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al depression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9초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 Kim, Inhong;Park, You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3호
    • /
    • pp.151-160
    • /
    • 2019
  • Korea has the highest suicide rate among the OECD countries, and the suicide rate is highest among young adults in their 20s, most of whom are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suicide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is a public health issue that is of interest to 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suicidal ide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to use them as a basis to establish effective intervention for university suicide prevention through it. This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344 university students at universities in S and G cities. Data were collected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with the SPSS/Win 23.0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r=.45, p<.001), drinking alcohol (r=.14, p=.008), social support (r=-.26, p<.001), quality of life (r=-.46, p<.001), and suicidal ideation. In the first step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atisfaction of school life (${\beta}=.198$, p<.001) was the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 suicidal ideation. Explanatory power was 25.2%. In the second step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bsence of parents (${\beta}=-.095$, p=.044), depression (${\beta}=.247$, p<.001), quality of life (${\beta}=-.280$, p<.001), and explanatory power were increased to 42.0%.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e need to actively identify the group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with high risk of suicide through continuous evaluation of depress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s a method of preventing suicide. In addition, the effect of absence of parents on the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suggests that parental support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suicide prevention.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보호와 우울증상의 관계 : 회피대처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 between Parents' Overprote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University Students : The Moderating Effects of Avoidance Coping)

  • 김미연;김이경;유미숙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431-440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보호와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피대처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지방 지역의 대학생 23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부모양육태도, 우울, 회피대처의 척도였다. 분석방법은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내적합치도 계수(Cronbach α)를 구하였다. 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과보호와 우울증상, 회피대처는 각 변인 간 모두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부모의 과보호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회피대처는 조절효과를 주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청소년의 개인, 부모, 학교 요인과 비행 경험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Parent, School Factors and Delinquency Experience of Adolescents)

  • 김영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264-275
    • /
    • 2022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인지하고 있는 개인적 요인으로서 사회적 위축, 우울, 공격성, 부모 요인으로서 부정적 양육태도, 학교 요인으로서 친구 관계, 학업 무기력과 스마트폰 과의존, 끈기 등이 청소년 비행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PYS 2018) 1차년도 데이터 중에서 중학교 1학년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의 개인 요인으로서 우울, 공격성, 사회적 위축, 부모 요인으로서 부정적 양육태도, 학교요인으로서 학업 무기력, 부정적 친구관계, 스마트폰 과의존, 끈기 등이 청소년의 비행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 요인, 부모 요인, 학교 요인이 청소년의 비행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스마트폰 과의존과 끈기는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먼저, 청소년에 대한 고정 관념을 깨고 청소년의 비행 행동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청소년들의 기대감이 무엇인지 파악해야 한다. 둘째, 부모의 일관성 있는 양육 태도와 효과적인 양육을 위해 부모 및 조부모 대상으로 실질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의 친구 관계 향상을 위해 긍정적인 자기 인식, 올바른 인간관계 형성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법과 충동성을 완화시키는 상담적 개입과 예방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정체성 발달의 매개효과 (The Mediation Effect of Identity Development between Perceived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s and Mental Health)

  • 윤가영;이준배;박선웅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4호
    • /
    • pp.529-553
    • /
    • 2022
  • 본 연구는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자녀의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정체성 발달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자녀의 정신건강 간의 관계가 정체성 발달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중 어느 측면을 통해 매개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 대학생 11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참여자들은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정체성 발달, 웰빙, 우울을 묻는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분석 결과,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은 참여자의 웰빙과는 부적, 우울과는 정적 상관관계에 있었다. 다음으로, 학업성취압력과 정신건강 관계에서 정체성 발달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정체성 발달의 부정적 측면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부모로부터 학업성취압력을 높게 지각한 참여자의 정체성은 제대로 발달하지 않았는데, 이는 곧 낮은 정신건강으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자녀의 정신건강 간의 매개변인으로 정체성 발달을 제시하며 정체성 발달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중 부정적 측면이 두 변인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입시 경쟁이 치열한 한국사회에서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개입이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자녀의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영향력을 상쇄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학교폭력 피해학생과 부모의 정신의학적 문제 (Psychiatric Problems in the Student Victims of School Violence and Their Parents)

  • 장혁진;곽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5권4호
    • /
    • pp.224-229
    • /
    • 2014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school violence on the mental health of student victims and their parents. Methods : A total of 56 (aged 7-18) student victims and their parents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a survey. The students had experienced school violence from June 2012 to October 2013. They completed a set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mily relationship,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Child Depression Inventory (CDI), Beck Depression Inventory,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and Parental Bonding Instrument to evaluate psychiatric complications and to understand the emotional bonding between them. Results : The student's level of impact of even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arent's level of impact of event (p<.001). The student's high CDI scor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high level of impact of event (p<.001). In addition, higher level of the student's perceived emotional support and understandability of family showed association with lower level of impact of event (p<.01, p<.05).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sychiatric sequelae of school violence is seriously affected by family support and parent's level of impact of event. Therefore, more active intervention is needed for both students and their parents.

고등학생의 정신건강 상태에 관한 연구 -SCL-90을 이용, 서울시 인문계 1 . 3학년을 중심으로- (A STUDY ON MENTAL HEALTH STATE OF HIGH SCHOOL STUDENTS)

  • 김은주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0-141
    • /
    • 198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mental health state of high school students. First-year students and third-year students af liberal high schools is Seoul were subject to this study. Questionnaire of Symptom Checklist-90 and various factors was adopted for the survey. A total of 916 questionnaires was sellected for the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obtained as follows; 1) The characteristics in responses to mental health scale showed that obsessive-compulsive scale scor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interpersonal-sensitivity, depression, hostility, and anxiety. The subject group of the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in nine symptom dimensions except somatization than other normal group. 2) Girl-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than boy-students in somatization, depression, and anxiety, whereas the opposite was true in hostility. 3) Third-year students got high scores, in somatization, anxiety and Depression. 4) Parental marriage state of the repon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nine symptom dimensions of mental health. Scores of the students with parents was the lowest, followed by those of students with only mother, only father and the rest(no parents, divorced, sepaerated, step-parent) in increasing order. 5) Smoking students showed high score in obsessive-compulsive, depression, hostility, paranoid ideation, and psychoticism. Especially in hostility, they got much higher score. 6) Students with poor record at school got higher scores in every symptom dimension than those with good record at school, especially in obsessive-compulsive and depression scale. 7) Parents' attitude toward student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every scale. Students under over-expectation or indifference from parents were in bad mental health state. 8) Students who have advisor proved to be in better mental health state than those who never consult their personal problems with others. 9) He who has family history got higher scores in some scales. 10) Respondents who looked upon what they have learned in high school as being rather an obstacle to sound social life got high scores in all the symptom dimensions and next came those of the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re were a lot of unnecessary things in their learning. 11) Those for whom it would not quite necessary to enter college if there were little formal schooling discrimination in society got high scores in obsessive-compulsive,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hostility, and in psychoticism, especially higher in obsessive-compulsive scale. 12) Mental health state of the students who are influenced by the social surroundings, mass media, and the home environments showed high score in 8 symptom dimensions. 13) Abnormal response frequency of this sample is as follows; 24.0% of boys, 23.8% of girls, 22.5% of the first-year students, and 26.9% of the third-year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ades. 14) The factors of distinc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imensions of SCL-90 and 16 factors were the father's negative attitude and depression, negative responses on teaching contents and anxiety, and smoking and hostility. In conclusion, mental health state of liberal highschool students on the whole showed worse than other normal groups. It had close terms with relation with their parents, schoolwork, smoking, teaching contents, the social surrounding, mass media, and the home environments. Thus I believe there need not only mental health education of students, training of teachers, counceling of parents, but also changes in teaching contents, an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system and the social surroundings under the national support.

  • PDF

정신과 환자 자녀의 우울, 불안, 자기 개념 그리고 가정환경의 특성에 대한 연구 (IMPACT OF PARENTAL PSYCHIATRIC DISORDER ON OFFSPRING'S DEPRESSION, ANXIETY, SELF CONCEPT AND PERCEPTION OF FAMILIAL RELATIONSHIP)

  • 이정법;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9권1호
    • /
    • pp.54-66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과 환자의 자녀가 정상인의 자녀와 비교하여 불안, 우울 등의 정신병리와 자기 개념, 가정환경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부모의 정신병리가 자녀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밝히기 위함이다. 아울러 환자집단 내에서 환자의 성별에 따라, 환자의 발병 당시의 자녀의 나이에 따라, 환자 진단에 따라 자녀의 불안, 우울 등의 정신병리와 자기 개념, 가정환경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7년 6월부터 1998년 4월까지 서울, 경기지역의 신경정신과 성인 외래 환자 39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자녀 중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남녀 학생 52명에게 한국형 소아 상태-특성불안척도, 한국형 소아 우울 척도, 한국형 소아자기개념척도, 한국형 가정환경척도를 작성하도록 하고 이를 동 수의 정상인 자녀와 비교하였다. 그리고 환자의 자녀 내에서는 환자가 남자인지 혹은 여자인지, 환자의 발병 연령이 자녀가 3세 이전이었는지 이후였는지, 환자의 진단이 어떤 것인지에 따라 척도들을 비교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신과 환자의 자녀들이 정상인의 자녀들과 비교하여 가정환경척도 중 표현력 척도에서 유의하게 낮은점수를 보였고 상태 불안 척도에서는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p<0.05). 그러나 소아 자기개념척도의 지적 및 학업 상태 소척도와 인기도 소척도에서는 오히려 환자의 자녀가 정상인의 자녀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p<0.05). 2) 환자군 내에서 환자의 남녀 성별에 따른 자녀의 척도들의 차이는 없었다. 3) 환자군 내에서 환자가 자녀 나이 3세 이전에 발병한 경우가 3세 이후에 발병한 경우보다 가정환경척도 중 조절성 소척도 점수는 유의하게 낮고 특성불안척도는 유의하게 높았다(p<0.05). 4) 환자군 내에서 환자의 진단(정신분열병 범주 장애-정동장애-신경증)에 따른 자녀의 척도들의 차이는 없었다. 자기 보고식 설문으로 측정한 우울, 불안 등의 정신병리는 환자의 자녀와 정상인의 자녀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환자의 진단이나 남녀 성별의 차이 역시 자녀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자녀가 3세 이전에 부모가 정신질환에 이환 될 경우에는 자녀의 특성불안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향후 고위험군 자녀의 발달학적 측면에서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히는 연구를 위해서는 자녀의 자기보고 이외에도 부모, 선생님 등의 관찰과의 일치도에 대한 조사, 직접적인 면담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통제된 환경에서의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The Relationships among Postpartum Fatigue, Depressive Mood, Self-care Agency, and Self-care Action of First-time Mothers in Bangladesh

  • Fahima, Khatun;Lee, Tae Wha;Ela, Rani;Gulshanara, Biswash;Pronita, Raha;Kim, Sue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9-57
    • /
    • 2018
  • Purpose: Postpartum fatigue can impact maternal well-being and has been associated with levels of perceived self-ca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fatigue, depressive mood, self-care agency, and self-care action among postpartum women in Bangladesh. Methods: A descriptive cross sectional survey was done with 124 first-time mothers from two tertiary hospitals in Dhaka, Bangladesh. The Modified Fatigue Symptoms checklist, Denyes' Self Care Instrument, the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and items on sociodemographic and delivery-related characteristics, were used in Bengali via translation and back-translation process. Results: High fatigue levels were found in 18.5% (n=23) and 73.4% had possible depression (n=91).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and self-care agency (r=-.31, p<.001), and self-care action (r=-.21, p<.05). Fatigue differed by level of self-care agency (t=4.06, p<.001), self-care action (t=2.36, p=.023), newborn's APGAR score (t=-2.93, p=.004), parental preparation class participation (F=15.53, p<.001), and postpartum depressive mood (t=-4.64, p<.001). Conclusion: Findings suggest that high level of self-care efficacy and behaviors can contribute to fatigue management, and highlight the need for practical interventions to better prepare mothers for postpartum self-care, which may, in turn, alleviate postpartum fatigue.

Mood and Emotional Changes After PEERS® Program in Parents of Young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Chansoo Son;Hee Jeong Yoo;Joo-Hyun Kim;Miae Oh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4권1호
    • /
    • pp.30-36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in the parents of Korean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fter participating in the Korean version of the Program for the Education and Enrichment of Relational Skills for Young Adults (PEERS® -YA-K). Methods: Forty-six parents were enrolled (mean age 54.7 years; 22 fathers and 24 mothers), of whom 27 participated in the PEERS® - YA-K as social coaches.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scales, including the Test of Young Adult Social Skills Knowledge (TYASSK),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Beck Anxiety Inventory (BAI), and Symptom Check-List-90-R (SCL-90-R). The scales were administered three times: before and after the 16-week program and 4 months after the program ended. Differences between participant variables at pretreatment, post-treatment, and follow-up were analyzed using paired-sample t-tests. Results: Participan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social skills knowledge (TYASSK)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BAI and BDI scores of parents with severe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at the baseline (p<0.05). Paternal paranoia and maternal hostility results also significantly improved on the SCL-90-R.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EERS® -YA-K can reduce parental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to compare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anxiety after PEERS® -YA-K in parents of adults with ASD.

어머니의 산후 우울감과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ost-natal Depression and Children's Communication Competence)

  • 박찬화;이윤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113-134
    • /
    • 2015
  • 본 연구는 산후 1년 이내 어머니의 우울감 수준에 따라 어머니의 자아효능감이 차이 나는지와 산후 1년 이후와 2년 이후의 양육스타일,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에서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어머니의 산후 우울감이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추적하였다. 분석 자료로 한국아동패널 2008년(산후 1년 이내), 2009년(산후 1년 이후)과 2010년(산후 2년 이후)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에 참여한 어머니들과 그 자녀들 1,438쌍이었다. 측정도구로 Kessler 등(2002)의 우울 척도(K6), Pearlin, Lieberman, Menaghan과 Mullan(1981)의 자아효능감 척도, Bornstein 등(1996)의 양육스타일 질문지, K-ASQ의 의사소통(communication) 영역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t 검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산후 우울감 수준에 따라 어머니의 자아효능감, 양육스타일, 그리고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산후 우울감은 양육스타일을 통해, 그리고 어머니의 자아효능감을 거쳐 양육스타일을 통해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어머니의 산후 우울감은 어머니의 자아효능감, 양육스타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산후 1년 이내 나타난 어머니의 산후 우울감이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필요성을 시사하며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