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al Pneumonectomy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1초

일측 폐절제술후 폐기능의 추적관 (Follow up study of pulmonary function after pneumonectomy)

  • 박재길;김세화;이홍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6권4호
    • /
    • pp.539-546
    • /
    • 1983
  • Maximal expiratory flow-volume [MEFV] curves were studied in 22 patients who underwent pneumonectomy with various pulmonary lesions, such as lung cancer, bronchiectasis and tuberculosis etc, at the preoperative stage and 3 week, 4 month and 12 month after pneumonectomy for the analysis of the reduction and progressive improvement of postoperative ventilatory function.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m like as age difference and the site of pneumonectomy were also analyzed. From these curves peak flow rate [PF R], maximal expiratory flows at 25% and 50% of expired forced vital capacity [V25, V50] and forced vital capacity [FVC] were obtained. In addition, partial pressure of oxygen and carbon dioxide in arterial blood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ixed type, especially obstructive type of ventilatory impairment was observed at 3 week after operation. For 1 year of postpneumonectomy FVC was increased by 12.3% of predicted compared to 2.6% of predicted V50. 2. The improvement of FVC during 1 year of postpneumonectomy showed decreasing tendency with the increase of age but the changes of V25 and V50 were unremarkable. 3. The differences of immediate postoperative reduction and progressive improvement of ventilatory capacity after right and left pneumonectomy were analyzed. The reduction of V50, V25 and FVC at 3 week of postoperation were greater in patients with right pneumonectomy [20.9%, 18.2% and 26.2% of predicted] than in patients with left pneumonectomy 16.5%, 18.2% and 18.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se values at 12 month after pneumonectomy. 4. The partial pressure of oxygen in arterial blood [$PaO_2$] was decreased by 13.6 mmHg at 3 week after pneumonectomy compared to the preoperative stage but returned to the normal range within 4 month after pneumonectomy. However, TEX>$PaCO_2$ was within the normal range during 1 year of postoperation.

  • PDF

전폐절제술후 27년 6개월에 발생한 농흉 치험 -1례 보고- (Postpneumonectomy Empyema That Occurred 27 1/2 Years After Initial Pneumonectomy -A Case Report-)

  • 이광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5호
    • /
    • pp.504-506
    • /
    • 1995
  • Postpneumonectomy empyema is an infrequent but dreaded complication. The seriousness of this complication is impossible to eliminate the space containing the infection, and consequently, it is difficult to sterilize the space. The time from pneumonectomy to the development of an empyema ranges from several days to several years, with most evident with 4 weeks. We experienced a case of postpneumonectomy empyema that occurred 27 1/2 years after initial pneumonectomy. She was treated with intrapleural antiseptic irrigation and open-tube drainage following partial decortication. The patient had an uneventful recovery and was discharged from hospital with improved condition.

  • PDF

원발성 폐동맥 육종 (Primary Pulmonary Artery Sarcoma A Case Report -A Case Report-)

  • 김성완;구본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0호
    • /
    • pp.1036-1039
    • /
    • 1997
  • 원발성 폐동맥 육종은 드물며, 흔히 폐동맥 색전증으로 오진하기 쉽다. 예후는 매우 좋지않아서 치료하지 않았을 때의 생존율이 약 1.5개월이며,수술후에도 생존율을 일년정도까지 연장할 수있다. 본 교실에서는 원발성 폐동맥 육종을 1례 치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55세 여자로 주증상은 호흡곤란, 우측흉통, 및 객혈이었다. 술전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상 폐동맥 색전증과 유사한 종괴음영을 나타내었다. 수술은 부분 체외순환하에 폐동맥 성형술과 우측전폐 절제술이 시행되었다. 술후 조직학적 진단은 미분화 육종이었고, 증상은 다소 호전되었으나 술후 3개월에 원인 미상으로 사망하였다.

  • PDF

폐암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Primary Lung Cancercancer)

  • 김공수;구자홍;김수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4권4호
    • /
    • pp.324-330
    • /
    • 1981
  • This is a clinical evaluation of 43 primary lung cancer partients who were admitted at Chest Surgery department of Jeonbu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75 to June 1980.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13: 1 and the age at the time of diagnosis is peak during fourth and fifth decade. The major symptoms were cough, chest pain or discomfort, bloody sputum, and dyspnea. Histological diagnosis was squamous cell carcinoma in 30%, undifferentiate cell carcinoma in 23%, adenocarcinoma in 7%, alveolar cell carcinoma in 9% and undetermined histologic type in 30%. The most frequently involved lobe of primary lung cancer was both upper lobe bronchus and the next was stem bronchus. Only six among the 43 cases who had sputum cytology were positive for malignant cell and eleven among the 16 cases who had bronch oscopy perform were histologically malignancy. Among 43 cases, 15 cases were inoperable, 5 cases refused to operation and the operation was per. formed in 23 cases. Seventeen of the 23 cases with operation had resection, 6 with pneumonectomy, 9 with lobectomy and 2 with partial resection, and the others were unresectable.

  • PDF

면역저하가 없는 환자에서 선천성 심장수술 후 발생한 폐 아스페르길루스증: 증례 보고 (Invasive Pulmonary Aspergillosis in a Immunocompetent Patient after Congenital Heart Disease Surgery: A Case Report)

  • 지소현;유승진;박은아;송승근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6호
    • /
    • pp.1529-1536
    • /
    • 2020
  • 침습성 폐 아스페르길루스증은 주로 면역저하 환자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드물게 면역저하가 없는 환자에서도 발생한다. 면역저하가 없는 환자에서 발병하는 경우, 초기에 진균에 의한 폐 감염을 의심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진단 및 치료가 늦어지고 나쁜 예후를 보일 수 있다. 저자들은 면역저하가 없는 29세 남성 환자에서 선천성 심장질환 수술 후 발생한 침습성 폐 아스페르길루스증의 사례가 있어 시간 경과에 따른 CT 소견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수술 후 기관지늑막루: Bronchial Occluder Device의 치료 효과 (Bronchopleural Fistula after Surgery: Therapeutic Efficacy of Bronchial Occluders)

  • 한영민;이흥범;진공용;김건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2호
    • /
    • pp.371-381
    • /
    • 2021
  • 목적 수술 후 발생하는 기관지늑막루에 대한 bronchial occluder device (이하 BOD)의 유용성 및 효과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9년도부터 2019년까지 폐암 및 폐결핵으로 수술 후 발생한 7명의 기관지늑막루 환자들 중에 BOD 치료를 실시한 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폐암 환자가 5명, 폐결핵 환자는 1명이었다. 남자가 5명, 여자가 1명이었으며 59세에서 74세(평균: 69세)이었다. 진단은 전산화단층기관지 촬영과 기관지내시경으로 실시하였다. 시술은 진단 후 1주에서 2주 사이에 실시하였다. 치료에 사용된 BOD의 기술적 성공 및 임상적 성공을 평가하였다. 시술 후 임상적 치료 효과와 생존 기간 및 부가적인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총 6명 환자 모두에서 시술을 성공적으로 실시하였다. 임상성공 5명에서 있었고, 1명에서는 임상부분성공이 있었다. 임상실패한 경우는 없었다. 기구의 이동이나 천공의 합병증은 없었다. 2명은 전산화단층기관지 촬영으로, 4명은 기관지내시경으로 기관지늑막루를 진단하였다. 수술은 폐엽절제술(lobectomy) 2명, 폐이엽절제술(bilobectomy) 2명, 그리고 전폐절제술(pneumonectomy) 2명이었다. 수술 후 진단까지 걸린 시간은 1개월에서 34개월(평균: 10개월)이었다. 4명(59~103일: 평균 80.5일)은 사망하였고 2명(313일, 3331일)은 생존하였다. 사망 원인이 2명은 기저질환의 악화, 1명은 폐부종 및 흉수, 1명은 폐렴이었다. 한 명에서 부가적인 카테타 배액술, 2명에서 흉관 삽입을 유지하였다. 결론 폐절제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기관지늑막루 치료에 있어서 BOD는 유용하고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다.

전이성 폐암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Metastatic Lung Cancer)

  • 조성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9호
    • /
    • pp.948-954
    • /
    • 1992
  • In spite of recent progress in anticancer chemotherapy,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metastases to the lung treated nonsurgically has been extremely poor. So we adopted more aggressive surgical approache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pulmonary metastases since 1985. We experienced 22 operations of metastatic lung cancer in 19 patients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in Kosin Medical College since 1985, so we reviewed the results of treatment retrospectiv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imary organs of metastatic lung cancer were 4 cases in each of the breast, uterus, and extremities, 3 cases in the rectum, 2 cases in the kidney, 1 case in each of the pelvis and liver, and the pathological findings were 13 cases in carcinoma and 6 cases in sarcoma. 2. The treatments for primary lesions were 15 cases of the operations with anticancer chemotherapy or radiation therapy, 2 cases of choriocarcinoma with anticancer chemotherapy only, 1 cases of uterine cervical carcinoma with chemo-radiation therapy, and 1 case of pelvic synovia sarcoma with intra-arterial anticancer chemotherapy. 3. Disease free intrerval were as follows: 7 cases were in 2 years to 4 years, 4 cases were in 1 year to 2 years, and 5 cases were beyond one year, of them one case was discovered primary lesion and metastatic lung tumor concomittently. 3 cases were above 4 years, of them one case of breast cancer were above 13 years especially. 4. The sites of metastatic lung cancer was 15 lesions in the right lung, and 9 lesions in the left lung, And the lobar sites were 10 lesions in the upper lobe, 2 lesions in the middle lobe, and 12 lesions in the lower lobe. 5. The operative methods of metastatic lung cancer were 7 case of partial resection of lung, 12 cases of pulmonary lobectomy, 1 case of pneumonectomy and 1 case of dissection of mediastinal lymph node. 6.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1 case of mild respiratory insufficency, 1 cases of pyothorax, and 1 case of urethral stricture. 7.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were as follows: No adjuvant therapy were 4 cases, anti-cancer chemotherapy were 8 cases, radiation therapy was 1 case, and combined with chemo k radiation therapy were 8 cases. 8. The results of long term follow-up were as follows: The 5 patients were died at 2 months, 22 months, 24 months, 32 months, and 49 months postoperatively, so mean survival period was 32 months postoperatively excluding one patient who was died at 2 months postoperatively. And 14 patients are aliving, of them 3 patients are living in recurred state, and the other 11 patients are living without any evidence of recurrence.

  • PDF

악성간엽종의 외과적 치료 -1례보고- (Surgical Management of Malignant Mesenchymoma of the Lung in an Adult -A Case Report-)

  • 양수호;전양빈;전순호;김혁;정원상;최요원;전석철;전석훈;박문향;지행옥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2호
    • /
    • pp.186-189
    • /
    • 1998
  • 악성 간엽종은 유아와 태생기에서 매우 드문 종양이다. 악성간엽종은 성인에서 극히 드물고 섬유조직이외의 둘 또는 그 이상의 간엽성분으로 구성된 종양으로 결체조직의 어떤 형태로도 분화할 가능성이 있는 태생기 간엽에서 기원한다고 생각된다. 환자는 61세 남자로 2개월 전 가래를 동반한 기침을 주소로 검사를 받던 중 우폐상부에 매우 큰 종괴를 보이는 암종으로 입원하였다. 환자는 우폐상부 미세침윤조직검사상 편평상피세포암 의심하에 우전폐절제술을 받았다. 수술장 소견상 종괴는 흉벽과 심하게 유착되었으며 우폐하부까지 침습된 소견을 보이는 악성간엽종으로 진단되었다. 환자는 수술후 5,000rad의 방사선 조사를 받고 수술후 6개월째인 현재까지 재발징후없이 경과 관찰중이다.

  • PDF

폐결핵의 외과적 치료 (Clinical Study of Pulmonary Resection for Tuberculosis(V))

  • 김우식;배윤숙;정성철;정승혁;유환국;이정호;김병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1호
    • /
    • pp.799-806
    • /
    • 2002
  • 화학요법이 확립되고 유병율이 점진적인 감소에도 불구하고 폐결핵은 여전히 수술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저자등은 폐결핵으로 수술을 시행한 예들을 분석, 검토함으로써 향후 폐결핵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법 : 국립의료원 흥부외과에서 1991년1월부터 2000년12월까지 10년간 폐절제술을 시행한 144례를 토대로 본과에서 기왕에 발표된 4보까지와 비교관찰하여 폐결핵의 외과적 치료에 대한 최근 경향 및 그 결과를 검토,분석하였다. 방법으로 연간수술빈도 및 연령분포, 술전 결핵병소범위, 객담도말검사, 수술적응 및 술식의 종류, 합병증, 술후 추적관찰 결과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 연간 수술빈도는 감소추세를 보였으며, 남녀성 비는 2:1로 남자환자가 많았고, 20대 이하의 감소와 50대 이상이 현저히 증가함으로써 연령의 고령화 현상을 볼 수 있다. 수술 전 병변의 범위는 대부분 중증 및 중등도에 속하였으며, 술전 항결핵제를 사용한 기간을 보면 3년 이상의 예가 16.0%에서 55.6%로 현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술전 결핵균에 대한 객담도말검사 양성율은 91%에서 27%로 급격한 감소 현상을 보였다. 수술적응에 있어서는 전폐파괴 및 폐부분파괴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폐실질 병소를 동반한 농흉이 4.0%에서 20.1%로 유의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술식의 종류에 있어서 편측 폐절제술 및 폐엽 절제술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술후 합병증으로는 농흉의 증가와 잔여 결핵 병소의 재발의 증가가 특징적으로 관찰되었다. 술후 추적관찰결과 완치율이 70% 이상을 나타내는 가운데 지속적으로 항결핵제 치료를 받고 있는 예가 5.8%에서 18.0%로 점진적 증가추세임을 나타냈다. 절론 : 최근 추세를 보면 화학치료에 내성을 보이는 환자가 증가하고, 늑막결핵의 증가와 중증의 병변환자의 증가가 특징적으로, 내과적 요법만으로 치유하기 어려운 병소를 정확히 판단하고 다제 내성균이 발생하기 전에 적극적으로 외과적 요법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