의 여행경로에 따른 탐방특성 및 만족도 분석 (Analysis on Visiting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ravel Routes of the Hallyeohaesang National Park's Visitors)

  • 심규원;장진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3-33
    • /
    • 2018
  • 본 연구는 한려해상국립공원 탐방객을 대상으로 여행경로에 따른 탐방특성 및 만족도 분석을 통해 국립공원 탐방관리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한려해상국립공원을 방문한 탐방객 총 671명이고, 현장조사 기간은 2017년 3월부터 11월까지 계절별로 봄, 여름, 가을 3차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주요내용은 탐방특성(방문동기, 여행경로, 탐방 소요시간, 참여활동 등)과 만족도(탐방 만족도, 재방문의향, 추천의향) 등이며, 한려해상국립공원 탐방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한려해상국립공원만 방문하는 단일목적지의 탐방객이 한려해상국립공원 이외에 다른 여행 목적지가 있는 다목적지의 탐방객보다 방문동기 중 건강증진, 휴양 휴식 치유를 위한 동기 항목에서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거주지에서 국립공원까지 오는데 소요된 시간은 단일목적지 방문객이 다목적지 방문객 보다 소요시간이 적게 나타났다. 한려해상국립공원만을 방문한 단일목적지 탐방객의 탐방 후 만족도 평균값은 다목적지의 탐방객보다 통계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재방문의향 및 추천 의향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려해상국립공원 탐방객의 특성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공원관리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한 대학생의 HPV예방교육 효과 (Effect of HPV Prevention Education on College Students Based on Planned Behavior Theory)

  • 이선영;이혜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722-173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한 HPV 예방교육이 대학생의 HPV 백신지식, 자궁경부암 지식, HPV 백신접종에 대한 태도, HPV 백신접종에 대한 주관적 규범, HPV백신접종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 HPV 백신접종에 대한 의도, HPV 예방백신 접종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대상자는 실험군 32명, 대조군 34명으로 임의표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χ2-test, Fisher's exact test와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HPV 예방교육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HPV 백신지식(t=5.66, p<.001), 자궁경부암 지식(t=4.13, p<.001), 태도(t=2.24, p=.032), 주관적 규범(t=2.83, p=.008), 지각된 행위통제(t=2.65, p=.013), 의도(t=3.91, p<.001)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HPV 예방교육 중재 4주 후 HPV 백신접종 의도는 집단과 시간의 경과 간의 교호작용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6.95, p=.002). 따라서 HPV 예방교육은 대학생에게 실제 적용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다.

봉사학습 기반의 대학 피부미용 교양수업이 삶의 질,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eneral Eduction Class on Skin Care Based on Service Learning on Quality of Life and Self-Efficacy)

  • 박정연;심현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479-485
    • /
    • 2019
  • 본 연구는 봉사학습 기반의 피부미용 교양수업 운영에 대한 학습 효과를 분석하여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 교양교육의 목적과 가치에 대해 성찰하여 뷰티봉사학습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그 결과 연구대상으로 최종 선정된 30명 중 여학생이 24명(80.0%)이었고, 학년은 3학년 학생이 16명(53.3%)으로 가장 많았다. 전공은 인문사회계열 12명(40.0%), 종교는 21명(70.0%)이 무교로 각각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봉사학습이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의 사전- 사후 변화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봉사학습이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봉사학습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4.12점으로 대체적으로 봉사학습에 대해 만족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봉사학습 지속 의도는 평균 3.99점으로 나타나 지속적인 봉사학습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성별, 학년, 전공, 종교 등의 특성에 따라 봉사학습의 만족도 및 지속의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 봉사학습 기반의 피부미용 교양교육은 학습자들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학습자들이 대학교육을 통해 공동체 의식 함양과 사회적 자아로서의 책임감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