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k Evaluation

검색결과 16,330건 처리시간 0.049초

Evaluation of Disintergration Test of Soft Capsules

  • Choi, M.S.;Jang, S.J.;Kang, C.S.;Park, B.K.;Park, S.H.;Park, S.A.;Kang, M.H.;Hong, J.H.;Kim, K.S.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1년도 Proceedings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 /
    • pp.237.2-238
    • /
    • 2001
  • PDF

공원 및 공원시설 BF인증 평가지표 분석을 통한 개선방향 도출 연구 (Study on Deriving Improvements through Analysis of BF Certification Evaluation Indicators for Parks and Park Facilities)

  • 김미혜;구본학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13-29
    • /
    • 2022
  • 장애인등편의법 개정에 따라 2021년 12월 4일 이후 최초 공원조성계획이 수립되는 공원 및 공원시설은 의무 대상이며, 공원은 장애인 등을 위한 편의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원 인증 평가지표와 공원시설의 건축물 인증 평가지표 및 인증 현황 사례의 평가서를 비교 분석하여 공원 인증 평가지표의 개선 방향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 첫째, 공원과 공원시설의 인증 대상에 대해 공원녹지법과 비교 고찰하였으며, 인증 과정상 차이점, 인증 실적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둘째, 공원과 건축물 BF인증 평가지표를 분석하여 차이점 및 공통항목을 도출하였다. 셋째, BF인증 공원 4개소와 인증 공원 내 공원시설의 건축물 인증 사례 4개소를 대상으로 자체평가서, 심사 결과를 중심으로 차이점, 문제점 등을 분석한 후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공원과 건축물 평가지표를 분석한 결과 평가목적, 평가 방법, 평가항목이 공통으로 적용되는 항목은 매개시설의 접근로 7개,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5개, 안내시설의 안내설비 2개, 위생시설의 5개 범주의 14개, 기타 설비 1개로 분석되었다. 위생시설 항목은 공원으로 평가된 사례가 없고 부설 화장실이 아닌 경우 건축물로 인증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공원과 공원시설의 건축물 배점 점수가 자체평가보다 심사 결과 시 하락하였으며, 건축물은 3개소에서 인증 등급이 하락하였다. 표준편차가 가장 큰 항목은 공원은 BF보행 연속성, 건축물은 접근로 중 주 출입구까지의 경로 항목이었다. 위생시설을 제외하고 공통적인 평가항목 19개를 공원과 건축물의 심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1개의 항목을 제외하고는 사례 대상지별 평가항목의 배점 등급 차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공원과 건축물 공통으로 평가되는 항목에 대한 동일한 세부 산출기준을 적용이 필요하며, 위생시설은 공원 인증된 사례가 없고 건축물로 인증되고 있으므로 부속 화장실에 대한 개념 정립과 공원 위생시설 평가지표 적용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공원 내 평가되지 않는 항목에 대한 조정과 공원 특성을 고려한 평가지표를 신설하는 등 공원 특성에 적합한 평가지표가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공원 인증지표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생태적 보전가치 평가를 통한 자연공원 계획에 관한 연구 - 황매산 군립공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atural Park Plan through Ecological Conservation Value Evaluation -A Case Study on Mt. Hwangmaesan(Mt.) County Park -)

  • 신지훈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28-37
    • /
    • 2010
  • This study is intend to evaluate natural conservation value, and to suggest natural park plan based on conservation value evaluation. In this study evaluation items are selected through related studies about ecological conservation evaluation, and evaluation items in this study can be classified into 2 aspects, ecological environment and topographic environment. After each evaluation items are overlaid with GIS program, management levels are derived from comprehensive overlaid maps of each evaluation items. Management areas can be classified into 5 levels; Critical Conservation Area, Conservation Area, Restoration Area, Passive Usable Area, Active Development Area and Settlement Area. So management areas can be matched each management levels to land use of natural park, that is district of preservation, district of natural environment, district of settlements and district of mass facilities. This study have good enough to evaluate ecological value for natural park plan, but, it is difficult to evaluate conservation value only with maps of each evaluation items, so it needs supplementary field survey for precise conservation value evaluation.

A NAT for reliable HCV RNA screening of blood

  • Hong, Seung-Hee;Jung, Sa-Rah;Park, Su-Jin;Yoo, Si-Hyung;Kim, Sun-Nam;Lee, Ki-Hong;Kang, Hye-Na;Shin, In-Soo;Park, Seung-Eu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1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 /
    • pp.223.1-223.1
    • /
    • 2001
  • PDF

근린공원 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위한 공원성능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Park Performance Assessment Tool (PPAT)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Urban Neighborhood Parks)

  • 김용국;김영현;유예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20-13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근린공원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공원성능평가도구(Park Performance Assessment Tool, PPAT)를 개발하는 것이다. 공원성능평가도구(PPAT) 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공원성능평가도구(PPAT) 관련 사례 분석을 통해 평가항목 풀을 구성하였다. 둘째, 전문가 자문회의 및 시범 평가를 통해 국내 공원 여건에 적합한 평가항목으로 정제하였다. 셋째, 시범 평가를 통한 공원성능평가도구(PPAT)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넷째, 전문가 설문조사와 AHP 분석을 통해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다섯째, 공원성능평가도구(PPAT) 평가표와 평가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다. 공원성능평가도구(PPAT)를 인천광역시 부평구의 22개 근린공원에 적용하여 물리적 공간 환경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공원 서비스 개선이 필요한 열악한 질의 근린공원이 다수 발견되었다. 공원성능평가도구(PPAT)는 공원녹지기본계획 수립, 공원 정비사업 우선순위와 사업추진방식 선정, 우수 공원 인증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Re-Post Occupancy Evaluation of the Neighborhood Park -With Focus on Bundang Central Park-

  • Kim, Sung-Hee;Kwon, Young-Hyoo;Sim, Woo-Ky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 /
    • 제1호
    • /
    • pp.183-191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guidelines for planning, designing and managing neighborhood parks. Results form POE(Post-Occupancy-Evaluation) and RPOE(Re-Post-Occupancy-Evaluation) are analyzed for this study. Bundang Central Park in Bundang Newtown was selected for this study. This study compared the previous POE completed in 1996 with a RPOE conducted in 2001 to find out how the user, proximate environmental context, and the park administration changed in time and apply feedback for purposes of immediate problem solv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RPOE has to be initiated and utilized periodically as a device and the guideline for neighborhood park design, conservation, administration and oper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